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데이터 품질 향상을 위한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 개선 사례 연구: 데이터 표준과 요구사항 관리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Improvement of Data Management Process for Enhancing Data Quality: Focus on Data Standards and Requirement Management 원문보기

Information Systems Review, v.10 no.1, 2008년, pp.91 - 113  

허희정 ((주)코이드 DB관리부) ,  김종우 (한양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기업의 각 업무가 정보화되면서 부문별, 업무별 정보시스템의 데이터 간에 심각한 중복성과 불일치성의 문제가 대두되면서 데이터 품질관리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실제로 데이터품질 관리 프로세스 개선을 통해 데이터 품질이 향상된 기업의 사례를 통하여 프로젝트 수행 과정에서의 주요 이슈와 위험요인을 살펴보고 그 해결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데이터 품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타 기업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또한, 개선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다차원적인 평가로서 데이터 품질, 생산성, 고객만족도, 조직 및 문화의 측면에서 정성적이고 정량적인 지표를 통한 개선효과를 살펴보고 평가함으로써 제안된 프로세스에 의해 품질수준이 향상되었음을 검증하였고 평가 분석을 통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as most functional business activities in an enterprise are supported by computerized information systems, data duplication and inconsistency among functional information systems become serious problems. It brings people to have many interests on data quality management. This paper present...

주제어

참고문헌 (36)

  1. DPC, 2006 데이터베이스 백서, 한국데이터베이 스진흥센터, 2006a 

  2. DPC, 데이터 품질관리 성숙모형, 한국데이터베 이스진흥센터, 제1.0호, 2006b 

  3. DPC, 데이터 품질관리 지침, 한국데이터베이스 진흥센터, 제2.1호, 2006c 

  4. 김문영, 체계적인 데이터 품질 관리를 위한 대 안을 찾아서, 마이크로소프트웨어, 제255 호, 2005, pp. 208-216 

  5. 김은영, '데이터 품질 기준의 중요도에 관한 연 구: 평가자 역할과 시스템특성을 중심으 로', 한국외국어대 경영정보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2004 

  6. 김진섭, '데이터표준화 사례를 통한 데이터 품 질 향상에 대한 연구', 한국정보과학회 가 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2(C), 2006, pp. 210-213 

  7. 김찬수, 박주석, '데이터 품질관리 성숙도모델에 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제20권, 제4 호, 2003, pp. 249-275 

  8. 박종모, '데이터 품질 향상을 위한 데이터웨어하 우스 개발 프로세스의 개선',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9. 원종근, '외부 데이터 보강을 통한 고객 데이터 품질 제고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2005 

  10. 이승원, '데이터 품질관리 적용 사례', 데이터베 이스 그랜드 컨퍼런스, 2004 

  11. 이재범, 한만호, '데이터 품질관리 방안 연구', 서 강경영논총, 제15권, 제1호, 2004, pp. 113-122 

  12. 이정우, '정보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데 이터품질관리포럼 세미나, 2005 

  13. 이춘열, 박현지, '데이터베이스 품질 평가에 관 한 사례 연구',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제11권, 제4호, 2004, pp. 209-225 

  14. 이화식, 데이터 아키텍쳐: 전사적 아키텍처와 데 이터 아키텍처의 개념, 컴퓨터월드, 제241 호, 2003, pp. 214-234 

  15. 정경수, 김병곤, 장상도, '데이터 웨어하우스의 데이터 품질 향상을 위한 개념적 프레임워 크의 개발', 경영교육논총, 제19권, 1999, pp. 191-201 

  16. 홍기선, '전사 데이터품질관리시스템을 통한 데 이터 품질향상 사례', 데이터품질관리포럼 세미나, 2005 

  17. 홍일유, 'DB 품질분석을 위한 프레임워크의 개 발에 관한 연구: 데이터 수명주기 관점', 경 영학논집, 제30권, 제2호, 2004, pp. 165-192 

  18. 홍현진, '웹 기반 데이터베이스의 품질평가 기 준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지, 제39권, 제2호, 2005, pp. 211-235 

  19. Ballon, D. P. and Tayi, G. K., 'Enhancing Data Quality in Data Warehouse Environments', Communication of the ACM, Vol.42, No.1, 2002, pp. 73-78 

  20. Brackett, Michael, 'The Concept of Data Resource Data', Data Resource Management, Vol.4, 2002, pp. 149-150 

  21. Kahn, Beverly L., Strong, Diane M. and Wang, Richard Y., 'Information Quality Benchmarks: Product and Service Performance', Communication of the ACM, Vol.45, 2002, pp. 184-19 

  22. Kelly, Sean, Data Warehousing in Action, Wiley, 1997 

  23. Miller, H., 'The Multiple Dimensions of Information Quality', Information Systems Management, Spring 1996, pp. 79-82 

  24. Orr, Ken, 'Data Quality and Systems Theory', Communication of the ACM, Vol.41, No.2, 1998, pp. 66-71 

  25. Pinto, J. K. and Slevin, D. P., 'Critical Factors in Successful Project Implementation', IEEE Transactions on Engineering Management, Vol.EM-34, No.1, 1987, pp. 22-27 

  26. Pipino, L.L, Lee, Y.W., Wang, R.Y., 'Data Quality Assessment,' Communication of the ACM, Vol.45, No.4, 2004, pp. 211-218 

  27. PMI, A Guide to the Project Management Body of Knowledge(PMBOK Guide), Project Management Institute, 2004 

  28. Redman, Thomas C., 'Impact of Poor Data Quality on the Typical Enterprise', Communication of the ACM, Vol.41, No.2, 1998, pp. 79-82 

  29. Strong, Diane M., Lee, Yang W. and Wang, Richard Y., 'Data Quality in Context', Communication of the ACM, Vol.40, No.5, 1997, pp. 103-110 

  30. Wang, Richard Y. and Strong, Diane M., 'Beyond Accuracy: What Data Quality Means to Data Consumers',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Vol.12, No.4, 1996, pp. 5-34 

  31. Wang, Richard Y., 'A Product Perspective on Total Data Quality Management', Communication of the ACM, Vol.41, No.2, 1998, pp. 58-65 

  32. Wang, Richard Y., Lee, Yang W., Pipino, Leo L. and Strong, Diane M., 'Manage Your Information as a Product', Sloan Management Review, Vol.39, No.4, 1998, pp. 95-10 

  33. Wang, Richard Y., Storey, Veda C. and Firth, Christopher P., 'A Framework for Analysis of Data Quality research', IEEE Transactions on Knowledge and Data Engineering, Vol.7, No.4, 1995, pp. 623-640 

  34. Winkler, W. E., 'Methods for Evaluating and Creating Data Quality', Information Systems, Vol.29, 2004, pp. 531-550 

  35. http://dbguide.net/, 데이터베이스 구축 운영 종 합정보 

  36. http://dbq.dpc.or.kr/, 데이터 품질관리 인증센터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