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방한 외국인 한국에 대한 국가이미지가 패션문화상품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Foreign Visitors' Korean National Image Influencing Preference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2 no.4, 2008년, pp.669 - 680  

장세정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  이유리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s national image can be delivered through cultural products, and cultural products can finally contribute to the affirmative attitude and recognition towards Korea. In an empirical study,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foreigners who v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선행연구 (심재웅 외, 2005)에 따르면 국가이미지에 관한 연구에서는 한국에 대해 가장 알고 싶은 분야가 문화/예술 분야로 나와 문화/예술적 속성은 세계적으로 동질화되어 가는 사회에서 차별화될 수 있는 중요한 원천이 될 수 있음을 시사했고 이를 상품화한 문화상품은 경제적으로 커다란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국가이미지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패션 문화상품을 통한 국가이미지 개선에 효율적인 전략을 제시하고 학계와 업계 모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며 나아가국가경쟁 력 향상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 먼저 한국어로 설문이 작성되었고 이후 이 중 언어권자 한국인에 의해 각 언어권의 언어로 번역되었다. 번역된 외국어 설문지는 첫 번째 번역에 참가하지 않은 새로운 이 중 언어권자들에 의해 한국어로 재 번역되었는데, 이는 처음에 준비된 한국어 설문 문항과 재 번역된 한국어 설문 문항을 비교함으로써 번역 과정에서 두 언어간의 의미가 동일하였는가, 의미에 변화가 있었는가를 확인하기 위한 절차였다. 이 과정을 통하여 한국어와 외국어 간의 설문지 내용이 대부분 동일함이 확인되었으며 맨 처음 준비된 한국어 설문문항과 외국어로 번역된 설문 문항에 기초하여 약간의 수정을 거쳐 영어, 일본어, 중국어의 최종 설문지가 완성되었다.
  • 본 연구는 패션문화상품의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방한 외국인이 인지하는 한국의 국가이미지를 문화권별로 살펴봄으로써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패션 문화상품 개발과 이를 통한 국가이미지 개선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 이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가이미지 개념에 관한 기존의 다차원적 논의를 기초로 국가 이미지를 그 국가의 경제적, 정치적, 그리고 문화적 측면을 반영하는 일반적이고 전반적인 국가 그 자체의 이미지로 접근하고자 한다.
  • 이에 문화상품을 통해 우리만의 고유한 문화요소로 정체성과 독창성을 표현하고 국제화된 감각과 함께 한국적 디자인으로 미래의 시장에서 새로운 국제경쟁력을 갖추어 야 한다.
  • (2005). 해외다국적기업 제품에 대한 국가이 미지와 브랜드이 미지가 브랜드충성도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무역학회지, 30(6), 103-12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강응선. (1997). 우리나라 문화상품의 디자인 개발 진흥 정책에 관한 연구. 서울: 매일경제연구소 

  2. 김고현. (2002). 주요국의 국가이미지 제고전략과 시사점. 서울: 한국무역협회무역연구소 

  3. 김성섭, 오선영, 김기홍. (2003). 2002 월드컵 개최로 인한 방한 외래 관광객이 지각하는 한국에 대한 국가이미지 변화. 관광학연구, 26(4), 43-56 

  4. 김용상. (1999). 국가이미지 국제비교에 관한 연구. 관광정책학연구, 5(2), 87-113 

  5. 미래엔 상품보다 가치...한국도 '뿌리'를 뒤져라. (2007, 3. 28). 중앙일보. 자료검색일 2007, 1. 5, 자료출처 http://www.joins.com 

  6. 신호창. (2001, 11). 국가이미지 실태와 형성과정: 국가이미지 제고를 위한 해외홍보의 목표와 전략. 한국언론학회 심포지움, 서울 

  7. 심재웅, 신성현, 지혜진. (2005). 세계화 시대의 국가 마케팅 전략을 위한 국가이미지 조사. 한국리서치 Research Note Winter 2005, p. 6-11 

  8. 안종석. (2005). 다차원적 속성의 국가이미지가 제품 평가 및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 소비자를 중심으로. 국제무역연구. 16(2), 63-90 

  9. 염성원, 오경수. (2003). 한국의 국가이미지 제고활동 현황과 인식에 관한 연구. 홍보학연구, 7(2), 98-142 

  10. 오미영, 박종민, 장지호. (2003). 한국의 국가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14(1), 149-177 

  11. 이대훈. (2006). 국가이미지 개선을 통한 국가경쟁력 강화 매커니즘-문화 Resource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이장로, 이춘수, 박지훈. (2005). 해외다국적기업 제품에 대한 국가이미지와 브랜드이미지가 브랜드충성도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무역학회지, 30(6), 103-124 

  13. 조선대학교 산업디자인 특성화 사업단. (2000). 21세기 전남 문화산업 육성을 위한 전통문화 상품화 계획. 광주: 전남 발전연구소 

  14. 조혜영. (2003). 중국 청소년들의 한류 인식과 한.중 청소년 교류전망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 연구, 10(1), 223-247 

  15. 최미숙. (1998). 국가이미지 제고와 국가경쟁력 강화에 관한 실증연구-미국 언론 분석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한국관광공사. (2006). 2006년 외래관광객 실태조사. 서울: 한국관광공사 

  17. Bilkey, W. J. & Nes, E. (1982). Country-of-origin effects on product evaluations.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13(1), 89-99 

  18. Crawford, J. C. & Garland, B. C. (1987). East-west trading relationship: The importance of political freedom. Journal of Global Marketing, 1(1/2), 105-112 

  19. Han, C. M. (1989). Country image: Halo or summary construct?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6(2), 222-229 

  20. Hong, S. T. & Wyer, R. S. (1989). Effects of country-of-origin and product-attribute information on product evaluation: An information processing perspectiv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6, 175-187 

  21. Kim, C. (1999). Cross-cultural perspectives on motivation. Annals of Tourism Research, 25(1), 201-204 

  22. Klein, J. G., Ettenson, R., & Morris, M. D. (1998). The animosity model of foreign product purchase: An empirical test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Journal of Marketing, 62(1), 89-100 

  23. Knight, G. A. & Calantone, R. J. (2000). A flexible model of consumer country-of-origin perceptions. International Marketing Review, 17(2/3), 127-145 

  24. KOTRA. (2005, 9). 2005 국가이미지 현황 및 시사점. 서울: KOTRA 통상전략팀 

  25. Lee, C. W. (1997). Product-country images: The role of country image in consumers' prototype product evaluation. Ph. D. Dissertation, Henley Management College, Brunel University, London 

  26. Obermiller, C. & Spangenberg, E. (1989). Exploring the effects of country of origin labels: An information processing framework.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6, 454-459 

  27. Reierson, C. (1966). Are foreign products seen as national stereotypes? Journal of Retailing, 42(3), 33-40 

  28. Schooler, R. D. (1965). Product bias in the central American common market.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4), 394-397 

  29. Tse, D. K. & Lee, W. N. (1993). Removing negative country images: Effects of decomposition, branding, and product experience. Journal of International Marketing, 1(4), 25-4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