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등나무 꽃 50 g에 1 L의 네 가지 용매(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물)를 각각 가하여 추출한 다음, 농축하여 각각의 용매별 추출물을 얻었다. 이 용매별 추출물을 이용하여 등나무 꽃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총 페놀 함량에서 보라색은 물 추출물이 491 ${\mu}M$ GAE로 가장 높았고, 흰색은 에탄올 추출물이 787 mM GAE로 가장 높았다. 보라색 등나무 꽃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1,000 ${\mu}g/mL$ 농도에서 물 추출물이 58.21%로 가장 높은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흰색 꽃도 물 추출물에서 74.52%로 가장 높은 값을 가졌다. ABTS 라디칼 소거능의 경우에도 1,000 ${\mu}g/mL$ 농도에서 보라색 꽃과 흰 꽃의 물 추출물이 각각 64.50%와 73.07%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환원력은 보라색 꽃의 에탄올 추출물, 흰 꽃의 메탄올과 물 추출물이 비교적 높게 측정되었다. 한편, 등나무 꽃 추출물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DNA 손상억제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1, 10, 50 ${\mu}g/mL$의 농도로 백혈구에 처리한 후 $H_2O_2$(200 ${\mu}M$)로 DNA 손상을 유도한 결과, 보라색 꽃의 에탄올 50 ${\mu}g/mL$ 처리구와 모든 농도의 아세톤 추출물 처리구를 제외하고는 $H_2O_2$ 처리양성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흰색 꽃의 경우 모든 추출물에서 $40{\sim}80%$ 정도의 높은 저해율을 보였다. 따라서 등나무 꽃 추출물이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잠재적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Wisteria floribunda flowers (WFF) were evaluated. The samples were prepared by extracting separately two different colored flowers (purple and white) with four different solvents (methanol, ethanol, acetone, and water). The antioxidant properties were evaluated by det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20 μL/mL 농도의 ethidium bromide로 핵을 염색하여 cover glass로 덮은 뒤 형광현미경(Leica, Germany) 상에서 관찰하였다.
  • 20 μL/mL 농도의 ethidium bromide로 핵을 염색하여 cover glass로 덮은 뒤 형광현미경(Leica, Germany) 상에서 관찰하였다. CCD camera(Nikon, Japan)를 통해 보내진 각각의 세포핵 image는 Komet 5.0 comet image analyzing system(Kinetic Imaging, UK)이 설치된 컴퓨터 상에서 분석하였다. 백혈구의 hydrogen peroxide에 의한 DNA 손상 및 각 추출물에 의한 손상억제 정도는 핵으로부터 이동해서 꼬리 부분으로 떨어져 나간 꼬리 부분 내 DNA %함량(% Tail DNA)을 측정하여 나타내었다.
  • 백혈구의 hydrogen peroxide에 의한 DNA 손상 및 각 추출물에 의한 손상억제 정도는 핵으로부터 이동해서 꼬리 부분으로 떨어져 나간 꼬리 부분 내 DNA %함량(% Tail DNA)을 측정하여 나타내었다. 각각의 처리구에서 2개의 slide를 만들어 각각 100개 세포의 DNA 손상 정도를 측정하고 각 처리구는 최소 3회 반복 실험 하였다.
  • 각각의 추출물은 여과지(Whatman No. 1)로 여과한 후, 4℃, 4,300×g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분리하고 이것을 회전진공농축기(Eyela N-1000, Tokyo Rikakikai Co., Tokyo, Japan)로 40℃에서 농축하였다.
  • 깨끗한 등나무 꽃 100 g에 1 L의 용매(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물)를 각각 가하여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각각의 추출물은 여과지(Whatman No.
  • 등나무 꽃 50 g에 1 L의 네 가지 용매(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물)를 각각 가하여 추출한 다음, 농축하여 각각의 용매별 추출물을 얻었다. 이 용매별 추출물을 이용하여 등나무 꽃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 0 comet image analyzing system(Kinetic Imaging, UK)이 설치된 컴퓨터 상에서 분석하였다. 백혈구의 hydrogen peroxide에 의한 DNA 손상 및 각 추출물에 의한 손상억제 정도는 핵으로부터 이동해서 꼬리 부분으로 떨어져 나간 꼬리 부분 내 DNA %함량(% Tail DNA)을 측정하여 나타내었다. 각각의 처리구에서 2개의 slide를 만들어 각각 100개 세포의 DNA 손상 정도를 측정하고 각 처리구는 최소 3회 반복 실험 하였다.
  • 줄기는 식용․관상용 또는 세공재로도 쓰이고, 꽃은 양봉농가의 밀원자원에 쓰이고 있으며, 특히 여름에 그늘을 만들기 위해 흔히 심는 나무 덩굴이다. 본 실험에서는 등나무의 두 가지 색깔(흰색과 보라색)의 꽃으로부터 4가지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제조하고, 그 추출물의 항산화 특성을 조사하였다.
  • 분리해 놓은 백혈구에 DMSO로 희석한 각 추출물을 1, 10, 50 μg/mL의 농도로 처리하여 37℃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 Lysis가 끝난 후, slide를 전기영동 tank에 배열하고 4℃의 전기영동 buffer(300 mM NaOH, 10 mM Na2EDTA, pH>13)를 채워 40분 동안 unwinding 시켜 DNA의 alkali labile sites가 드러나게 한 후 25 V/300±3 mA의 전압을 걸어 20분간 전기영동을 실시하였다. 빛에 의해 DNA가 부가적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위의 과정은 전기영동 tank를 어두운 천으로 빛을 차단한 상태에서 실시하였다. 전기영동이 끝난 후 0.
  • 이 반응물에 1.25 mM의 ABTS와 peroxidase(1 unit/mL: 1 unit는 25℃, pH 5.0에서 분당 1 μmol의 ABTS를 산화시키는 양)를 0.03 mL씩 넣고 다시 37℃에서 10분간 반응을 시킨 후,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아래의 식에 의하여 ABTS 라디칼소거능을 계산하였다.
  • 등나무 꽃 50 g에 1 L의 네 가지 용매(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물)를 각각 가하여 추출한 다음, 농축하여 각각의 용매별 추출물을 얻었다. 이 용매별 추출물을 이용하여 등나무 꽃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총 페놀 함량에서 보라색은 물 추출물이 491 μM GAE로 가장 높았고, 흰색은 에탄올 추출물이 787 mM GAE로 가장 높았다.
  • 총 페놀 함량은 Gutfinger의 방법(10)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즉, 시료 1 mL를 취하여 2%(w/v) Na2CO3용액 1 mL를 가하고 3분간 방치한 후, 50% Folin-Ciocalteu 시약 0.

대상 데이터

  • 건강한 성인 남성으로부터 채혈한 신선한 전혈을 Histopaque 1077을 이용해 백혈구만을 분리해낸 후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분리해 놓은 백혈구에 DMSO로 희석한 각 추출물을 1, 10, 50 μg/mL의 농도로 처리하여 37℃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 본 실험에서 사용한 등나무 꽃은 2007년 5월 경남 마산시경남대학교 내에서 수집하였다. 항산화력 측정에 사용된 Folin-Ciocalteu 시약은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데이터처리

  • TPC(total phenolic contents), DPPH 라디칼 소거능 그리고 RP에 대한 데이터의 통계처리는 각 시료 당 3회 반복으로 행해졌으며,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오차, Student-Newman-Keul's multiple range tests로 평균값들에 대해 유의성을 검정하였다(14).
  • 각 항목에 따라 백분율과 평균치±표준오차를 구하고 각 추출물의 DNA 손상 억제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one-way 분산분석(ANOVA)을 시행하여 F값을 구하고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이용하여 각 구간의 유의성 차이를 검증하였다.
  • TPC(total phenolic contents), DPPH 라디칼 소거능 그리고 RP에 대한 데이터의 통계처리는 각 시료 당 3회 반복으로 행해졌으며,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오차, Student-Newman-Keul's multiple range tests로 평균값들에 대해 유의성을 검정하였다(14).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DNA 손상 결과는 SPSS-PC+ 통계 package를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각 항목에 따라 백분율과 평균치±표준오차를 구하고 각 추출물의 DNA 손상 억제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one-way 분산분석(ANOVA)을 시행하여 F값을 구하고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이용하여 각 구간의 유의성 차이를 검증하였다.
  • 각 항목에 따라 백분율과 평균치±표준오차를 구하고 각 추출물의 DNA 손상 억제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one-way 분산분석(ANOVA)을 시행하여 F값을 구하고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이용하여 각 구간의 유의성 차이를 검증하였다. 통계적 유의성은 5% 수준에서 평가하였다.

이론/모형

  • DPPH 라디칼 소거능은 Jeong 등의 방법(11)에 준하여 시료 0.1 mL에 4.1×10-5 M의 DPPH 용액 0.9 mL를 가한 후 상온에서 30분간 반응시켜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 Muller(12)의 방법에 따라 2,2'-azino-bis(3-ethylbenzthiazoline-6-sulphonic acid)(ABTS)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 환원력은 Oyaizu의 방법(13)에 따라 측정하였다. 즉, 1 mL의 인산염 완충 용액(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등나무는 무엇인가? 등나무(Wisteria floribunda)는 쌍떡잎식물로서 콩과의 낙엽 덩굴식물이다. 우리나라 남부지방의 산야지 낮은 지대에 자생하고 백색 꽃이 피는 것을 흰 등이라 하며 5월에는 연한 자주색 꽃도 핀다.
등나무 꽃을 네 가지 용매인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물에서 추출한 다음 농축하여 각각의 용매별 추출물을 이용하여 등나무 꽃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한 연구 결과는 어떻게 되는가? 이 용매별 추출물을 이용하여 등나무 꽃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총 페놀 함량에서 보라색은 물 추출물이 491 μM GAE로 가장 높았고, 흰색은 에탄올 추출물이 787 mM GAE로 가장 높았다. 보라색 등나무 꽃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1,000 μg/mL 농도에서 물 추출물이 58.21%로 가장 높은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흰색 꽃도 물 추출물에서 74.52%로 가장 높은 값을 가졌다. ABTS 라디칼 소거능의 경우에도 1,000 μg/mL 농도에서 보라색 꽃과 흰 꽃의 물 추출물이 각각 64.50%와 73.07%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환원력은 보라색 꽃의 에탄올 추출물, 흰 꽃의 메탄올과 물 추출물이 비교적 높게 측정되었다. 한편, 등나무 꽃 추출물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DNA 손상억제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1, 10, 50 μg/mL 의 농도로 백혈구에 처리한 후 H2O2(200 μM)로 DNA 손상을 유도한 결과, 보라색 꽃의 에탄올 50 μg/mL 처리구와 모든 농도의 아세톤 추출물 처리구를 제외하고는 H2O2 처리 양성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흰색 꽃의 경우 모든 추출물에서 40∼80% 정도의 높은 저해율을 보였다. 따라서 등나무 꽃 추출물이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잠재적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활성산소종은 무슨 질환의 원인으로 잘 알려져 있는가? 생체 내에서 자유라디칼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은 DNA 분절과 단백질의 불활성화 및 세포 생체막의 구성성분인 불포화지방산을 공격하여 과산화 반응을 일으켜 생체기능을 저하시킴으로써 노화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류마티스성 관절염, 당뇨병, 심장병, 동맥경화, 암 등과 같은 여러 질환의 원인으로 잘 알려져 있다(1). 따라서 생체 내 항산화 방어시스템을 증가시키거나 활성산소종을 조절할 수 있는 항산화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Valko M, Leibfritz D, Moncol J, Cronin MT, Mazur M, Telser J. 2007.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normal physiological functions and human disease. Int J Biochem Cell Biol 39: 44-84 

  2. Valko M, Rhodes CJ, Moncol J, Izakovic M, Mazur M. 2006. Free radicals, metals and antioxidants in oxidative stress-induced cancer. Chem Biol Ineract 160: 1-40 

  3. Branen AL. 1975. Toxicological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J Am Oil Chem Soc 52: 59-63 

  4. Larson RA. 1988. The antioxidants of higher plants. Phytochemistry 27: 969-978 

  5. Choi U, Shin DH, Chang YS, Shin JI. 1992. Screening of natural antioxidant from plant and their antioxidative effect.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142-148 

  6. Wang H, Cao G, Prior R. 1996. Total antioxidant capacity of fruits. J Agric Food Chem 44: 701-705 

  7. Shin MK. 1994. The science of green tee. Korean J Dietary Culture 9: 433-445 

  8. Liu CX, Xiao PG. 1992. Recent advances on ginseng research in China. J Ethnopharmacol 36: 27-38 

  9. An BJ, Lee CE, Son JH, Lee JY, Choi GH, Park TS. 2005. Antioxidant, anticancer an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ies of extracts from Rhododendron mucronulatum T.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 280-284 

  10. Gutfinger T. 1981. Polyphenols in olive oil. J Am Oil Chem Soc 58: 966-968 

  11. Jeong SM, Kim SY, Park HR, Lee SC. 2004. Effect of ar-infrared radiation on the activity of extracts from Citrus unshiu pee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580-1583 

  12. Muller HE. 1985. Detection of hydrogen peroxide produced by microorganism on ABTS-peroxidase medium. Zentralbl Bakteriol Mikrobio Hyg 259: 151-158 

  13.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e amine. Jap J Nutr 44: 307-315 

  14. SAS. 1995. SAS/STAT User's Guide. SAS Institute, NC, USA 

  15. Choi HJ, Park JH, Han HS, Son JH, Son GM, Bae JH, Choi C. 2004. Effect of polyphenol compound from Korean pear on lipid metabolism. Kor J Food Sci Technol 33: 299-304 

  16. Park CS. 2005. Componen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wdered green tea cultivated in Hwagae area. Kor J Food Preserv 12: 36-42 

  17.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s. Nature 181: 1199-2000 

  18. Lee SY, Hwang EJ, Kim GH, Choi YB, Lim CY, Kim SM. 2005. Antifung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leaves and flowers of Camellia japonica L.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3: 93-100 

  19. Lee BB, Chun JH, Lee SH, Park HR, Kim JM, Park E, Lee SC. 2007. Antioxidative and antigenotoxic activity of extracts from Rhododendron mucromulatum Turcz. flow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628-1632 

  20. Wang MF, Shao Y, Yi JG, Zhu NQ, Rngarajan M, Lavoie EJ, Ho CT. 1998. Antioxidative phenolic compounds from sage (Salivia officinalis). J Agric Food Chem 46: 4869-4873 

  21. Meir S, Kanner J, Akiri B, Philosoph-Hadas S. 1995. Determination and involvement of aqueous reducing compounds in oxidative defense systems of various senescing leaves. J Agric Food Chem 43: 1813-1819 

  22. Shiddhuraju P, Mohan PS, Becker K. 2002. Studies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Indian laburnum (Cassia fistula L): a preliminary assessment of crude extracts from stem bark, leaves, flowers and fruit pulp. Food Chem 79: 61-67 

  23. Schlesier K, Harwat M, Bohm V, Bitsch R. 2002. Assess ment of antioxidant activity by using different in vitro methods. Free Radic Res 36: 177-187 

  24. Diplock AT. 1997. Will the good fairies please prove to us that vitamin E lessens human degenerative disease? Free Radic Res 27: 511-532 

  25. Hartig W, Brauer K, Bruckner G. 1992. Wisteria floribunda agglutinin-labelled nets surround parvalbumin-containing neurons. Neuroreport 3: 869-872 

  26. Torres BV, McCrumb DK, Smith DF. 1988. Glycolipid-lectin interactions: reactivity of lectins from Helix pomatia, Wisteria floribunda, and Dolichos biflorus with glycolipidscontaining N-acetyl galactosamine. Arch Biochem Biophysr 262: 1-11 

  27. Hirashiki I, Ogata F, Yoshida N, Makisumi S, Ito A. 1990. Purification and complex formation analysis of a cysteine proteinase inhibitor (cystatin) from seeds of Wisteria floribunda. J Biochem 108: 604-608 

  28. Croft KD. 1998. The chemistry and biological effects of flavonoids and phenolic acids. Ann N Y Acad Sci 854: 435-442 

  29. Tsai CH, Stern A, Chiou JF, Chern CL, Liu TZ. 2001. Rapid and specific detection of hydroxyl radical using an ultraweak chemiluminescence analyzer and a low-level chemiluminescence emitter: application to hydroxyl radical-scavenging ability of aqueous extracts of food constituents. J Agric Food Chem 49: 3137-3141 

  30. Labieniec M, Gabryelak T. 2005. Measurement of DNA damage and protein oxidation after the incubation of B14 Chinese hamster cells with chosen polyphenols. Toxicol Lett 155: 15-2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