$\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수업담화의 새로운 독법: 교수학적 담화분석
A New Way of Reading the Science Classroom Discourse: Pedagogical Discourse Analysi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8 no.8, 2008년, pp.832 - 847  

이정아 (서울대학교) ,  맹승호 (서울대학교) ,  김찬종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언어학적 이론을 과학교육 실제에 접목시켜 '교수학적 담화분석'의 초석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교수학적 담화분석이란 언어학적 담화분석을 통해서, 수업언어에 대한 기술을 넘어, 교육적 함의를 이끌어 내는데 초점적인 관심을 둔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과학수업 담화에서 큰 관심을 받지 못했던 담화의 구성적 측면을 중심으로 교수학적 담화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체계기능언어학의 '주제 구조'와 '정보 구조'를 두 축으로 하는 '교수학적 담화분석틀'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것의 가능성과 유용성을 탐색하기 위해서, 실제 과학수업의 담화분석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노력은 언어학 이론에 경도되었던 종전의 과학수업 담화분석 연구에서 진일보하여, 교육의 맥락을 보다 충실하게 반영할 수 있는 논의를 위한 새로운 지평을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cornerstone for 'Pedagogical Discourse Analysis' by connecting linguistic theory to science education practice. Pedagogical Discourse Analysis (PDA) focuses its attention on finding educational implications beyond description on classroom language. This study is speciall...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부분의 교실 수업담화와 관련된 초기 연구는 무엇을 설명하려 하였는가? 대부분의 교실 수업담화와 관련된 초기 연구는 교사와 학생 사이에 일어나는 상호작용의 유형을 상정하고, 그것이 실제 수업시간에서 나타나는 빈도를 통해서 수업의 모습을 설명하려 하였다(Flanders, 1970). 그러나 교실 수업담화에 대한 초기의 연구들은 이후에 교사와 학생 사이에 일어나는 상호작용의 의미를 소극적으로 해석했다는 비판을 받았다(Mehan, 1979).
과학수업에서 참여자들 간의 활동과 그것을 중재하는 언어적 상호작용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학습이 이렇게 규정된다면, 우리는 과학수업에서 참여자들 간의 활동과 그것을 중재하는 언어적 상호작용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수업 참여자들이 공유하고 있는 언어는 서로의 활동과 상호작용이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기제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실에 주목한 많은 연구자들은 과학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 또는 학생과 학생 사이에 일어나는 언어적 상호작용과 텍스트의 언어적 특성에 초점적 관심을 두고 담화분석을 시도하여 왔다(Halliday & Martin, 1993; Lemke, 1990; Martin & Veel, 1998; Mortimer & Scott, 2003; Ogborn et al.
사회적 구성주의자들에게 교실이란 무엇인가? 사회적 구성주의자들은 학생과 교사 모두의 개인적 이면서도 상호협력적인 의미 형성을 강조한다(Daniels, 2001; Edwards & Mercer, 1987; Lave & Wenger, 1991; Wenger, 1998). 이들에게 교실은 분리된 개인 들의 경쟁적 집단이 아니라 협력적인 학습 공동체로 인식된다(Clark & Florio-Ruane, 2001). 이처럼 교실을 학습공동체의 관점에서 바라본다면, 학습은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발달과정으로 재개념화될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맹승호 (2008). 수업 담화 장르에 기반한 광물과 암석 단원 과학 수업의 양태 변화: 담화 리지스터와 언어코드적 접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 이정아, 맹승호, 김혜리, 김찬종 (2007a).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초등 과학 교과서 텍스트에 대한 체계기능 언어학적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3), 242-252 

  3. 이정아, 맹승호, 김찬종 (2007b). 초등 과학 교과서 시각 이미지의 사회-기호학적 분석: '날씨'와 '일기예보' 를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8(3), 277-288 

  4. Beaugrande, R. de & Dressler, W. (1981). Introduction to textlinguistics. London: Longman 

  5. Brinker, K. (1985). Linguistische textanalyse: eine einfuhrung in grundbegriffe und methoden. (이성만 (역) (2004). 텍스트 언어학의 이해: 언어학적 텍스트 분석의 기본 개념과 방법. 서울: 역락). Berlin: Erich Schmidt Verlag 

  6. Bloor, T. & Bloor, M. (2004). The functional analysis of English: A Hallidayan Approach (2nd ed.). London: Arnold 

  7. Bower, C. A. & Flinders, D. J. (1990). Responsive teaching: an ecological approach to classroom patterns of language, culture, and thought.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8. Burbules, N. C. (1993). Dialogue in teaching: theory and practice.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9. Candela, A. (1999). Students' power in classroom discourse. Linguistics and Education, 10(2), 139-163 

  10. Cazden, C. B. (1988). Classroom discourse: the language of teaching and learning. Portsmouth, NH: Heinemann 

  11. Cazden, C. B. (2001). Classroom discourse: the language of teaching and learning. Portsmouth, NH: Heinemann 

  12. Cherryholmes, C. H. (1988). Power and criticism: poststructural investigations in education. New York: Teachers Colledge, Columbia University 

  13. Christie, F. (2002). Classroom discourse analysis: a functional perspective. London; New York: Continuum 

  14. Clark, C. M. (2001). Talking shop: Authentic conversation and teacher learning.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15. Daniels, H. (2001). Vygotsky and pedagogy. New York: RoutledgeFalmer 

  16. Edwards, D. & Mercer, N. (1987). Common knowledge: the development of understanding in the classroom. London, New York: Routledge 

  17. Eggins, S. (2004). An introduction to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2nd ed.). London: Continuum 

  18. Erduran, S., Simon, S., & Osborne, J. (2004). TAPping into argumentation: Developments in the application of Toulmin's argument pattern for studying science discourse. Science Education, 88(6), 915-933 

  19. Fang, Z. (2005). Scientific literacy: A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perspective. Science Education, 89(2), 335-347 

  20. Flanders, N. A. (1970). Analyzing Teacher Behavior. Addison-Wesley. Reading, Mass 

  21. Freire, P. (1993). Pedagogy of the oppressed. (남경태 (역) (2002). 페다고지. 서울: 그린비). New York: The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22. Fries, P. (1993). Information flow in advertising. In J. E. Alatis (Ed.), Georgetown University Round Table on Languages and Linguistics 1992: Language, Communication, and Social Meaning. (Volume L), (pp. 336-352). Washington, D.C.: Georgetown University Press 

  23. Fries, P. (1995). Patterns of information in initial position in English. In P. H. Fries & M. Gregory (Eds.), Discourse in society: systemic functional perspectives: meaning and choice in language: studies for Michael Halliday. Norwood, New Jersey: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24. Halliday, M. A. K. (1985). An introduction to functional grammar. London: Edward Arnold 

  25. Halliday, M. A. K. (1998). Things and relations: Regrammaticising experience as technical knowledge. (pp. 185-235). In J. R. Martin & R. Veel (Eds.), Reading science: critical and functional perspectives on discourses of science. New York: Routledge 

  26. Halliday, M. A. K. & Hasan, R. (1985). Cohesion in English. London: Longman 

  27. Halliday, M. A. K. & Martin, J. R. (1993). Writing science: Literacy and discursive power. London: The Falmer Press 

  28. Halliday, M. A. K. & Matthiessen, C. M. I. M. (2004). An introduction to functional grammar (3rd ed.). London: Arnold 

  29. Kazuo, F. (2006). Theme-Rheme structure: A functional approach to English and Japanese. Niigata: Niigata University 

  30. Kelly, G. J. & Crawford, T. (1997). An ethnographic investigation of the discourse processes of school science. Science Education, 81(5), 533-559 

  31. Lemke, J. L. (1990). Talking science: Language, learning, and values. NJ: Alex Publishing Corporation 

  32. Martin, J. R., Matthiessen, C. M., & Painter, C. (1997). Working with Functional Grammar. London, New York, Sydney, Auckland: Arnold 

  33. Martin, J. R. & Veel, R. (1998). Reading science: critical and functional perspectives on discourses of science. New York: Routledge 

  34. McHoul, A. (1978). The organization of turns at formal talk in the classroom. Language in Society, 7, 183-213 

  35. Mehan, H. (1979). Learning lessons: social organization in the classroom.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36. Mortimer, E. F. & Scott, P. H. (2003). Meaning making in secondary science classrooms. Maidenhead, Philadelphia: Open University Press 

  37. Ogborn, J., Kress, G., Martins, I., & McGillicuddy, K. (1996). Explaining science in the classroom. Buckingham, Philadelphia: Open University Press 

  38. Scott, P. H. (1998). Teacher talk and meaning making in science classrooms: A Vygotskian analysis and review.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32, 45-80 

  39. Sinclair, J. M. & Coulthard, R. M. (1975). Towards an analysis of discourse: The English used by teachers and pupils.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40. Thornbury, S. & Slade, D. (2006). Conversation: from description to pedagog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1. Wellington, J. & Osborne, J. (2001). Language and literacy in science education. Buckingham, Philadelphia: Open University Press 

  42. Wells, G. (1993). Reevaluating the IRF sequence: A proposal for the articulation of theories of activity and discourse for the analysi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classroom. Linguistics and Education, 5(1), 1-37 

  43. Wenger, E. (1998). Communities of practice: learning, meaning, and identit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4. Yerrick, R. K. & Roth, W-M. (2005). Establishing scientific classroom discourse communities: Multiple voices of teaching and learning research. Mahwah,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45. Young, R. E. (1992). Critical theory and classroom talk. Clevedon: Multilingual Matters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