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조리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v.14 no.4, 2008년, pp.283 - 291
김동석 (경희대학교 조리과학과) , 김종석 ((주)크레이지오션코리아) , 최수근 (경희대학교 조리과학과)
The present study is purposed to suggest accurate guidelines for developing standardized chicken meat stock containing salt, and to develop a product for mass production of uniform quality achieved by applying High Pressure Extraction Cooking(HPEC) using a high.pressure extractor. Through this study...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스톡의 구성은 무엇으로 되어있는가? | 육수는 표준조리법에 의해 정확한 양의 향신료, 채소, 고기, 소나 닭 뼈를 넣고 찬물로 은근히 끓여야 한다(최수근 2001). 스톡의 구성은 주재료, 미르쁘와(Mirepoix), 향료 주머니(sachet d’ epices), 물 등으로 구성되는데(Linda Gilck Conway 1991), 주재료를 무엇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채소를 사용한 베지타블 스톡(vegetable stock), 육류 계통의 쇠고기 육수(beef stock)과 송아지 육수(veal stock), 닭 육수(chicken stock), 생선을 활용한 생선 육수(fish stock) 등을 만들어 쓸 수 있다 (정청송 1998). 육수는 크게 흰색과 갈색으로 구분하여 사용하는데, 주로 갈색은 육류에 많이 이용하고, 그 외의 음식에는 흰색을 사용한다. | |
스톡이란 우리나라의 무엇과 같은 개념인가? | 스톡(stock)이란 우리나라의 육수와 같은 개념으로 쓰이는 것인데, 서양에서는 16세기 경부터 만들어 사용하기 시작하였다고 한다. 육수는 습식 조리 방법을 사용하여 만들어지며, 이때 고기나 뼈에 함유되어 있는 알부민, 단백질 등과 같은 영양분들이 물을 첨가하고 가열함으로써 가수분해에 의하여 액체로 녹아 나게끔 하여 원래의 맛을 농후하게 살려주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김종석 2008). | |
글리아딘과 글루테닌이 물을 흡수하여 결합한 물질을 계속 반죽함으로써 만들어지며 끈기를 내는 물질은 무엇인가? | 곡류에 들어 있는 단백질인 플로라민에 속하는 글리아딘은 소금물에 의해서 녹고, 글리아딘과 글루테닌은 물을 흡수하여 결합한다. 그리고 그 결합한 물질은 계속해서 반죽함으로써 두 분자는 그물 조직을 만들어 끈기를 내는 물질인 글루텐이 된다. 글루텐의 형성은 우동이나 면의 끈기, 탄력, 씹히는 감촉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