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밥과 김초밥의 저장성 비교
Storage Characteristic Comparison of Laver-wrapped Rice and Laver-wrapped Rice with Vinegar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4 no.1, 2008년, pp.99 - 105  

김은정 (성신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강선정 (성신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한영숙 (성신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aver-wrapped rice and laver-wrapped rice containing a vinegar blend (vinegar:sugar:water:salt = 5:2:2:1) were prepared and their degrees of aging from 10 to $30^{\circ}C$, total cell numbers, and total coliforms were examined and compared. The total cell numbers of the laver-wrapped ri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김밥의 저장성을 연장하고자 일상생활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식초를 이용한 배합 초를 넣어 제조한 김초밥의 저장성과 기호도를 높이고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Park SY, Choi JW. 2005. Assessment of Contamination Level of Goodborne Pathogens in the Main Ingredients of Kimbab during the Preparing Proces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1):122-128 

  2. Lee NY, Jo CR, 2005. The Prediction of the Origin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Kimbab and Improvement of Microbiological Safety by Gamma Irradi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7(2):279-286 

  3. Korea Federation of Housewives Clubs. (2004) Total aerobic and Escherichia coli croeded in Kimbab. Comsumer 10(1):11-13 

  4. KFDA. Food Code. 1993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5. KFDA. Food Code. 1994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6. KFDA. Food Code. 2007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7. Choi JD, Hwang YS, 2006. Nutritional and Microbial Quality Assessment of Chungmukimbab. J Fd Hyg Safety 21(3): 189-195 

  8. Woo SM, Jang SY, 2004. Antimicrobial Effects of Vineger on the Harmful Food-Born Organisms.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11(1):117-121 

  9. Kang KH, Choi SK, 1995. Prediction of the Cause of Bacterial Contamination in Kimbab and Its Ingredients. J Fd Hyg Safety 10(3):175-180 

  10. Choi SY, Hahn YS. 1997. The Change of Vitamin C content in Yulmoo MulKimchi according to the shift of fermentation temperature. Korean J SOC FOOD SCI 13(3):364-368 

  11. Kim JG, 2004. Microbiological Quality Assessment of Kimbap According to Preparation and Cooking Condition and Identification of Critical Control Points in the Processes. J Fd Hyg Safety 19(2):66-73 

  12. Kwak TK, Kim SH, 1996. The Prediction of Shelf-life of Packaged Meals (Kim Pab) Marketed in Convenience Stores Using Simulation Study. J Fd Hyg Safety 11(3):189-196 

  13. An AK, Lee HS, 2000. A Simulation Study on Microbiological Evaluation of Kimbap Manufacturing Process in Summer and Winter.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5(2S):333-342 

  14. Lee HS, Ryu SY, 1998. The Seasonal Microbiological Quality Assessmen of Kimbap(seaweed roll) Production flow in Foodservice facilities for Univ. students - HACCP model-. KOREAN J FOOD SCI TECHNOL 14(4):367-374 

  15. Levine, H., Slade, L 1987. Water as a plasticizer : Physicochemical aspects of low-moisture polymeric systems. In water Science Review (3), Franks, F.(ED.), Cambridge Univ. Press. p 79-185 

  16. Kohyama, K., Nishinari, K. 1991. Effect of soluble sugars gelatinization and retrogradation of sweet potato starch. J Agri Food Chem 39(3):1406-14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