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원팔경의 형성배경과 문화경관적 함의(含意)
A Study on the Background of Suwon Palkyong and the Implication of Cultural Landscapes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36 no.1, 2008년, pp.90 - 102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has aimed to determine how the Suwon Palkyong(水原八景: eight scenic wonders) were formed and the implicature of landscape, such as implicit intention and symbolic significance. For this, the significance and symbolic meaning of the Suwon Palkyong from the time of the 'Hwaseong Chunchu Palgy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화성경관 의미복원에 대한 기초자료의 제공을 목표로 화성 축조 이후 수원 지역에 전래되고 있는「화성춘 . 추팔경」의 내용과 의미를 밝히고 지금까지 어떤 변천 과정을 거쳐「수원팔경」으로 정착되었는지의 과정과 그 의미 등을 모색함으로써「문화경관 수원팔경」의 가치와 함의를 조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수원팔경의 형성과정과 그 이면에 내재된 의도와 상징성 등 경관 함의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화성춘 .
  • 본 연구는 현재에 남겨진「수원팔경」이라는 문화경관을 주요 연구대상이자 단서로 하여 과거로부터의 경관변화를 추적하는 퇴행적 방법(retrogressive approach)을 취하고자 하였다. 특히 화성(그림 1 참조)과 수원의 팔경 형성과 변모과정을 통해 수원팔경 등 문화경관을 외관상으로는 '형태적(morphological)'인 동시에 정조 시대 이후 그리고 수원의 근대화 과정에서 사람과 물질 관계를 표상하는 일종의 '이데올로기적이며 상징적 과정으로 보고자 한다.
  • 추팔경과 이후 수원팔경의 의미가 주는 형식성과 상징성 등의 문화적 의미를 파악함으로써 수원팔경의 형성과정과 의미 등 수원팔경 속에 담긴 정치 . 사회적 담론을 조명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정조로서는 구읍치에 편안히 잘 살고 있던 백성들을 강제 이주케 한 측은함과 한해에 두 번 이상 행차하면서 생긴 친근감이 공존(손정목, 1976)했을 것이다. 이런 심정을 기저로 민심의 동요를 잠재우고 본래 주거지의 고을 명을 새 도시에서 재구현하기 위한 일환으로 물에 대한 상징적 이미지를 극대화함으로써 화산과 화성의 장소 동질성 더 나아가서 장소 일체감을 부여하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 . 추팔경」의 내용과 의미를 밝히고 지금까지 어떤 변천 과정을 거쳐「수원팔경」으로 정착되었는지의 과정과 그 의미 등을 모색함으로써「문화경관 수원팔경」의 가치와 함의를 조명하고자 한다.
  • 하였다. 특히 화성(그림 1 참조)과 수원의 팔경 형성과 변모과정을 통해 수원팔경 등 문화경관을 외관상으로는 '형태적(morphological)'인 동시에 정조 시대 이후 그리고 수원의 근대화 과정에서 사람과 물질 관계를 표상하는 일종의 '이데올로기적이며 상징적 과정으로 보고자 한다.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안타깝게도 조선시대 수원팔경시나 수원팔경도는 전해지지 않고 있기 때문에 정확한 팔경의 등장시기를 제시하긴 불가능하다 그러나 화성춘 .

가설 설정

  • 수도 한양을 모도시로 조성한 위성도시였다는 점. 둘째, 신도시의 번성을 위해 수도의 기능 일부를 이전했다는 점, 그리고 셋째, 자족적인 도시로 키우려고 했다는 점을 들 수 있을 것이다(손정목, 1976; 안경환, 2001). 특히 자족 , 자립형 도시 육성을 목표로 용수의 공급.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김동욱(2002a) 실학 정신으로 세운 조선의 신도시 수원화성. 돌베개 

  2. 김동욱(2002b) 화성성역의궤의 건축사적 의의. 진단학보 93: 473- 495 

  3. 김동훈, 강건희(2002) 역사적 문화유산 수원 화성의 보전과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8(10): 35-42 

  4. 김영모, 이선, 진상철, 장종수(2004) 화성 행궁의 식생경관 복원을 위한 고증과 복원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4): 39-53 

  5. 김현정, 김정태(2004) 성곽의 야간경관조명 실태조사; 세계문화유산 수원화성을 중심으로.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학술대회논문집. 49-56 

  6. 박동석, 정종수, 이재근, 최종희(2007) 수원 화성의 조망 및 조망 경로를 고려한 경관보존.관리방안.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3): 1-25 

  7. 박정혜(2002) 화성성역의궤의 회화사적 고찰. 진단학보 93: 413- 471 

  8. 박천우, 김은진(2003) 화성 축성에 관한 연구; 정다산의 성설을 중심으로. 장안대학 장안논총 23: 524 

  9. 박춘균, 이재근(2000) 지형, 지세가 성곽축성 높이에 미치는 영향: 수원화성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8(1): 1-10 

  10. 박현모(2001) 정조의 정치와 수원성; 화성건설의 정치적 의미. 한국과 국제정치 17(1): 65-100 

  11. 백종철(2007) 정조시대 화성의 가로, 녹지, 수리체계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사예연구소(2000) 정조대왕.화성관련자료 전시도록. 58-60 

  13. 성동환 (2001) 현륭원 천원과 화성건설을 통해 본 정조의 풍수지리관. 한국사상사학 17: 121-167 

  14. 손민호, 최종희, 이우균(2004) 수원성 방화수류정 권역의 입지와 공간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4): 103-111 

  15. 손정목(1976) 세계최고의 계획된 신도시-화성; 신도시 화성건설의 이념과 수법. 도시문제 11(9): 51-86 

  16. 수원시, 수원시운화원(1994) 국역화성성역의궤 

  17. 수원시(1991) 우리고장의 역사와 문화. pp. 130-148 

  18. 수원시(2000a) 수원의 옛지도. 현대자문화사. p. 36 

  19. 수원시(2000b) 화성기본계획 

  20. 수원향교(2002) 수원향교지. pp. 844-850 

  21. 심승구(2006) 수원 화성행궁 앞 공간의 문화 복원과 전망: 21세기 한국문화의 위상과 성찰. 인문콘텐츠 8: 197-213 

  22. 안경환(2001) 수원 화성의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수원대 산업기술연구소논문집 16: 87-94 

  23. 안장리(2007) 조선시대 왕의 팔경 향유 양상. 동양학.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42: 43-65 

  24. 양성욱(2007) 아름다운 근대역사문화도시의 풍경 보전. 건축. 2007년 5월호. pp. 46-50 

  25. 오민근(2007) 역사.문화의 경관관리에 의한 공간문화와 지역문화의 창조적 형성. 문화경관 보존과 형성/전주시 Artpolis 실현을 위한 심포지움자료. 전주시/전북대학교. pp. 69-82 

  26. 오정학, 허상현(2006) 외국인 관광객의 문화관광 형태에 관한 비교 연구; 수원화성을 중심으로. 관광연구 21(2): 141-154 

  27. 유봉학, 정해득(1999) 수원지명총람 수원시, 수원문화원. pp. 61-75, 249-257 

  28. 윤종태(2002) 수원화성(유천성) 원형경관에 나타난 버드나무에 관한 연구. 한경대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윤효진, 이종호(2007) 한일 양국에 있어 역사적 계획도시의 도시공간구조 형태특성 및 변화과정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 화성과 일본 히코네성의 사례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7(4D): 525-533 

  30. 이태식, 김정현, 이동욱(2004) 역사적 토목 구조물 수원 화성. 자연과 문명의 조화 52(9): 97-101 

  31. 장미아, 김남기, 배재수, 김진성(2007) 역주 조선의 임수. 지오북 

  32. 전종한(2006) 지역 문화의 해석에 있어서 경관 연구의 함의. 중원문화논총 10: 65-87 

  33. 정기호(1994) 수원 화성축조계획의 분석 개략. 생명자원과학연구 1(1): 33-37 

  34. 정민채(2001) 화성에 대한 수원시민의 관광이미지 분석. 관광지리학 15: 221-237 

  35. 최영진(1973) 화성성역 당시의 식수조경에 관하여. 기전문화연구 3: 163-17 

  36. 최은주(2001) 조선전기 팔경시 창작 경향. 대동한문학 15: 299-331 

  37. 허소영(2000) 도시문화유산 보존방법에 관한 연구: 수원시 화성의 문화유산 보전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靑木陽二, ?原映子(2007) 八景の分布と最近の硏究動向. 日本國立環境硏究所硏究報告. 第197號: pp 93-105 

  39. http://www.suwoncity.net/www2/bbs/board.php?bo_tablecity_10&wr_id54&page.) 

  40. http://www.joongboo.com/html/news_view.asp?articlenum20499000000000&div5 

  41. http://www.nonghyup.com/addoorae/doorae200407/doorae200407_05_02.jsp 

  42. http://www.suwoncity.net/www2/bbs/board.php?&bo_tableculture_06&wr_id4 

  43. http://jbs.pe.kr/gnuboard4/bbs/board.php?bo_tablez2_6&wr_id21&page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