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아마란스의 붉은 색과 보라색 꽃 열수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의 폴리페놀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과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SOD 유사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세포내에서 생성된 superoxide 라디칼 제거 활성과 산화질소 생성 억제 활성을 분석하여 새로운 식물 유래 라디칼 소거 활성 물질을 개발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총 폴리페놀의 함량은 아마란스 추출물 중 보라색 꽃 메탄올 추출물이 606.95 mg GAE/100 g으로 가장 높았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도 254.69 mg CE/100 g으로 가장 높았다. 또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에서도 보라색 꽃 메탄올 추출물의 $RC_{50}$ 값이 $155.06{\mu}g/m{\ell}$로 나타났다.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에서는 $250{\mu}g/m{\ell}$의 농도에서 보라색 꽃 메탄올 추출물의 활성이 53.16%로 가장 좋았으며, 보라색 꽃 열수 추출물(41.55%), 붉은 꽃 열수 추출물(30.52%), 붉은 꽃 메탄올 추출물(30.34%)의 순으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와 반대로 SOD 유사 활성은 보라색 꽃 열수 추출물에서 메탄올 추출물의 활성보다 3배나 높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세포내 superoxide 라디칼 제거 활성은 $200{\mu}g/m{\ell}$의 농도에서 보라색 꽃 메탄올 추출물(72.34%)이 붉은 색 꽃 열수 추출물(40.40%)보다 1.79배 높은 활성을 보였다. 세포내 NO 생성 억제 활성을 조사한 결과에서는 보라색 꽃 메탄올 추출물이 $250{\mu}g/m{\ell}$의 농도에서 46.90%의 가장 높은 저해 활성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은 보라색 꽃 메탄올 추출물에서 라디컬 소거능이 높았으며 강력한 항산화제 활성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아마란스 꽃의 새로운 항산화 소재로서 개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of Amaranth (Amaranthus spp. L.) red and purple flower extracts. The methanol and hot water extracts of flower are being evaluated for its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scavenging activities by the DPPH and ABTS analysis, SO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아마란스 꽃의 열수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을 조제하여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과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 superoxide dismutase(SOD) 유사 활성을 측정하여 세포내에서 활성산소종 억제 효과는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내에서 NO 억제 활성, HL-60 세포내에서 O2- 생성 저해 활성을 측정하여 아마란스 꽃이 가진 기능성 식품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아마란스의 붉은 색과 보라색 꽃 열수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의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과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SOD 유사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세포내에서 생성된 superoxide 라디칼 제거 활성과산화질소 생성 억제 활성을 분석하여 새로운 식물 유래 라디칼 소거 활성 물질을 개발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총 폴리페놀의 함량은 아마란스 추출물 중 보라색 꽃 메탄올 추출물이 606.

가설 설정

  • 4) Means with different letters (a~c) within a column are signifi- cantly different a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활성 라디칼이 증가시키는 만성 질환의 종류는? 이러한 활성 라디칼은 DNA에 대해 알칼화(alkylation)를 일으켜서 세포와 조직을 손상시키며 연속적인 carcinogenis에 관여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세포 내에서 세포막 손상, 지질 산화, 단백질 분해 등을 초래하여, 뇌혈관 질환, 심장 질환, 자가면역 질환, 소화기 질환, 동맥경화와 같은 만성 질환들의 발생을 증가시키는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odovici 등 2001, Kim 등 2008, Jeon 등 2013). 이러한 질병을 초래하는 위험요소인 활성라디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방법 중의 하나는 천연 항산화제의 섭취이다(Jeon 등 2013).
생체 내 대부분의 산소와 질소는 과도하게 발생되면 어떻게 변하는가? 생체 내 대부분의 산소와 질소는 호흡 대사과정 중 산화- 인산화 과정을 통해 정상적으로 환원되나, 과도하게 발생되는 경우 산소와 질소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과 활성질소종(reactive nitrogen species, RNS)이 된다(Fang FC 2004, de Zwart 등 1999, Kim 등 2007). 또한 병원균,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이 체내에 침입할 경우 호중구와 macrophage 등이 활성화되어지며, 이때 활성라디칼인 과산화수소(H2O2), hydroxyl radical(OH․), 수퍼옥사이드 라디칼(O2-)과 nitric oxide(NO) 등이 과도하게 생성되면서 단백질을 변성시키거나 지질에 결합하여 활성라디칼을 생성한다.
아마란스는 무엇인가? 아마란스(Amaranth)는 비름과(Amaranthus spp. L.)에 속하는 일년생 유사 화곡류(cereal)이고, 쌍자옆 식물(Lee 등 1996a)로 다른 곡류에 비해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높고, 주 지방산은 리놀레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포함된 단백질 15~16% 중에는 lysine과 황 함유 아미노산이 풍부하다고 보고되어 있으며(Lee 등 1996a), 국내에서는 관상용으로 강원 일부지역에서 재배되고 있고, 독특한 맛과 영양가치가 높아, 국수, 비스킷(종실) 등의 식품 개발에도 이용되고 있다(Choi HS 2011; Kim & Ryoo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rnao MB, Cano A, Acosta M. 2001. The hydrophilic and lipophilic contribution to total antioxidant activity. Food Chem 73:239-244 

  2.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1199-1200 

  3. Caselato-Sousa VM, Amaya-Farfan J. 2012. State of knowledge on amaranth grain: a comprehensive review. J Food Sci 77:93-104 

  4. Choi HS. 2011. Effect of adding amaranth powder on noodle quality. J Korean J Food & Nutr 24:664-669 

  5. de Zwart LL, Meerman JH, Commandeur JN, Vermeulen NP. 1999. Biomarkers of free radical damage applications in experimental animals and in humans. Free Radic Biol Med 26:202-226 

  6. Fang FC. 2004. Antimicrobial reactive oxygen and nitrogen species: Concepts and controversies. Nat Rev Microbiol 2:820-832 

  7. George B, Vinoth Kumar R, Chakraborty S. 2013.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Chilli leaf curl virus and satellite molecules associated with leaf curl disease of Amaranthus spp. Virus Genes 2013 Dec 25. [Epub ahead of print] 

  8. Green LC, Wagner DA, Glogowski J, Skipper PL, Wishnok JS, Tannenbaum SR, 1982 Analysis of nitrate, nitrite, and [ $^{15}N$ ]nitratein biological fluids. Anal Biochem 126:131-138 

  9. Huang D, Ou B, Prior RL. 2005. The chemistry behind antioxidant capacity assays. J Agric Food Chem 53:1841-1856 

  10. Jeon SM, Kim SY, Kim IH, Go JS , Kim HR, Jeong JY, Lee HY, Park DS. 2013. Antioxidant activities of processed deoduck (Codonopsis lanceolata)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924-932 

  11. Kang KM, Lee SH. 2013. Effects of extraction methods on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Artemisia sp.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1249-1254 

  12. Keum YS, Park KK, Lee JM, Chun KS, Park JH, Lee SK, Kwon H, Surh YJ. 2000. Antioxidant and anti-tumor promoting activities of the methanol extract of heat-processed ginseng. Cancer Letters 150:41-48 

  13. Kim HW, Murakami A, Nakamura Y, Ohigashi H, 2002. Screening of edible Japanese plants for suppressive effects on phorbol ester-induced superoxide generation in differentiated HL-60 cells and AS52 cells. Cancer Letter 176:7-16 

  14. Kim HY, Ko JY, Song SB, Kim JI, Seo HI, Lee JS, Kwak DY, Jung TW, Kim KY, Oh IS, Jeong HS, Woo KS. 2012. Antioxidant activities of solvent fractions from methanolic extract of cockscome (Celosia cristata L.) flow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1502-1507 

  15. Kim JS, Ryoo HJ. 2002. Application to the biscuits manufacture of processed amaranth seeds. The Korean Society of Food and Nutrition 15:321-325 

  16. Kim KH, Kim DM, Byun MW, Yun YS, Yook HS. 2013 Antioxidant activity of Panax ginseng flower-buds fermented with various microorganism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663-669 

  17. Kim PJ, Yun HJ, Heo SK, Kim KA, Kim DW, Kim JE, Park SD. 2009. Anti-inflammatory effect of Bodusan. Kor J Herbology 24:49-56 

  18. Kim SH, Choi HJ, Oh HT, Chung MJ, Cui CB, Ham SS. 2008. Cytoprotective effect by antioxidant activity of Codonopsis lanceolata and Platycodon grandiflorum ethyl acetate fraction in human HepG2 cells. Korean J Food Sci Techenol 40: 696-701 

  19. Kim YC, Hong HD, Rho JH, Cho CW, Rhee YK, Yim JH. 2007. Changes of phenolic acid contents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ginseng according to steaming times. J Ginseng Res 31:230-236 

  20. Lee JH, Kim KJ, Lee J, Lee ST, Ryu SN. 1996a. Functional ingredient and their some variance in amaranth and quinoa. Korean J Crop Sci 41:145-165 

  21. Lee JH, Moon HI, Lee JI, Kang CW, Lee ST. 1996b.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squalene and antineoplastic activity of its residue extract in Amaranth. Korean J Crop Sci 41: 450-455 

  22. Lee YM, Bae JH, Jung HY, Kim JH, Park DS, 2011. Antioxidant activity in water and methanol extracts from Korean edible wild pla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29-36 

  23. Lodovici M, Guglielmi F, Meoni M, Dolara P. 2001. Effect of natural henolic acids on DNA oxidation in vitro. Food Chem Toxicol 39:1205-1210 

  24. Marklund S, Marklund G. 1974. Involvement of the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aut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469-474 

  25. Park SH, Cho KH, Shon YH, Lim JK, Nam KS. 2001. Testing of cancer chemopreventive potential of Prunella vulgaris L. aqua-acupuncture solution using biochemical markers of carcinogenesis. Kor J Pharmacogn 32:163-167 

  26. Qureshi AA, Lehmann JW, Peterson DM. 1996. Amaranth and its oil inhibit cholesterol biosynthesis in 6-week-old female chickens. J Nutr 126:1972-1978 

  27.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 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1231-1237 

  28. Seo YH, Kim IJ, Yie AS, Min HK. 1999.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contents of phenolic compounds, tocopherols and carotenoids in waxy corn (Zea mays L.). Korean J Food Sci Technol 31:581-585 

  29. Singleton VL, Orthofer R, Lamuela-Raventos RM. 1999. Analysis of total phenols and other oxidation substrates and antioxidants by means of folin-ciocalteu reagent. Methods Enzymol 299:152-178 

  30. Singleton VL, Rossi JA. 1965.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 J Enol Vitic 16:144-158 

  31. Tenney L 2000. Today's Herbal Health. 5th ed. pp. 2. Woodland 

  32. Woo JH, Shin SL, Lee CH. 2010. Antioxidant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flower species of compositae plan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159-164 

  33. Zhishen J, Mengcheng T, Jianming W.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ir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555-5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