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홍삼의 유효 활성 성분을 함유한 오일을 제조하고자, 세절한 홍삼을 여러 효소로 처리하여 항산화능을 검토한 후 가장 적합한 효소를 선정하여 홍삼을 효소처리하고 10배 비율의 대두유 및 올리브유를 각각 첨가하여 $40^{\circ}C$ 에서 15일간 숙성하면서 홍삼유를 제조하였다. 그 결과, 0.5% cellulase로 처리한 홍삼액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홍삼을 0.5% cellulase로 처리하여 제조한 홍삼유의 과산화물가는 오일 자체만 보관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고, 홍삼의 항산화 활성 성분의 용출은 올리브유보다 대두유에서 더 증가하였고, 특히 0.5% cellulase 처리한 홍삼 대두유의 TBA가도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홍삼유의 DPPH radical 소거능도 홍삼만으로 추출한 대두유에 비해 0.5% cellulase 처리한 홍삼 대두유에서 더 큰 DPPH 소거능을 보였다. 대두유로 제조한 홍삼유의 항산화비타민 함량 분석에서는 비타민 A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비타민 E 함량은 대두유보다 홍삼 첨가 대두유에서 1.7배 정도 증가하였고, 0.5% cellulase를 처리한 홍삼첨가 대두유에서 2.3배 정도 증가되어 홍삼의 0.5% cellulase 처리에 의해 비타민 E의 용출이 더 증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method to develop red ginseng oil containing high content of phytochemicals by enzymes treatment. To select the optimum extraction process of red ginseng with oils,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red ginseng using various enzymes were measured. Red ginseng after 0.5% 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홍삼 첨가로 인한 TBA가의 감소는 홍삼이 지질의 산화를 억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대두유 및 올리브유로 제조한 홍삼 유의 DPPH radical 소거능을 검토하였다. 홍삼 대두유에 비해 0.
  • 홍삼유의 제조에는 현재 식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대두유 및 올리브유를 사용하였고, 이때 오일들은 비교적 열이나 빛에 의해 산패하기 쉬우므로 홍삼유의 제조 시 열이나 빛에 최소한 노출되게 하였으며, 또한 홍삼유의 제조 시에 효소를 이용하여 유용성분을 보다 효율적으로 용출하여 홍삼의 유효성분을 다량 함유한 오일을 얻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The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1990, 15th eds., Washington D. C. 

  2. Blois, M. S. 1977.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J. Agric. Food Chem. 25, 103-107. 

  3. Branen, A. L. 1975. Toxicolagical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anis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J. Am. oil Chem. Soc. 52, 59-62. 

  4. Choi, H. J., Y. B. Zhang, B. J. An and C. Choi. 2002. Identification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Panax ginseng C. A. Mey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493-497. 

  5. Choi, M., G. J. Shin, G. P. Choi, J. H. Do and J. D. Kim. 2003. Synergistic effects of extracts from korean red ginseng, Saururus chinensis (Lour.) baill. and Rubus coreanus Miq. on antioxidantive activitie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1, 148-154. 

  6. Dziezak, J. D. 1986. Antioxidants. Food Technol. 40, 94-95. 

  7. Folin, O. and W. Denis. 1912. On phosphotungastic-phospho-md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9. 

  8. Frankle, E. N. 1984. Lipid oxidation products and biological significance. J. Am. oil Chem. Soc. 61, 1908-1913. 

  9. Ha, D. C. and G. H. Rhy. 2005. Chemical components of red, white and extruded root ginse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247-254. 

  10. Hah, D. S., C. H. Kim, G. S. Kim, E. G. Kim and J. S. Kim. 2005. Antioxidative effects of traditional medical plants of lipid peroxidation. Korean J. Ver. Res. 45, 341-350. 

  11. Han, B. H., M. H. Park and Y. N. Han. 1981. Studies on the antioxidant components of Korean ginseng (III). Identification of phenolic acid. Arch. Pharm. Res. 4, 53-58. 

  12. Hwang, E. Y. and S. Y. Choi. 2006. 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 compounds in different parts of Panax ginseng C. A. Meyer and its inhibitory effect on melanin biosysthesi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4, 148-152. 

  13. Ito, N., M. Hiroze, G. Fukushima, H. Tauda, T. Shira and M. Tarematsu. 1986. Studies on antioxidant; their carcinogenic and modifying effects on chemical carcinogenesis. Food Chem. Toxicol. 24, 1071-1081. 

  14. Junrachote, T., E. Berghofer, S. Siebenhandl and F. S. Bauer. 2007. Antioxidative effect of added dried Holy basil and its ethanolic extracts in susceptibility of cooked ground pork to lipid oxidation. J. Food Chem. 100, 129-135. 

  15. Kalogeropoulos, N., A. Mylona, A. Chiou, M. S. Ioannou and N. K. Andrikopoulos. 2007. Retention and distribution of natural antioxidants ( $\alpha$ -tocopherol, polyphenols and terpenic acids) after shallow frying of vegetables in virgin olive oil. J. LWT. 40, 1008-1017. 

  16. Kim, J. S., J. H. Lee, Y. E. Chang, Y. S. Han, M. H. Kang, G. J. Han and Y. S. Cho. 2005. Oxidation stability of soybean oil containing Lithospermum erythrohizon.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283-289. 

  17. Kim, D. J., K. S. Seug, D. W. Kim, S. R. Ko and C. C. Chang. 2004. Antioxidantive effects of red ginseng saponins on paraquot-induced oxidative stress. J. Ginseng Res. 28, 5-10. 

  18. Kim, H. K., V. E. Kim, J. R. Do, V. C. Lee and B. Y. Lee. 1995. Antioxidative activity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some Korean medic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80-85. 

  19. Lee, F. Z., B. D. Lee and J. B. Eun. 2006. Antimicrobial activity and oxidative stability of bamboo smoke distillate on soybean oil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816-822. 

  20. Lee, S. E., S. U. Lee, J. K. Bang, Y. J. Yu and R. S. Seong. 2004. Antioxidant activities of leaf, stem, and root of Panax ginseng C. A. Meyer.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2, 237-242. 

  21. Ozkan, G., B. Sinsek and H. Kuleasan. 2007. Antioxidant activities of Satureja cilicica essential oil in butter and in vitro. J. Food Eng. 79, 1391-1396. 

  22. Paquot, C. and A. Hautfenne. 1987. Standard method for the analysis of oils, fats and derivatives (7th revised). pp. 73,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 London. 

  23. Park, C. K., B. S. Jeon and J. W. Yang. 2003. The chemical components of Korean ginseng. Food Indus. Nutr. 8, 10-23. 

  24. Rehman, Z., F. Habib and W. H. Shah. 2004. Utilization of potato peels extract as a natural antioxidant in soy bean oil. J. food chem. 85, 215-220. 

  25. Tura, D., C. Gigliotti, S. Pedo, O. Failla, D. Bassi and A. Serraiocco. 2007. Influence of cultivar and site of cultivation on levels of lipophilic and hydrophilic antioxidants in virgen olive oils (Olea Europea L.) and correlations with oxidative stability. J. Scienta. 112, 108-119. 

  26. Yun, T. K., V. S. Lee, V. H. Lee and H. V. Yun. 2001. Cancer chemopreventive compounds of red ginseng produced from Panax ginseng C. A. Meyer. J. Ginseng Res. 25, 107-1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