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폐기물로 버려지는 식품가공 부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여 포도 유래 기능성 소재를 생산하기 위한 목적으로 포도 송이가지로부터 레스베라트롤의 추출 조건을 최적화하였고 포도 송이가지 추출물(grape fruit stem extract, GFSE)의 생리활성을 평가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레스베라트롤의 추출 조건으로서 추출 용매(메탄올에탄올), 시료와 용매의 처리 비율(w/v), 추출 온도 및 추출 시간이 레스베라트롤 추출 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검토하고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의성을 평가하였다. 포도 송이가지로부터의 레스베라트롤 추출 조건을 최적화 한 결과, 80%의 에탄올에서 1:lO(w/v)의 용매의 비로 $60^{\circ}C$에서 90분을 추출하는 것이 가장 높은 추출수율을 나타냈다. 또한 포도 송이가지 추출물(GFSE)과 다른 항산화 물질의 생리활성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DPPH법에 의한 전지공여능과 SOD 유사활성으로 측정한 항산화 활성분석결과, 포도 송이가지 추출물은 비교물질로 사용된 항산화 물질들에 비해 높은 항산화능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조된 포도 송이가지 추출물은 항산화능이 높은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품 소재로 주목받고 있는 레스베라트롤 소재로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xtraction conditions for resveratrol production from grape fruit stem, which is a by-product of grape processing, were optimized to develop high-functional grape-based products. Additionally, the bioefficacy of grape fruit stem extract (GFSE) as an antioxidant agent was evaluated. Resveratrol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포도 송이가지로부터 레스베라트롤을 순수분리하여 그 특성을 검토하는 대신 레스베라트롤 이외에도 다른 항산화성 물질을 복합적으로 함유하는 포도 송이가지 추출물(GFSE)의 특성을 조사하고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생리활성 분석을 위해 조제된 모든 시료의 농도는 GFSE에 함유된 레스베라트롤을 기준으로 mg/ml으로 표시했으며, 희석시에는 80% 에탄올을 이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포도 송이가지의 부가가치를 높여 고기능성 포도 가공제품의 개발을 위하여 포도 송이가지로부터의 레스베라트롤 추출 조건을 최적화하고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가설 설정

  • 17) 레스베라트롤의 주요 공급원은 포도와 땅콩 및 그들의 가공품 등이다.10,18) 최근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트랜스 레스베라트롤(trans- resveratrol)이 포도에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이후 이에 관한 관심이 높아졌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Gorham, J. (1980) The stilbenoids. Prog. Phytochem., 6, 203-209 

  2. Siemann, E. H. and Creasy, L. L. (1992) Concentration of the phytoalexin resveratrol in wine. Am. J. Enol. Vitic., 43, 49-52 

  3. Kim, H. J., Chang, E. J., Cho, S. H. and Shin, K. C. (2002) Antioxidative activity of resveratrol and its derivatives isolated from seeds of Paeonia lactiflora. Biosci. Biotechnol. Biochem., 66, 1990-1993 

  4. Lee, E. J., Min, H. Y., Park, H. J., Chung, H. J., Kim, S. H., Han, Y. N. and Lee, S. K. (2004) G2/M cell cycle arrest and induction of apoptosis by a stilbenoid, 3, 4, 5-trimethyoxyl-4'- bromo-cis-stilbene, in human lung cancer cells. Life Sci., 75, 2829-2839 

  5. Filip, V., Plockova, M., Smidrkal, J., Spickova, Z., Melzoch, K. and Schmidt, S. (2003) Resveratrol and its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effectiveness. Food Chem., 83, 585-593 

  6. Yoo, M. A., Chung, H. K. and Kang, M. H. (2004) Optimal extract methods of antioxidant compounds from coat of grape dreg. Kor. J. Food Sci. Technol., 36, 134-140 

  7. Park, S. J., Lee, H. Y. and Oh, D. H. (2003) Free radical scavernging effect of seed and skin extracts from cambell early grape (Vitis labruscana B.). J. Kor. Soc. Food Sci. Nutr., 32, 115-118 

  8. Jang, J. H. and Ham, J. Y. (2002) The antioxidant ability of grape seed extracts. Kor. J. Food Sci. Technol., 34, 524-528 

  9. Kim, D. J., Kim, S. K. and Kim, M. H. (2003) Analysis of trans-resveratrol contents of grape and grape products consumed in Korea. Kor. J. Sci. Technol., 35, 764-768 

  10. Cho, Y. J., Kim, J. E., Chun, H. S., Kim, C. T., Kim, S. S. and Kim, C. J. (2003) Contents of resveratrol in different parts of grapes. Kor. J. Sci. Technol., 35, 306-308 

  11. Kim, H. B., Kim, J. B. and Kim, S. L. (2005) Varietal analysis and quantification of resveratrol in mulberry fruits. Kor. J. Seric. Sci., 47, 51-55 

  12. Lee, M. J., Cheong, Y. K., Kim, H. S., Park, K. H. and Suh, D. Y. (2003) Trans-resveratrol content of varieties and growth period in peanut. Kor. J. Crop Sci., 48, 429-433 

  13. Lim, J. D., Yun, S. J., Lee, S. J. and Chung, I. M. (2004) Comparison of resveratrol contents in medicinal plants. Kor. J. Med. Crop Sci., 12, 136-170 

  14. Lee, S. S., Seo, S. J., Lee, B. Y., Lee, H. B. and Leem, J. S. (2005) Optimization for the post-harvest induction of transresveratrol by soaking treatment in raw peanuts. J. Kor. Soc. Food Sci. Nutr., 34. 567-571 

  15. Kim, H. J., Chang, E. J., Bae, S. J., Shim, S. M., Park, H. D., Rhee, C. H., Park, H. J. and Choi, S. W. (2002) Cytotoxic and antimutagenic stilbenes from seeds of Paeonia lactiflora. Arch. Pharm. Res., 25, 293-299 

  16. Kim, H. J., Ha, S. C. and Choi, S. W. (2002) Inhibition of tyrosinase and lipoxygenase activities by resveratrol and its derivatives from seeds of Paeonia lactiflora. Nutr. Food, 7, 447-450 

  17. Counet, C., Callelmien, D. and Collin, S. (2005) Cholcolate and cocoa: new source of trans-resveratrol and trans-piceid. Food Chem., 98, 649-657 

  18. Kim, K. S., Ghim, S. Y., Seu, Y. B. and Song, B. H. (1999) High level of trans-resveratrol, a natural anti-cancer agent, found in Korean noul red wine. J. Microbiol. Biotech., 9, 691- 693 

  19. Cheng, J. C., Fang, J. G., Chen, W. F., Zhou, B., Yang, L. and Liu, Z. L. (2006)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studies of resveratrol and its analogues by the reaction kinetics of low density lipoprotein peroxidation. Bioorg. Chem., 34, 142-157 

  20. Sgambato, A., Ardito, R., Faraglia, B., Boninsegna, A., Wolf, F. I. and Cittadini, A. (2001) Resveratrol, a natural phenolic compound, inhibits cell proliferation and prevents oxidative DNA damage. Mutat. Res. Genet. Toxicol. Environ. Mutagen., 496, 171-180 

  21. Susanne, U. M. T. and Susan, S. P. (2005) Ellagic acid and quercetin interact synergistically with resveratrol in the induction of apoptosis and cause transient cell cycle arrest in human leukemia cells. Cancer Lett., 218, 141-151 

  22. Wang, Y., Wang, B., Cheng, J., Yang, L., Liu, Z. L., B., K., Pantazis, P., Wyche, J. H. and Han, Z. (2005) FADD-dependent apoptosis induction in Jurkat leukemia T-cells by the resveratrol analogue, 3,4,5-trihydroxy-trans-stilbene. Biochem. Pharmacol., 69, 249-254 

  23. Lee, H. J., Seo, J. W., Lee, B. H., Chung, K. H. and Chi, D. Y. (2004) Synthesis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resveratrol derivatives. Bioorg. Med. Chem. Lett., 14, 463-466 

  24. Murias, M., Jager, W., Handler, N., Erker, T., Horvath, Z., Szekeres, T., Nohl, H. and Gille, L. (2005) Antioxidant, prooxidant and cytotoxic activity of hydroxylated resveratrol analogue: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Biochem. Pharmacol., 69, 903-912 

  25. Zunino, S. J. and Storms, D. H. (2006) Resveratrol-induced apoptosis is enhanced in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cells by modulation of the mitochondrial permeability transition pore. Cancer Lett., 240, 123-134 

  26. Roh, J-H, Yun, H-K, Choi, Y-J, Hong, S-S, and Jeon, S-H (2005) Salicylic acid and resveratrol content changes as affected by Downy Mildew and anthracnose in grapevine. J. Kor. Soc. Hort. Sci., 46, 59-63 

  27. Rhee, K. Y. (1993) Antioxidant effect of phenolic compounds isolated from deffated perilla seed flour. Kor. J. Food Chem. Sci. Technol., 25, 9-14 

  28. Hatano, T., Kagawa, H. and Okawa, T. (1988) Two new flavonoids and other constituents in licorice wet: their relative astringency and radical scavenging effect. Chem. Pharm. Bull., 36, 2090-2097 

  29. Marklund, S. and Marklund, G. (1974) Involvement of the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antioxidation of pyrogallol :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9-474 

  30. Jayaprakasha, G. K. Singh,. R. P. and Sakara, K. K (2001) Antioxidant activity of grape seed(Vitis vinifera) extracts on peroxidant models in vitro. Food Chem., 73, 285-290 

  31. Woo, M. J., Seo, J. W. and Byun, S. Y. (2005) Extraction of resveratrol containing grape seed oil with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Kor. J. Biotechnol. Bioeng., 20, 383-386 

  32. Koo, S. Y., Cha, K. H. and Lee, D. U. (2007) Effects of high hydrostatic pressure on foods and biological system. Kor. J. Food Sci. Technol., 40, 23-3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