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포도 송이가지에서 레스베라트롤의 분리 정제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Resveratrol from a Grape Twig 원문보기

한국생물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v.22 no.5, 2007년, pp.351 - 355  

신현재 (조선대학교 공과대학 생명화학공학과) ,  강병선 (영동대학교 와인발효식품학과) ,  안준배 (서원대학교 RIC) ,  김복희 (서원대학교 RIC)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포도즙 착즙 후 폐기되는 포도송이가지를 재활용하여 항산화 물질로 잘 알려진 resveratrol을 80% 에탄올로 초음파 추출기를 이용하여 60분 동안 추출한 후 실리카겔 컬럼을 적용시켜 99% 이상의 순도로 정제하였다. 정제된 resveratrol의 안정성은 4$^{\circ}C$에서는 반감기가 90일이었으며, 25$^{\circ}C$에서는 60일로 조사되었다. 또한 고순도 resveratrol 추출물을 적용하여 기존의 식품에 포함된 양의 2$\sim$10배 정도 강화시킨 포도즙의 관능평가를 수행한 결과 전반적인 기호도가 높았으며, 색, 향 및 당도는 일반 포도즙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앞으로 포도착즙의 부산물인 포도송이가지에서 추출된 resveratrol은 건강보조식품, 기능성 향장품 소재 등으로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sveratrol, a polyphenolic compound with antioxidative property, was purified from the grape's twig to be used as functional additives of food and/or cosmetics. Extraction of the grape's twig was performed using 80% ethanol in ultrasonic extractor for 60 min. The crude extract was purified up to 99...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이용하여 resveratrol 강화 포도즙을 생산하기 전에 우선 시중에 판매되는 대표적인 포도즙 및 포도쥬스의 제조사별 resveratrol 함량을 조사하였다. Table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부분 시판 제품의 resveratrol 함량은 1 ppm 미만으로 분석되었으며 추후 관능시험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기존의 resveratrob을 2~10배의 농도로 조절하여 기능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 즉 resveratrol을 첨가하였을 경우 색도와 당도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결과로 나타났다. 기존 포도즙에 resveratr이추출물을 첨가했을 경우 관능검사실험의 결과를 살펴보았다. 정제된 resveratr아 추출물을 1, 5, 10 ppm 첨가한 포도즙과 80%에탄올만으로 추출한 resveratrol 추출물을 1 ppm 농도로 포도즙에 첨가한 후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관능평가한 결과는 Table 4에 나타내었다.
  • 부가가치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우선 포도송이 가지에서 resveratrol> 추출하여 분리 정제하는 방법을 최적화하고, 이 추출물을 기존의 포도즙에 적용하여 관능검사를 수행하여 기능성 성분이 강화된 제품의 개발에 응용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포도착즙 공장에서 얻어지는 포도송이 가지 부산물로부터 기능성 물질인 resveratrol을 추출 정제하여 건강보조식품 및 향장품 재료로 사용함으로서 제품의 부가가치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우선 포도송이 가지에서 resveratrol> 추출하여 분리 정제하는 방법을 최적화하고, 이 추출물을 기존의 포도즙에 적용하여 관능검사를 수행하여 기능성 성분이 강화된 제품의 개발에 응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Roy, A. M., M. S. Baliga, C. A. Elmets, and S. K. Katiyar (2005), Grape seed proanthocyanidins induce apoptosis through p53, bax, and caspase 3 pathways, Neoplasia 7, 24-36 

  2. Brondess, J. A. (2005), How to live a long time: facts, factoids and descants, Trans Am. Clin. Climaiol. Assoc. 116, 77-89 

  3. Sexton, E., C. van Themsche, K. Leblanc, S. Parent, P. Lemoine, and E. Asselin (2006), Resveratrol interferes with AKT activity and triggers apoptosis in human uterine cancer cells, Mol. Cancer 5, 45 

  4. Kim, S. H., J. Y. Kim, S. W. Park, K. W. Lee, K. H. Kim, and H. J. Lee (2003),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anticancer peptides from Korean Ginseng, Food Sri. Biotechnol. 12, 79-82 

  5. Bae, S. J., S. M. Shim, Y. J. Park, J. Y. Lee, E. J. Chang, and S. W. Choi (2002), Cytotoxicity of phenolic compounds isolated from seeds of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on cancer cell lines, Food Sri. Biotechnol. 11, 140-146 

  6. Gao, X., Y. X. Xu, G. Divine, N. Janakiraman, R. A. Chapman, and S. C. Gautam (2002), Disparate in vitro and in vivo antileukemic effects of resveratrol, a natural polyphenolic found in grapes, J. Nutr. 132, 2076-2081 

  7. Joe, A. K., H. Liu, M. Suzui, M. E. Vural, D. Xiao, and I. B. Weinstein (2002), Resveratrol induces growth inhibition. S-phase arrest, apophysis and changes in biomarker expression in several human cancer cell line, Clin. Cancer Res. 8, 893-903 

  8. Fremont, L. (2000), Biological effects of resveratrol, Life Sci. 66, 663-673 

  9. Lee, S. K., Z. H. Mbwambo, H. Chung, L. Luyengi, E. J. C. Gamez, R. G. Metha, A. D. Klinghorn, and J. M. Pezzuto (1998), Evaluation of the antioxidant potential of natural products. Comb. Chem. High Throughput Screening 1, 35-46 

  10. Chanvitayapongs, S., B. Draczynska-Lusiak, and A. Y. Sun (1997), Amelioration of oxidative stress by antioxidants and resveratrol in PC12 cells. Neuroreport 8, 1488-1502 

  11. Cho, Y. J., J. E. Kim, H. S. Chun, C. T. Kim, S. S. Kim, and C. J. Kim (2003), Contents of resveratrol in different parts of grap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306-3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