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교 과학 '물질의 구성' 단원에서 과학사 소재를 활용한 명시적.반성적 과학의 본성 수업의 효과
The Effects of Explicit and Reflective Instruction about Nature of Science Using Episodes from the History of Science in 'Composition of Material' Unit of Middle School Science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8 no.1, 2008년, pp.89 - 99  

김경순 (서울대학교) ,  노정아 (서울대학교) ,  서인호 (구정고등학교) ,  노태희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과학사 소재를 활용한 명시적 반성적 과학의 본성(NOS)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 학업 성취도, 과학 수업에 대한 즐거움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남녀 공학 중학교 3학년 4학급(129명)을 통제 집단과 처치 집단으로 배치하였다. '물질의 구성' 단원에 대하여 11차시 동안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 처치 전, 두 집단의 학생들은 대부분 과학의 본성에 대해 부적절한 견해를 지니고 있었다. 수업 처치 후, 통제 집단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견해는 변하지 않았으나, 처치 집단의 학생들은 과학의 본성에 대해 보다 적절한 이해를 나타내었다. 처치 집단의 상위 학생들은 하위 학생들보다 과학의 본성에 대해 보다 적절한 관점을 지니게 되었다. 그러나 학업성취도와 과학 수업에 대한 즐거움 검사에서는 두 집단 간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xplicit and reflective instruction about nature of science (NOS) using episodes from the history of science upon students' understanding about NOS, achievement, and enjoyment of science lessons. Four classes of ninth graders (N=129) at a coed middle sc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과학사 소재를 활용한 명시적·반성적 과학의 본성(NOS)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 학업 성취도, 과학 수업에 대한 즐거움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선다형 문항에서 선택할 수 있는 답지가 제한적인 점을 보완하기 위해 모든 문항에 ‘기타’ 답지를 추가하여, 학생들이 각 문항에 제시된 답지 이외의 견해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이 답지를 선택하게 하고 그 이유를 서술하도록 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3학년 ‘물질의 구성’ 단원에서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킬 수 있는 명시적·반성적 과학의 본성 수업 자료를 개발하였다.

가설 설정

  • 과학의 본성에 대한 교수 방법은 암시적(implicit) 접근과 명시적(explicit) 접근으로 나눌 수 있다(AbdEl-Khalick & Lederman, 2000a). 암시적 접근 방법에서는 교사가 과학의 본성에 대해 직접 가르치지 않아도 학생들이 과학 탐구 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과학의 본성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진다고 가정한다(Moss et al., 1998). 그러나 이러한 소극적인 접근 방법은 학생들이 과학의 본성에 대해 적절한 견해를 갖도록 하는 데 효과가 크지 않았다(Meichtry, 1992).
  • 한편, 명시적 접근 방법에서는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를 계획적이고 의도적인 인지적 교수의 결과로 보고, 과학의 역사적, 철학적, 사회·문화적 요소 등의 과학의 본성을 학생들에게 직접 가르쳐야 한다고 가정한다(Akerson et al., 200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는 것은 왜 중요한가? 현대 사회에서는 일상생활에서 접하게 되는 다양한 문제들에 대해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내리고, 이들 문제를 과학 지식과 과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해결하는 능력이 중요한데, 과학의 본성(nature of science: NOS)에 대한 이해는 이러한 능력을 기르기 위한 필수 요소이다(교육부, 1997; AAAS, 1993; NRC, 1996). 또한, 과학의 본성의 한 측면인 과학 지식의 형성과 발달 과정은 과학 학습의 원리와 유사하고(Sequeira & Leite, 1991),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 정도는 과학 개념에 대한 이해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차정호 등, 2005; Lin et al., 2004).
학생들이 과학 탐구 활동을 수행하는 과정만으로 과학 본성에 대한 학습이 부족하다고 보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이러한 소극적인 접근 방법은 학생들이 과학의 본성에 대해 적절한 견해를 갖도록 하는 데 효과가 크지 않았다(Meichtry, 1992). 이는 학생들에게 과학의 본성에 대한 현대적인 관점이 직접적으로 제시되지 않았을 뿐 아니라, 학습 과정에서 과학의 본성에 대해 생각해볼 기회가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명시적·반성적 과학의 본성 수업은 어떠한 점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나는가? 연구 결과, 명시적·반성적 과학의 본성 수업은 전통적 수업보다 과학의 본성에 대해 부적절한 견해를 지니고 있던 학생들의 관점을 현대적인 관점으로 전환하는데 효과적이었다. 즉, 처치 집단의 학생들은 이 수업을 통해 ‘과학의 목적’, ‘모델의 성질’, ‘과학 이론의 잠정성’, ‘과학 이론의 성질’, ‘과학의 사회 문화적 영향’에 대해 수업 전보다 적절한 견해를 지니게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강석진, 김영희, 노태희 (2004). 과학사를 이용한 소집단 토론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996-1007 

  2. 교육부 (1997). 과학과 교육과정.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3. 교육인적자원부, 서울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6). 중학교 3학년 과학탐구수업 지도자료. 서울: 서울 멀티넷 

  4. 김지영, 강순희 (2007). 가설 연역적 탐구 실험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3), 169-179 

  5. 노태희, 김영희, 한수진, 강석진 (2002). 과학의 본성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견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882-891 

  6. 백성혜 (2006).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아보가드로 가설과 법칙에 관한 설명의 문제점. 과학철학, 9(2), 159-184 

  7. 유미현, 여상인, 홍훈기 (2007). 기원론적 접근법에 따라 개발한 과학사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입자론적 물질관 및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에 미치는 영향. 대한 화학회지, 51(2), 213-222 

  8. 조희형, 최경희 (2005). 과학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9. 차정호, 윤정현, 노태희 (2005). 중학생의 과학 지식 본성에 대한 이해와 개념 이해 및 학습 전략 사이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5), 563-570 

  10. 차정호, 김영희, 노태희 (2004). 과학적 모델에 대한 중.고등학생들의 견해. 대한화학회지, 48(6), 638-644 

  11. 최경희, 김은선 (2002). 중학교 과학 물리 영역에 과학사를 도입한 효과 - 힘과 운동 단원을 중심으로 -. 새물리, 45(2), 118-122 

  12. Abd-El-Khalick, F. (2001). Embedding nature of science instruction in preservice elementary science courses: Abandoning scientism, but...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2(3), 215-233 

  13. Abd-El-Khalick, F., & Lederman, N. G. (2000a). Improving science teachers' conceptions of the nature of science: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2(7), 665-701 

  14. Abd-El-Khalick, F., & Lederman, N. G. (2000b). The influence of history of science courses on students' view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10), 1057-1095 

  15. Aikenhead, G. S. (1988). An analysis of four ways of assessing student beliefs about STS topic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5(8), 607-629 

  16. Aikenhead, G. S., Ryan, A. G., & Fleming, R. W. (1989). Views on science-technology-society: Form CDN. mc. 5. Saskatoon: Univ. of Saskatchewan 

  17. Akerson, V. L., Abd-El-Khalick, F., & Lederman, N. G. (2000). Influence of a reflective explicit activity-based approach on elementary teachers' conception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4), 295-317 

  18.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93). Benchmarks for science literacy: A project 2061 report.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 Anderson, L. W., Krathwohl, D. R., Airasian, P. W., Cruikshank, K. A., Mayer, R. E., Pintrich, P. R., Raths, J., & Wittrock, M. C. (2001). A taxonomy for learning, teaching, and assessing -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New York: Longman 

  20. Cuccio-Schirripa, S., & Steiner, H. E. (2000). Enhancement and analysis of science question level for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2), 210-224 

  21. Driver, R., Leach, J., Miller, R., & Scott, P. (1996). Young people's images of science. Open University Press: Bristol, Pennsylvania 

  22. Elder, A. D. (2002). Characterizing fifth grade students' epistemological beliefs in science. In B. K. Hofer & P. R. Pintrich (Ed). Personal epistemology: The psychology of beliefs about knowledge and knowing (pp. 347-363). Mahwah: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3. Fraser, B. J. (1981). 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s: Handbook. Hawthorn, Australia: The Australian Council for Educational Research 

  24. Irwin, A. R. (2000). Historical case studies: Teaching the nature of science in context. Science Education, 84(1), 5-26 

  25. Khishfe, R., & Abd-El-Khalick, F. (2002). Influence of explicit and reflective versus implicit inquiry-oriented instruction on sixth graders' view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7), 551-578 

  26. Lederman, N. G., & Abd-El-Khalick, F. (1998). Avoiding de-natured science: Activities that promote understandings of the nature of science. In McComas, W.(Ed). The nature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Rationales and strategies. Dordrecht, The Netherlands: Kluwer Academic 

  27. Lederman, N. G., Abd-El-Khalick, F., Bell, R. L., & Schwartz, R. S. (2002). Views of nature of science questionnaire: Toward valid and meaningful assessment of learners' conception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6), 497-521 

  28. Lin, H.-S., Chiu, H.-L., & Chou, C.-Y. (2004). Student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and their problem-solving strategi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6(1), 101-112 

  29. Meichtry, Y. J. (1992). Influencing student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Data from a case of curriculum develop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4), 389-407 

  30. Monk, M., & Osborne, J. (1997). Placing the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on the curriculum: A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pedagogy. Science Education, 81(4), 405-424 

  31. Moss, D. M., Abrams, M. D., & Kull, J. A. (1998). Can we be scientists, too? Secondary students' perceptions of scientific research from a project-based classroom.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7(2), 149-161 

  32.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National Academy Press 

  33. Ryan, A. G., & Aikenhead, G. S. (1992). Students' preconceptions about the epistemology of science. Science Education, 76(6), 559-580 

  34. Sequeira, M., & Leite, L. (1991). Alternative conceptions and history of science in physics teacher education, Science Education, 75(1), 45- 56 

  35. Solomon, J., Duveen, J., Scott, L., & McCarthy, S. (1992). Teaching about the nature of science through history: Action research in the classroo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4), 409-421 

  36. Solomon, J., Scott, L., & Duveen, J. (1996). Largescale exploration of pupil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Science Education, 80(5), 493-508 

  37. Tao, P. K. (2003). Eliciting and developing junior secondary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through a peer collaboration instruction in science stori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5(2), 147-171 

  38. Zoller, U., Ebenezer, J., Morely, K., Paras, S., Sandberg, V., West, C., Wolthers, T., & Tan, S. H. (1990). Goal attainment in science-technology-society(S-T-S) education and reality: The case of British Columbia. Science Education, 74(1), 19-3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