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데이터 품질관리가 데이터 활용도 및 고객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Data Quality Management on Data Utiliza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원문보기

서비스연구 = Journal of service research and studies, v.5 no.2, 2015년, pp.119 - 132  

안희정 (삼성SDS) ,  김현수 (국민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낮은 품질의 데이터가 기업의 효율적인 운영과 신속한 의사결정을 저해한다는 이슈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경영층의 지원과 경쟁력이 심화되고 있는 경영환경이 데이터 활용 품질관리 활동의 영향요인이 될 수 있는지, 해당 활동이 업무처리 또는 의사결정을 위한 데이터 활용을 촉진시킴으로써 고객 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데이터 활용 품질관리는 데이터를 업무처리에 직접적 또는 의사결정에 활용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요인이 될 수 있으며, 데이터 활용이 고객지향성에 간접적인 효과를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직접적인 매출 향상의 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 같지 않다는 인식으로 데이터 품질관리의 중요성을 간과하는 기업의 경영자들에게 데이터 품질관리활동의 가치 및 경영층의 지원에 대한 실무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a problem that the poor quality of data hinder the efficient operation and rapid decision-making in enterprises. Thus, we examined if the management class support and business environment could influence the data utilization management in this research. We also verified that relevant activit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대기업의 경우에도 데이터 품질 향상이 당장 재무적 이익으로 연결될 것 같지 않다는 인식으로 데이터 품질관리에 투자를 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데이터 활용 품질관리 활동이 데이터 활용도 및 고객 지향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해보는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기업의 경영자들에게 데이터 품질관리 활동의 가치 및 경영층의 지원에 대한 실무적 함의를 제시할 것으로 생각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 경영층 지원은 데이터 활용 품질관리에 정(+) 의 영향을 미친다.
  • 가설 2: 경영환경은 데이터 활용 품질관리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 가설 3: 데이터 활용 품질관리는 데이터 활용도에 정 (+)의 영향을 미친다.
  • 가설 4: 데이터 활용도는 고객 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데이터 품질관리의 영향요인에 관한 선행연구들로 어떤 것들이 있습니까? 데이터 품질관리의 영향요인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English(1999)는 고품질의 데이터 품질 확보를 위해서는 훈련 및 의사소통과 더불어 데이터 품질 개선을 위한 관리자 계층의 관심과 지지 등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Huang et al.(1999)도 데이터 공급자, 생산자, 소비자들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과 지속적인 데이터 품질 개선을 담당할 수 있는 전담자의 전문역량 향상, 최신의 데이터 품질 기법전수 등 꾸준한 데이터 품질 개선노력이 조직에 내재화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Xu et al.(2003)은 회계정보시스템분야의 데이터 품질 주요 성공요인을 최고 의사결정권자와 중간 관리자 계층의 관심과 지지, 데이터 품질 향상을 장려하는 조직문화, 교육과 훈련 등으로 정리하였다. 최고 경영층의 지원, 데이터 품질관리 전담조직, 교육훈련 등이 선행연구 문헌에서 많이 언급되고 있는 영향요인 들로 나타났으며 이중 공통적으로 가장 중요하다고 언급되고 있는 요소가 경영층의 지원이라고 판단하였다.
기업의 효율적인 운영과 신속한 의사결정을 저해하는 요인의 하나로 어떤 것이 있나요? 대부분의 기업은 모든 업무를 정보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급변하는 비즈니스 환경에 신속히 대처하고 정확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수행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그런데, 정보시스템의 기초가 되는 데이터의 부정확성 및 일관성 저하 등으로 인한 데이터의 품질 문제가 기업의 효율적인 운영과 신속한 의사결정을 저해하는 요인의 하나로 문제제기가 되고 있다. 산업의 서비스화가 가속화되고 정보시스템의 의존도가 높은 경영환경에서 낮은 품질의 데이터가 기업경영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많은 기업 현장에서는 데이터 품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있지 못하는 사례들이 많다.
대기업이 데이터 품질관리에 투자를 하지 않는 이유는? 산업의 서비스화가 가속화되고 정보시스템의 의존도가 높은 경영환경에서 낮은 품질의 데이터가 기업경영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많은 기업 현장에서는 데이터 품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있지 못하는 사례들이 많다. 대기업의 경우에도 데이터 품질 향상이 당장 재무적 이익으로 연결될 것 같지 않다는 인식으로 데이터 품질관리에 투자를 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데이터 활용 품질관리 활동이 데이터 활용도 및 고객 지향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해보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강덕희 (2012), "데이터 품질관리 활동이 사용자만족과 활용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고 륜 (2008), "품질경영 핵심요인이 내부고객만족과 서비스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권영훈 (2008), "품질경영활동의 성과실현에 대한 제조업과 서비스업 차이에 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21(5), 2233-2255. 

  4. 김순희 (2009),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팀 내 친밀감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김영조 (2008), "호텔종사원들의 고용형태가 조직 시민행동 및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경영학연구, 37(4), 839-871. 

  6. 송지준 (2013), "SPSS/AMOS 통계분석방법", 21세기사, 개정2판. 

  7. 임치근, 김원인 (2009), "항공사 종사원의 사장지향성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24(3), 239-259. 

  8. 정승호 (2013), "공공기관의 데이터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 DQC의 "DQ 방법론", (www.dqc.or.kr). 

  10.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 (2006), "데이터 품질관리 지침 Ver2.1." 

  11. 허희정, 김종우 (2008), "데이터 품질향상을 위한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 개선 사례 연구: 데이터 표준과 요구사항 관리 중심으로", Information Systems Review, 10(1), 91-113. 

  12. 홍순덕 (2012), "서비스기업의 내부마케팅 요인이 직무만족, 서비스몰입 및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홍인경 (2011), "간호사가 인지하는 내부마케팅 정도와 직장애착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Berry, L. L., Parasuraman, A., and Zeithaml, V. A. (1994), "Improving service quality in America: lessons learned", Academy of Management executive, 8(2), 32-52. 

  15. Data Management International, "DMBOK (Data Management Body Of Knowledge)", (http://www.dama.org). 

  16. Dess, G. G. and Beard, D. W. (1984), "Dimensions of organizational task environment",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29(1), 52-73. 

  17. English, L. P. (1999), "Improving Data Warehouse and Business Information Quality: Methods for Reducing Costs and Increasing Profits", John Wiley and Sons. 

  18. Huang, K., Lee, Y., and Wang, R. (1999), "Quality Information and Knowledge, 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N.J. 

  19. Wayne W. Eckerson (2002), "DATA QUALITY AND THE BOTTOM LINE", TDWI REPORT SERIE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