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 공학적 실천에 의한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물질 영역의 탐구 활동 분석
The Analysis of Inquiry Activity in the Material Domain of the Elementary Science Textbook by Science and Engineering Practices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35 no.2, 2016년, pp.181 - 193  

조성호 (광주계림초등학교) ,  임지영 (고실초등학교) ,  이정아 (광주미산초등학교) ,  최근창 (화순초등학교) ,  전경문 (광주교육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examined the inquiry activities in the material domain of th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and experimental workbooks based on 2009 revised curriculum. The analysis framework was SEP (Science and Engineering Practices) - 'Asking questions and defining problems', 'developing and using models', 'p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과학 및 실험관찰 교과서 물질 영역의 탐구 활동에 포함된 과학 공학적 실천을 분석하였다. 먼저 과학 교과서의 결과를 살펴보면(Table 3), 학년별 탐구 활동의 수가 평균 13.
  •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개발된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물질 영역의 탐구 활동을, 미국 차세대 과학교육 기준의 과학 공학적 실천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 탐구란? 과학 탐구(science inquiry)는 과학자들이 자연 현상에 관한 의문에 답하려는 목적으로 연구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또는 학생들이 과학 지식을 습득하거나, 과학자들이 하는 일을 이해하기 위해 수행하는 활동,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등을 뜻하기도 한다(Anderson, 2002; Lotter et al., 2009).
미국의 차세대 과학교육 기준에서 제시한 8가지 과학 공학적 실천은 어떤 것인가? NRC(Nationa Research Council, 2012)는 탐구의 의미를 보다 확장하여 ‘과학 공학적 실천(SEP: Science and Engineering Practices)’ 개념을 제안하였다. 이어 미국의 차세대 과학교육 기준(NGSS: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에서는 ‘질문하고 문제 규정하기’, ‘모형 개발하고 사용하기’, ‘조사 계획하고 수행하기’, ‘자료 분석하고 해석하기’, ‘수학 및 전산적 사고 이용하기’, ‘설명 구성하고 문제 해결 고안하기’, ‘증거에 입각하여 논의하기’, ‘정보를 얻고 평가하고 소통하기’ 등과 같은 8가지 과학 공학적 실천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각 학년 군별로 세부 실천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학생들 스스로 탐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길잡이를 제공하고 있다(NGSS Lead States, 2013).
학교 현장에서 과학 탐구 교육이 제대로 진행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는 과학 교과서에대한 분석이 가장 먼저 이루어져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나라 과학교육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해 주는 가장 중요한 지표가 되는 것이 교육과정이고, 이러한 교육과정에 대해 그 정신과 내용을 가장 잘 반영하고 있는 것이 바로 교과서라고 할 수 있다. 학생은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 활동을 바탕으로 과학 내용 지식이나 탐구력을 키워나간다(Kim et al.,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bd-El-Khalick, F., BouJaoude, S., Duschl, R., Lederman, N., Mamlok-Naaman, R., Hofstein, A., Niaz, M., Treagust, D. & Tuan, H. (2004). Inquiry in science education:International perspectives. Science Education, 88(3), 397-419. 

  2. Anderson, R. D. (2002). Reforming science teaching: What research says about inquiry.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3(1), 1-12. 

  3. Asay, L. D. & Orgill, M. (2010). Analysis of essential features of inquiry found in articles published in The Science Teacher, 1998-2007.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1(1), 57-79. 

  4. Cho, H. J., Han, I. K. & Kim, H. N. (2008). Analysis of elementary teachers' views on barriers in implementing inquiry-based instruction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8(8), 901-921. 

  5. Dewey, J. (1916). Democracy and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education. New York: The Macmillan Company. 

  6. Ireland, J., Watters, J. J., Brownlee, J. L. & Lupton, M. (2014). Approaches to inquiry teaching: Elementary teacher's perspectiv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6(10), 1733-1750. 

  7. Jeon, S. S. & Park, J. H. (2014). Analysis of relationships of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s, science process skills, logical thinking skills, and academic achievement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4(7), 647-655. 

  8. Jeon, Y. (2015). An analysis of inquiry activities in high school chemistry II textbooks for the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8 Practices of science. Ewha Woma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issertation of master. 

  9. Kang, N. H. & Lee, E. M. (2013). An analysis of inquiry activities in high school physics textbooks for the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3(1), 132-143. 

  10. Kim, J. Y., Han, J. E. & Park, J. S. (2012). The analysis of inquiry activities in high school chemistry II textbooks on the revised 2009 curriculu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2(5), 928-937. 

  11. Kim, Y. S. (2015). Analysis of scientific and engineering practices within STEAM programs in Korea. Ewha Woma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issertation of master. 

  12. Krajcik, J. (2015). Project based science. The Science Teacher, 8(1), 25-27. 

  13. Lim, S. M. (2015). An analysis of concepts and inquiry activities related to the ‘earth science' area in the South Korea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to the current and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future textbook.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4(3), 288-296. 

  14. Lotter, C. Singer, J. & Godley, J. (2009). The influence of repeated teaching and reflection on preservice teachers' views of inquiry and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0, 553-582. 

  15. Lucero, M., Valcke, M. & Schellens, T. (2013). Teachers' beliefs and self-reported use of inquiry in science education in public primary school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5(8), 1407-1423. 

  16. Martin-Hansen, L. (2002). Defining inquiry: Exploring the many types of inquiry in the science classroom. The Science Teacher, 69(2), 34-37. 

  17. McNeill, K. L. (2011). Elementary students' views of explanation, argumentation, and evidence, and their abilities to construct arguments over the school year.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8(7), 793-823. 

  18. Ministry of Education (2015). Science curriculum. http://nice.go.kr/ 

  19.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12). Science curriculum. http://nice.go.kr/ 

  20. National Educational Association [NEA]. (1894). Report of the committee of ten on secondary school studies with the reports of the conferences arranged by the committee. New York: The American Book Company. 

  21.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22. NGSS Lead States. (2013).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For states, by state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23. Schwab, J. J. (1962). The teaching of science as enquiry. In P. E. Bradwein (Ed.), The teaching of science (pp. 1-103). Cambridge, MA: Havard University Press. 

  24. Stroupe, D. (2015). Describing "Science Practice" in learning settings. Science Education, 99(6), 1033-1040. 

  25. Wargo, B. M. (2014). Incorporating science and engineering practices into preservi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planning practices: Testing the efficacy of an intervention.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Pittsburgh. 

  26. Zhai, J., Jocz, J. A. & Tan, A.-L. (2014). Am I like a scientist?': Primary children's images of doing science in school.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6(4), 553-57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