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삼 신품종의 뿌리부위별 진세노사이드 함량 및 패턴비교
Comparison of Ginsenoside Contents and Pattern Similarity Between Root Parts of New Cultivars in Panax ginseng C.A. Meyer 원문보기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高麗人參學會誌, v.32 no.1, 2008년, pp.15 - 18  

안인옥 (KT&G 중앙연구원 생물자원연구소) ,  이성식 (KT&G 중앙연구원 생물자원연구소) ,  이장호 (KT&G 중앙연구원 생물자원연구소) ,  이미자 (KT&G 중앙연구원 인삼연구소) ,  조병구 (KT&G 중앙연구원 인삼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인삼의 부위별 진세노사이드 패턴 유사성과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진세노사이드 단위함량과 총함량은 고풍이 각각 18.9 mg/g, 596 mg/g으로 가장 높았고 연풍, 금풍, 선풍이 뒤를 이었으며, 천풍은 각각 8.0 mg/g, 209.5 mg/g으로 고풍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였다. 부위별로 보면 뇌두의 진세노사이드 단위함량과 총함량은 연풍이 가장 높았으며, 동체와 지근 및 세근에서는 고풍이 높았다. 뿌리와 각 부위의 진세노사이드 패턴 유사성은 지근과 뇌두가 각기 0.95, 0.94로 높았으며 동체와 세근은 각기 0.78, 0.80으로 다소 낮았다. 지근에서 품종별 진세노사이드 패턴 유사성을 보면 천풍, 연풍, 고풍, 금풍이 각기 0.98, 0.98, 0.96, 0.98로 아주 높았으며, 선풍은 0.87로 다소 낮았다. 뿌리와 각 부 위의 진세노사이드 상관계수는 지근에서 0.843으로 가장 높았으며 동체, 세근, 뇌두 순으로 낮아졌다. 또한 단위함량과 총 함량의 상관계수는 0.933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basic information on ginsenoside contents and pattern similarity in five cultivars of Panax ginseng C.A. Meyer. Among five cultivars the unit content and total content of ginsenosides were the highest in Gopoong cultivar as 18.9 mg/g and 596 mg/root, resp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인삼의 주요 이차대사산물인 사포닌은 토양이나 기후조건 등 재배환경에 따라 함량의 변이가 큰 편이지만 6) 계통에 따라 뿌리의 동체, 지근, 세근의 발달정도가 다르며 부위에 따라 사포닌함량이 다른 것으로 보아 7, 8) 사포닌고함유 품종의 선발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이에 인삼 6년근의 부위별 진세노사이드 패턴 유사도 및 상관관계 등을 조사하여 계통선발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 인삼의 부위별 진세노사이드 패턴 유사성과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진세노사이드 단위함량과 총 함량은 고풍이 각각 1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Chung, Y.S., Chang, Y.H. and Sung, J.H. : The effect of ginseng and caffeine products on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ouse kidney. J. Ginseng Res. 30, 15-21 (2006). 

  2. Kim, N.D., Han, B.H., Lee, E.B. and Kang, J.Y. : Studies on ginseng on antistress effects. Kor. J. Pharmacog. 10, 61-67 (1987). 

  3. Elma, Z.T., Ilan, E.Z. and Christina, I.H. : Effect of ginsenoside Rg1 on insulin binding in mice liver and brain membrane. Phytotheraphy Res. 5, 46-48 (1991). 

  4. Henishin, C.C., Lee, R., Wang, l.C. and Liu, H.J. : Effect of ginsenoside on central cholinergic metabolism. Phamacology 42, 223-229 (1991). 

  5. Choi, K.T., Lee, M.G., Kwon, W.S. and Lee, J.H. : Strategy for High-Quality Ginseng Breeding. Korean J. Breeding 26(s), 83-91 (1994). 

  6. Lee, M.K., Park, H. and Lee, C.H. : Effect of growth condition on saponin content and ginsenoside pattern of Panax ginseng. Korean J. Ginseng Sci.11(2), 233-251 (1987). 

  7. Kim, M.W. Ko, S.R., Choi, K.J. and Kim, S.C. : Distribution of Saponin in Various Sections of Panax ginseng root and Changes of Its Contents According to Root Age. Korean J. Ginseng Sci. 11(1), 10-16 (1987). 

  8. Jang, J.G., Lee, K.S. Kwon, D.W. and Oh, H.K. : Chemical Compositions of Korean Ginseng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Part of Ginseng Plant. Korean J. Ginseng Sci. 11(1), 84- 89 (1987). 

  9. Kwon, W.S., Kang, J.Y., Lee, J.H. Lee. M.G. and Choi, K.T. : Red Ginseng Quality and Characteristics of KG101 a Promising Line of Panax ginseng. J. Ginseng Res. 22(4), 244-251 (1998). 

  10. Kwon, W.S., Chung, C.M., Kim, Y.T. and Choi, K.T. : Comparision of Growth, Crude Saponin, Ginsenosides, and anthocyanins in superior Lines of Panax ginseng C.A. Meyer. Korean J. Breeding 23(3), 219-228 (1991). 

  11. Park, H., Park-Lee, Q.H. and Yoo, K.J. : Relationship Between Ginsenoside Content and Stem Color Intensity of Panax ginseng. J. Korean Agricultural Chemical Society 25(4), 97-103 (19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