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구의 연령 측정 관련 과학사 수업 개발
Development of a History of Science Lesson Using the Content of 'Age Dating of the Earth'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2 no.3, 2011년, pp.324 - 333  

신동희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  강혜진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과학 수업에 과학사를 도입하자는 주장은 과학 지식과 과학적 방법의 이해, 과학의 본성에 대한 고찰, 과학과 사회와의 상호작용의 이해 등의 필요성에 따라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다. 통합 과학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오늘날, 과학사는 통합 과학 교육의 방안으로도 효과적이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본 연구에서는 과학사를 과학 교육에 활용한 연구들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통합 과학 주제로서 과학사를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을 선정해 과학사 수업을 개발했다. 본 연구에서는 통합 과학의 주제로서의 과학사 수업의 개발을 위해 '지구의 연령'을 주제로 선정했다. 중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시범 적용 결과, 학생들은 수업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pinion, that the history of science should be introduced to science lesson, has been continuously emphasized by a group of people who supported the needs of science and scientific process, nature of science, and the interaction between science and society. When the importance of the integra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개발한 연대표를 근거로 수업에서 다룰 주장과 사건을 정하고 어떤 형태로 학생들에게 제시할 것인가를 고안했다. 최종적으로 지질학을 기본 틀로 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물리와 화학, 생물 영역의 주장이 서로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면서 지구의 연령이 밝혀지게 되는지 Fig.
  • 수업 전에 학생들의 지구의 연령에 관한 사전 지식과 과학의 방법, 과학자에 대한 생각을 알아보기 위해 조사지를 나누어주고 작성하게 했다. 그리고 수업의 마무리 시간에 과학 지식의 특성과 수업에 대한 의견을 알아보기 위한 조사지를 작성하게 했다. 조사지 내용을 참고로 시범 적용 수업 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 집단 면담을 실시했다.
  • 본 연구에서는 과학사 관련 문헌을 통해 과학 교육에서 과학사를 활용해 온 방법과 내용을 통해 과학사를 효과적으로 과학 교육에 적용하기 위한 지구 과학 수업을 개발했다. 과학사 수업의 주제로 ‘지구의 연령’을 선정했고, ‘지구의 연령’ 관련 과학사 문헌을 찾아 분석하고 이 주제를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수업 방법을 계획했다.
  • 본 연구에서는 과학사를 과학 교육에 활용한 문헌을 분석하고 통합 과학의 주제로서 ‘지구의 연령’과 관련된 과학사 수업을 개발하여 시범적으로 적용한 뒤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을 조사했다.
  • 생물 영역에서 Appelget 외(2002)는 학습 부진 학생들을 위한 과학사 프로그램을 개발했는데, 특히 읽기 능력이 부족한 학생들을 위한 활동으로 역할극을 활용한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읽기에 대한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도록 짧은 읽기 자료를 활용하여 학생들이 자아 효능감을 갖는 기회를 제공했다. 또한 역할극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과학 지식을 더 잘 기억하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인지적, 정서적으로 높은 동기를 가지게 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학사 활용 과학 교육의 효과 중에서도 ‘학문 간 통합’에 주목하고자 한다.
  • 이와 같은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과학의 통합성을 강조한 과학사 활용 과학 수업을 개발하고 시범 적용 과정에서 학생들의 의견을 통해 개발된 수업의 효과와 보완할 점을 파악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둘째, 시간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학생들은 “시간이 부족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사의 사례를 살펴보면 무엇이 필요함을 알게 되는가? 뿐만 아니라 과학의 각주제를 연결하는 역할도 한다. 과학사의 사례를 살펴보면 하나의 과학 개념이 정립되기 위해 여러 분야의 과학 지식과 방법이 필요함을 알게 된다. 이를 통해 분리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는 과학이 실제로는 통합적이고 융합되어 있음을 깨닫게 된다.
‘과학사를 과학 교육에 활용한 문헌을 분석하고 통합 과학의 주제로서 ‘지구의 연령’과 관련된 과학사 수업을 개발하여 시범적으로 적용한뒤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을 조사해본 결과 어떤 결론이 나왔는가?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의 통합적 특성을 보여줄 수 있는 내용인 ‘지구의 연령’ 관련 과학사 수업을 개발했다. ‘지구의 연령’은 과학적 업적이 어느 한 영역만의 발전으로 이루어지지 않음을 보여주기에 적합한 주제로 학생들은 이 수업을 통해 과학 내 세부 영역의 상호 의존성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할 수 있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소집단 협동학습을 적용하여 토론을 교수 전략으로 활용했으며, 학생들 간의 책무성과 주도적 상호작용을 향상시키기 위해 특별히 Jigsaw I을 선택했다. 둘째, 개발한 과학사 교육 프로그램을 시범 적용한 결과 학생들은 대체로 프로그램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과학사적인 지식을 알게 되는 것과 그 과정에 흥미를 느끼는 학생들과 Jigsaw I 협동학습이 조원들에게 책임감을 부여하기 때문에 효과적이라고 평가하는 학생들이 대부분이었다. 한편 실험 수업이 아니라는 점과 수업이 토론으로만 이루어져 다소 지루하다는 평가도 있었고, 모든 활동을 하기에 시간이 부족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국내외에서 이루어진 과학 영역별 과학사 활용 과학 교육은 주로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가? 국내외에서 이루어진 과학 영역별 과학사 활용 과학 교육은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영역별로 주로 이루어져 왔다. 물리 영역에서 Nielsen and Thomsen (1990)이 고등학생들과 고등학교 교사들을 위한 과학사 활용 물리 수업을 개발했고, Paschke(2001)는 갈릴레오가 실제로 행했던 운동 실험을 학생들에게 경험하게 하는 물리 수업을 개발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강경희, 2005, 과학사를 활용한 발견적 순환학습모형과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중학교 '생명' 영역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7 p. 

  2. 공하린, 2006, 3일만에 읽는 과학사. 서울문화사, 서울, 291 p. 

  3. 권재술, 박범익, 1997, 통합 과학 과정의 접근 방법에 대한 비교 연구: 개념 중심 방법과 과정 중심 접근 방법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 36-43. 

  4. 길학균, 이길재, 1998, 과학사를 이용한 멘델 유전 개념의 교수-학습에 관한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6, 167-177. 

  5. 김도욱, 1995, 연소에 대한 오개념 교정을 위한 과학사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초등학교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4, 135-148. 

  6. 노태희, 박수연, 임희준, 차정호, 1998, 협동학습 전략에서 소집단 구성 방법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 61-70. 

  7. 박남이, 이길재, 2000, 과학사를 이용한 진화 개념의 교수-학습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8, 85-99. 

  8. 박문영, 이면우, 2007, 과학자를 소재로 한 초등 과학 영재프로그램 개발.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25, 507-521. 

  9. 박수경, 김상달, 주국영, 남윤경, 2001, 중학교 과학 수업을 위한 주제 중심 통합 단원의 개발 및 효과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2, 350-359. 

  10. 손연아, 이학동, 1999, 통합 과학 교육의 방향 설정을 위한 이론적 고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 41-61. 

  11. 양승훈, 송진웅, 김인환, 조정일, 정원우, 1996, 과학사와 과학 교육: 과학 교육을 위한 과학사적 학습 지도. 민음사, 서울, 374 p. 

  12. 이기영, 안희수, 1999, 과학사 자료를 이용한 지구과학 학습 지도에 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0, 213-222. 

  13. 이면우, 2003, 한국 과학사 자료를 이용한 과학 교육의 가능성.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22, 211-222. 

  14. 이충호 역, 2000, 과학사 속의 대논쟁 10. 가람기획, 서울, 344 p. 

  15. 조숙경 역, 2002, 데이팅게임. 바다출판사, 서울, 286 p. 

  16. 좌용주 역, 2007, 천재들의 과학노트 4 지구과학. 일출봉, 서울, 265 p. 

  17. 조양숙, 이희순, 김도욱, 1996, 초등학교에서 물질관의 오개념 교정을 위한 과학사 프로그램의 적용.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5, 305-314. 

  18. 최미화, 최병순, 1999, 통합 주제를 중심으로 한 중학교 수준의 통합과학 내용 구성 방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 204-216. 

  19. 최주연 역, 2005, 한번은 꼭 읽어야 할 과학의 역사 2. 에코리브르, 서울, 215 p. 

  20. 최윤희, 2005, 제7차 초.중등 과학 교과서의 과학사에 도입된 과학의 본성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111 p. 

  21. 한국과학창의재단, 2010, 과학.수학 특성화 교과 교실 운영 가이드. 한국과학창의재단, 서울, 90 p. 

  22. Appelget, J., Matthews, C.E., Hildreth, D.P., and Daniel, M.L., 2002, Teaching the History of Science to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tervention in School and Clinic, 37, 298-303. 

  23. Jenkins, E.W., 1990, The history of science in British schools: Retrospect and prospect.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2, 274-281. 

  24. Matthews, M.R., 1991, The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in Science Teacher Education. Teaching Education, 3, 177-182. 

  25. Matthews, M.R., 1994, Science teaching: The role of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Routledge, NY, USA, 256 p. 

  26. Nielsen, H. and Thomsen, P.V., 1990,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in physics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2, 308-316. 

  27. Paschke, J., 2001, "Galileo's Inclined Plane" Living laboratories as an Activity-Based Method of Instruction in History and Science. Science Activities, 38, 18-20. 

  28. Rosa, K. and Martins, M.C., 2009, Approaches and Methodologies for a Course on History and Epistemology of Physics: Analyzing the Experience of a Brazilian University. Science and Education, 18, 149-155. 

  29. Rutherford, F.J., 2001, Fostering the History of Science in American Science Education. Science and Education, 10, 569-580. 

  30. Sequeira, M. and Leite, L., 1991, Alternative Conceptions and history of Science in Physics Teacher Education. Science Education, 75, 45-56. 

  31. Solomon, J., Duveen, J., and Scot, L., 1992, Teaching About the Nature of Science through History: Action Research in the Classroo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 409-421. 

  32. Thompson, D., Praia, J., and Marques, L., 2000, The Importance of History and Epistemology in the Designing of Earth Science Curriculum Materials for General Science Education. Research in Science and Technological Education, 18, 45-62. 

  33. Van Driel, J.H., 1998, Relating Students' Reasoning to the History of Science: The Case of chemical Equilibrium.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8, 187-198. 

  34. Viana, H.E.B. and Porto, P.A., 2010, The Development of Dalton's Atomic Theory as a Case Study in the History of Science: Reflections for Educators in Chemistry. Science and Education, 19, 75-9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