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기조립 블록공중합체와 이산화티타늄으로 구성된 하이브리드 나노 박막의 모폴로지에 미치는 고분자의 조성, 용매의 선택성 및 첨가제의 영향
The Effects of Composition, Solvent Selectivity, and Additive on the Morphology of Hybrid Nano Thin Films Composed of Self-Assembled Block Copolymer and Titanium Dioxide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2 no.5, 2008년, pp.465 - 469  

장윤희 (이화여자대학교 화학나노과학과) ,  차민아 (이화여자대학교 화학나노과학과) ,  김동하 (이화여자대학교 화학나노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블록 공중합체의 자기조립현상과 졸-겔 공정을 결합하여 나노크기 수준에서 다양한 형태를 발현하는 블록공중합체-이산화티타늄 하이브리드 박막모폴로지를 제조하였다. 모폴로지 변화를 일으키는 요소로서 블록 공중합체의 조성, 용매의 선택성과 첨가제에 의한 영향을 고려하였으며, 모폴로지 변화에 따른 이산화티타늄발광 효율 변화 또한 확인하였다. 폴리스티렌-폴리4비닐피리딘 이중블록공중합체는 용매와 두 블록간의 상대적인 친화성에 따라 미셀과 나노선 형태로 자기조립이 가능하며, 이산화티타늄의 전구체인 티타늄 테트라아이소프로폭시드는 폴리4비닐피리딘블록의 질소 원소와 결합한다. 블록 공중합체/졸-겔 전구체 혼합 용액에 제3의 성분인 3-펜타데실페놀을 첨가하면 블록의 상대적인 부피 비율의 변화를 야기하여 모폴로지 변화를 일으킨다. 다양하게 변화하는 모폴로지에서 이산화 티타늄의 형광 효율이 변화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ybrid thin films composed of block copolymer(BCP) and $TiO_2$ with various morphologies on the nanoscale were fabricated using self-assembly of block copolymer combined with sol-gel process. The factors governing morphology changes considered in this study are block copolymer composi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poly (styrene -block- 4 - vinyl pyridine) (PS-fr-P4VP) 이중블록공중합체를 주형으로 사용하여 TiO2의 박막을 형성하였으며, TiG를 생성하기 위해 졸-겔 기법을 사용하였다24 이 때 사용하는 용매의 선택성, 첨가제 혼합, 블록공중합체 조성 변화 등의 항으로 블록공중합체/TiG 하이브리드 박막의 모폴로지를 다양하게 변화시켰으며 최종적으로 상이한 모폴로지에 따른 TiC>2의 형광 효율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졸-겔 공정에 의해 생성된 TiO2 박막의 다양한 모폴로지를 얻기 위하여 블록공중합체의 자기조립 성질을 이용하였다. 이 때 생성되는 TiO2 박막의 모폴로지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용매의 용해서 블록공중합체의 조성, 첨가제에 의한 영향을 확인하였다.
  • Pen- tadecylpenol(PDP) 는 PS-6-P4VP 미셀의 P4VP 블록 성분과 수소결합을 통하여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본 연구진은 PDP의 이런 성질을 이용하여 이중블록공중합체 내에서의 상대적인 조성을 변화 시 키면서 블록공중합체의 자기조립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PS4760oTlP4VP20900을 톨루엔에 녹인 후 PDP를 첨가하였을 때 첨가되는 PDP의 양은 P4VP 하나의 딘위에 디]히여 하나의 phenol 이 결합하도록 조절하였다(Phenol/4VP=1).

가설 설정

  • 두 블록의 비율이 비슷하다면 두 블록이 DMF에 비슷하게 녹아들어가 나노선 형태의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반면에 한 쪽 블록의 비율이 더 크다면 두 블록이비슷한 용해성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더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블록이차지하는 부피가 더 크게 되어 미셀 형태의 구조를 이루게 돠는 것이다. Figure 2(b) 와 2(c)는 서로 조성이 다른 블록공중합체 PS20000-Zx-P4VPi90(x)와 PS47600- AP4VP209C0를 DMF에 녹였을 때 나타나는 모폴로지를 원자현미경으로 측정한 사진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U. Diebold, Surf. Sci. Rep., 48, 53 (2003) 

  2. A. L. Linsebigler, G. Q. Lu, and J. T. Yates, Chem. Rev., 95, 735 (1995) 

  3. M. R. Hoffmann, S. T. Martin, W. Y. Choi, and D. W. Bahnemann, Chem. Rev., 95, 69 (1995) 

  4. A. Heller, Acc. Chem. Res., 28, 503 (1995) 

  5. M. A. Henderson, J. Phys. Chem. B, 109, 12062 (2005) 

  6. H.-D. Park, K.-Y. Ahn, M. A. Wahab, N. J. Jo, I. Kim, C.-S. Ha, G. Kim, and W.-K. Lee, Macromol. Res., 11, 172 (2003) 

  7. M. J. Gratzel, Photochem. Photobiol. A, 164, 3 (2004) 

  8. K. M. Coakley and M. D. McGehee, Chem. Mater., 16, 4533 (2004) 

  9. O. L. Figueroa, C. H. Lee, S. A. Akbar, N. F. Szabo, J. A. Trimboli, P. K. Dutta, N. Sawaki, A. A. Soliman, and H. Verweij, Sens. Actuators B, 107, 839 (2005) 

  10. M. Y. Song, K.-J. Kim, and D. Y. Kim, Macromol. Res., 14, 630 (2006) 

  11. A. S. Zuzuri and N. C. MacDonald, Adv. Funct. Mater., 15, 396 (2005) 

  12. A. R. Armstrong, G. Armstrong, J. Canales, R. Garcia, and P. G. Bruce, Adv. Mater., 17, 862 (2005) 

  13. G. Armstrong, A. R. Armstrong, J. Canales, and P. G. Bruce, Chem. Commun., 19, 2454 (2005) 

  14. I. W. Hamley, The Physics of Block Copolymers,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1998 

  15. G. H. Fredrickson and F. S. Bates, Annu. Rev. Mater. Sci., 26, 501 (1996) 

  16. M. J. Fasolka and A. M. Mayes, Annu. Rev. Mater. Res., 31, 323 (2001) 

  17. T. Hashimoto, M. Shibayma, M. Fujimura, and H. Kawai, Block Copolymers, Science and Technology, D. J. Meier, Editor, Harwood Academic, London, pp 63-108 (1983) 

  18. G. Kastle, H.-G. Boyen, F. Weigl, G. Lengl, T. Herzog, P. Ziemann, S. Riethmuller, O. Mayer, C. Hartmann, J. P. Spatz, M. Moeller, M. Ozawa, F. Banhart, M. G. Garnier, and P. Oelhafen, Adv. Funct. Mat., 13, 853 (2003) 

  19. J. P. Spatz, S. Mosser, C. Hartmann, M. Moeller, T. Herzog, M. Krieger, H.-G. Boyen, and P. Ziemann, Langmuir, 16, 407 (2000) 

  20. J. P. Spatz, A. Roescher, and M. Moller, Adv. Mater., 8, 337 (1996) 

  21. X. Li, K. H. A. Lau, D. H. Kim, and W. Knoll, Langmuir, 21, 5212 (2005) 

  22. X. Li, P. Goring, E. Pippel, M. Steinhart, D. H. Kim, and W. Knoll, Macromol. Rapid. Commun., 26, 1173 (2005) 

  23. D. H. Kim, X. Jia, Z. Lin, K. W. Guarini, and T. P. Russell, Adv. Mater., 16, 702 (2004) 

  24. D. H. Kim, S. H. Kim, K. Lavery, and T. P. Russell, Nano Letters, 4, 1841 (2004) 

  25. D. H. Kim, Z. C. Sun, T. P. Russell, W. Knoll, and J. S. Gutmann, Adv. Funct. Mater., 15, 1 (2005) 

  26. Z. Sun, D. H. Kim, M. Wolkenhauer, G. G. Bumbu, W. Knoll, and J. S. Gutmann, Chem. Phys. Chem., 7, 370 (2006) 

  27. C.-C. Weng, K.-F. Hsu, and K.-H. Wei, Chem. Mater., 16, 4080 (2004) 

  28. Y. Boontongkong and R. E. Cohen, Macromolecules, 35, 3647 (2002) 

  29. J. Peng, W. Knoll, C. M. Park, and D. H. Kim, Chem. Mater., 20, 1200 (2008) 

  30. A. W. Fahmi, H.-G. Braun, and M. Stamm, Adv. Mater., 15, 1201 (2003) 

  31. L. Song, Y. M. Lam, C. Boothroyd, and P. W. Teo, Nanotechnoloy, 18, 135605 (2007) 

  32. Z. Sun, D. H. Kim, M. Wolkenhauer, G. G. Bumbu, W. Knoll, and J. S. Gutmann, Chem. Phys. Chem., 7, 370 (2006) 

  33. X. Li, J. Fu, M. Steinhart, D. H. Kim, and W. Knoll, Bull. Kor. Chem. Soc., 28, 1015 (2007) 

  34. Y. Lei, L. D. Zhang, G. W. Meng, G. H. Li, X. Y. Zhang, C. H. Liang, W. Chen, and S. X. Wang, Appl. Phys. Lett., 78, 1125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