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밥에 적합한 품종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Varieties Suitable for Sushi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57 no.4, 2012년, pp.436 - 440  

홍윤정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이정희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오세관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윤미라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최임수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박정화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정희정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조미숙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이점식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김정곤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육성된 품종을 이용하여 초밥에 적합한 품종 선발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여 향후 초밥에 적합한 품종을 육종하기 위한 선발지표를 탐색하기위해 국내 육성품종에 대해 초밥조리전문가들이 초밥 적성을 평가하도록 하여 초밥 적합 품종을 선발하였고, 이 품종들의 이화학적 특성과 호화특성을 조사하였다. 호품, 신동진이 초밥의 전체적인 외관 및 밥맛 비교에서 다른 국내 육성품종에 비해 우수하였고 초밥적성 품종으로 알려진 고시히까리와 차이가 없었다. 호화특성에서 강하점도(Breakdown)는 신동진, 호품, 고시히까리가 높았고, 치반점도(Setback)는 주안, 신동진, 호품이 고시히까리와 비슷한 음의 값을 보여 공시재료의 전체적인 호화특성은 신동진, 호품이 고시히까리와 비슷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호품과 신동진이 초밥용 외관 및 맛 선호도, 호화특성이 다른 품종에 비해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어 초밥에 적합한 품종으로의 활용이 기대된다. 초밥조리전문가 31명에 의한 7개 품종의 초밥 적합성 평가와 쌀 및 밥의 이화학적 특성 호화특성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초밥 적합성과 호화특성 간에 유의한 상관성이 인정되었다. 호화특성 중 최고점도, 강하점도는 초밥적합성과 정의 상관을, 치반점도는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호화특성은 초밥에 적합한 품종선발을 위한 선발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ptimal rice varieties and selection index for sushi. The suitability tests about appearance and palatability were conducted by 31 professional sushi chefs and the physicochemical and pasting properties of the selected 7 rice varieties (Koshihikari, Dami, Deuraech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초밥 적성 품종개발 연구도 일본과 대만에서 최근 10여년에 각각 1품종이 개발되었다는 보고가 있었을 뿐이다(NARO, 2011, Taitung District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tation, 1999).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 쌀의 소비촉진과 수출활성화를 목적으로 국내에서 개발된 품종을 이용하여 초밥에 적합한 품종을 선발하고 그 특성을 구명하여 향후 초밥에 적합한 품종을 육성하기 위해 필요한 선발지표를 탐색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육성된 품종을 이용하여 초밥에 적합한 품종 선발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여 향후 초밥에 적합한 품종을 육종하기 위한 선발지표를 탐색하기위해 국내 육성품종에 대해 초밥조리전문가들이 초밥 적성을 평가하도록 하여 초밥 적합 품종을 선발하였고, 이 품종들의 이화학적 특성과 호화특성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육성된 품종 중 초밥 제조에 적합한 품종 선발과 더불어 추후 초밥에 적합한 품종을 육성하기 위한 사용될 수 있는 선발지표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들 위해 초밥조리전문가 31명에 의한 7개 품종의 초밥 적합성 평가와 쌀 및 밥의 이화학적 및 호화특성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락, 김밥, 초밥, 샌드위치, 햄버거 등 즉석 섭취 식품의 수요가 점차 증가하는 이유는? 현대인은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없이 식사가 가능한 편의성을 추구하고 있으며(Kim, 2006), 이로 인해 도시락, 김밥, 초밥, 샌드위치, 햄버거 등 즉석 섭취 식품의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Lee et al., 2007).
전 세계인의 기호음식인 초밥의 재료가 되는 쌀은 어떤 종류인가?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선호하는 일본 음식은 초밥으로 알려져 있고 그 이유는 맛이 좋고 위생적이기 때문이라고 하며(Choi and Kang, 2007), 초밥은 전 세계인의 기호음식으로 소비량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초밥이 일본음식이므로 그 재료가 되는 쌀은 대부분 일본쌀 인 것으로 알려져 있고, 또한 최근에 국내에서 수출하는 쌀은 교민및 현지 일식당의 초밥용으로 많이 수출되고 있다.
일본 음식 중에서 초밥을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선호하는 이유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선호하는 일본 음식은 초밥으로 알려져 있고 그 이유는 맛이 좋고 위생적이기 때문이라고 하며(Choi and Kang, 2007), 초밥은 전 세계인의 기호음식으로 소비량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초밥이 일본음식이므로 그 재료가 되는 쌀은 대부분 일본쌀 인 것으로 알려져 있고, 또한 최근에 국내에서 수출하는 쌀은 교민및 현지 일식당의 초밥용으로 많이 수출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hae, M. J. and H. J. Bae. 2008. A survey on preference and satisfaction of the customers purchasing ready-to-eat foods. Korean J. Food Cookery Sci. 24(6) : 788-800. 

  2. Cho, S. K., B. Y. Moon, and J. H. Park. 2009. Microbial contamination analysis to assess the safety of marketplace sushi. Korean J. Food Sci. Technol. 41(3) : 334-338. 

  3. Choi, J. H. and K. O. Kang. 2007. A study on customers' recognition and preference attributes for Japanese food.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4. Jung, S. W., J. H. Song, K. G. Lee, K. W. Hong, and S. J. Lee. 2006. Inhibitory effects of temperature and vinegar against indicator organisms in raw fishes for sushi ingredient during chilled storage. Food Eng. Prog. 10 : 192-200. 

  5. Kim, E. J., S. J. Kang, and Y. S. Hahn. 2008. Storage characteristic comparison of laver-wrapped rice and laver-wrapped rice with vinegar. Korean J. Food Cookery Sci. 24(1) : 99-105. 

  6. Kim, M. J. 2006. Characteristics of ordinary diets in present : problems and solutions. Korean Home Economics Assoc 44(8) : 151-16. 

  7. Lee H. Y., L. N. Chung, and I. S. Yang. 2007. Consumer inclination to convenience toward home meal replacement. Journal of Foodservice Management 10(2) : 285-315. 

  8. Lee, K. W., H. C. Chung, and M. S Cho. 2011. Sushi consumption behavior of koreans according to food-related lifestyle type among consumers. Korean J. Food Culture 26(6) : 574-582. 

  9. Lorentzen, G., M. S. W Breiland, M. Cooper, and H. Herland. 2012. Viability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an experimental model of nigiri sushi of halibut (Hippoglossus hippoglossus) and salmon (Salmo salar). Food Control. 22 : 245-248. 

  10. Odahara, M., H. Sokooshi, T. Takahashi, H. Okadome, and K. Ohtsubo. 2004. The effect of sushi vinegar on texture of sushi rice before and after storage under low temperature. Nippon Shokuhin Kagaku Kogaku Kaishi 51(11) : 620-625. 

  11.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3. Evaluate the quality and taste of ri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12. Sung, K. H., K. Y. Chae, and J. S. Hong. 2006. Changes by rigor mortis of flounder, seabream with different storage time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shi making.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6(4) : 438-446. 

  13. Sung, K. H., C. W. Kim, B. K. Song, and J. K. Lee. 2008. Japanese dishes. Baeksan publishing. 

  14. Tohyama H. and Y. Moriyama. 2002. Quick & easy sushi Cookbook, Kodansha international. 

  15. National Agriculture and Food Research Orgnization. 2011. A sushi suitable rice variety 'Eminokizuna'. National Agriculture and Food Research Orgnization(NARO), Agricultural Research center, Hokuriku Research center. 

  16. Taitung District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tation. 1999. A good quality sushi suitable rice variety 'Taitung32'. Taitung District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tation, Council of Agriculture, Executive Yu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