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거정의 '경주십이영(慶州十二詠)'의 의미와 폐허미학적 소통방식
Landscape Meanings and Communication Methods Based on the Aesthetics of Ruins in the Poem 'Kyungjusipiyung' written by Seo Geojeong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37 no.2, 2009년, pp.90 - 103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팔경시 '경주십이영'을 통해 서거정은 고도 경주의 폐허화된 역사문화경관에 대한 감회를 적나라하게 표현하고 있다. '경주십이영'은 신라문화의 대표적 성지인 계림, 반월성, 나정, 오릉 그리고 장소성 깊은 승경인 금오산(남산), 포석정, 문천, 첨성대, 분황사, 영묘사, 김유신묘 등을 중심으로 거기에 깃든 신화와 설화는 물론 관련된 사건과 인물을 회고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기존 '팔경'과는 다른 폐허미학적 메타포가 강하게 전달되고 있다. '경주십이영'은 서거정의 팔경시 뿐만 아니라 그 이전의 팔경시와 비교할 때, 제영 구조와 형식은 물론 내용에 있어서도 차이를 보이는데, 특히 의미와 행위를 부각시킨 인문적 특성이 강하게 나타난다. '경주십이영'의 제영 순서를 추적할 때 2일 이상의 유람시간을 통해 2개 이상의 시각회랑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며, 봄철에 지어진 시임에도 불구하고 시 속에는 '자연의 아름다움과 생활의 풍류' 그리고 '번성과 풍요'는 배제되고 대부분 오래 되고, 부서져 허물어지고, 늙고, 슬프고 등의 아쉬움과 슬픔의 정조가 지배적이다. 서거정은 '경주십이영'을 통해 경주의 다양한 경승과 경물 등 가시 영역의 문명적 폐허 뿐만 아니라 신화와 전설 등 비가시 영역의 문화적 폐허를 반복, 병렬, 병치 그리고 대조의 수사학적 표현으로 회고와 영탄의 폐허미를 읊고 있다. 이는 서거정이 '경주'를 바라보는 사유방식이자 표현방식이며 기존 회고시의 전형적 특성으로 서거정이 '경주십이영'을 통해 표현하고자 한 폐허 경험은 무엇보다도 그것이 전하는 아우라, 즉 12가지 역사문화경관에 담긴 총체적 신라문화에 편재한 질에 대한 정성적 경험이었다는데 그 특징이 읽혀진다. 기문 등을 근거로 '고도 경주'에 대한 서거정의 긍정적 인식에도 불구하고 '경주십이영'에 담긴 신라와 경주의 이미지는 폐허로 점철되고 있다. 그러나 폐허가 소멸과 몰락의 길을 가리키는 비관주의적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그 폐허의 양상은 조선 전기의 문풍을 좌우했던 인물로서 조선 왕조를 통해 경주를 다시 상승 부흥시키고자 하는 의지를 포괄하는 양가적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서거정의 '경주십이영'에서 발견되는 풍경의 미학은 가장 은유적이면서도 문화적 상징성이 강한 것으로 폐허성을 반성적 경험의 가치로 전환하기 위한 역설적 폐허미학의 소통방식으로 전개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oem 'Kyungjusipiyung(慶州十二詠)' written by Seo, Geo-jeong(徐居正) describes sentiments felt for the ruined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of Silla's capital city, Kyungju. It differs from the existing 'Eight Sceneries(八景)' as it conveys the strong metaphorical aesthetics of ruins as the episodes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시의 내용 풀이와 제영 순서를 근거로 음영시기(계절)와 서거정이 ‘경주십이영’ 각 주 경관대상을 유람한 시각회랑을 유추하였다. 또한, 경관대상 및 등장인물과 고사를 분석하고, 그 의미를 재해석함으로써 서거정이 본 그 당시 경주의 역사문화경관에 대한 단상과 미의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경관대상 및 시구를 구성하는 어휘소를 분절하여 그 의미와 상징성을 사건과 인물로 구분하여 화자가 지시하는 지칭사항과 그 의미를 독해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천년 도읍지의 경승과 경물을 많은 부분 네거티브(negative) 방식으로 회고한 조선의 대표적 관인학자 서거정의 시 ‘경주십이영’에 녹아있는 경관 인식 및 표현의 방법은 무엇이었을까?
  • 서거정이 읊은 ‘경주십이영’에 나타난 현실 감각은 강력한 직관과 환기력에 의해 표상되고 있음이 발견됨에 따라서 본고에서는 ‘경주십이영’의 경관대상은 물론 각 경을 구성하고 있는 내적 요소 즉 전체의 효과를 아우르고 있는 수사적 표현방식 즉 수사학적 표현에 주목하였다.
  • 또한, 경관대상 및 등장인물과 고사를 분석하고, 그 의미를 재해석함으로써 서거정이 본 그 당시 경주의 역사문화경관에 대한 단상과 미의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경관대상 및 시구를 구성하는 어휘소를 분절하여 그 의미와 상징성을 사건과 인물로 구분하여 화자가 지시하는 지칭사항과 그 의미를 독해하고자 하였다. 특히, 상징의 해석기준으로 텍스트 외적 해석(extra textual)과 내적 해석(intra textual)(김학동과 조용훈, 1997)을 동시에 시도하였다.
  • 이와 같은 인식에서 ‘경주십이영’에 표현된 시의 형식과 구조 그리고 경관상을 개관하고 ‘경주십이영’에 표현된 시어와 시구의 분석 및 해석을 통해 ‘경주십이영’에 담긴 경관 의미는 물론 미적 표현 등 경관 소통 방식과 그 특질을 밝히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이 경우 제영 순서에는 작정자의 의도가 더욱 강하게 내포되었다고 볼 수 있지만 이를 확실히 검증하기 위한 사료나 논거가 현재로서는 없다. 따라서 제영 순의 유람이 이루어진 것으로 가정하고 시어와 전체 시의 의미 맥락을 간추려 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팔경화의 의미는? 우리 산하를 읊는 조선 초기 팔경의 대상은 빼어나게 아름답고 숭고한 경치라야 했다(안장리, 2002). 서거정이 활동했던 조선 전기 명소의 팔경화는 국토에 대한 애정의 표현이었으며 관인의식의 발로였다(정종대, 1998). 신라의 고도 경주에는 예로부터 역사유적 외에도 경주인들에 의해 선정된 ‘삼기팔괴(三奇八怪)’1)(김정균, 1994, http://blog.
경주십영시에서 읊고 있는 것은? 서거정의 ‘경주십영시’는 신라의 수도 경주의 피폐하고 폐허화된 역사문화경관에 대한 감회를 읊고 있다. ‘경주십이영’은 신라문화와 문물의 대표적 성지인 계림, 반월성, 나정, 오릉 그리고 장소성 깊은 금오산, 포석정, 문천, 첨성대, 분황사, 영묘사, 김유신묘 등을 중심으로 거기에 깃든 설화와 상징 그리고 이와 관련된 사건과 인물을 노래함으로써 기존 ‘팔경’과는 다른 상징적 폐허경관의 메타포를 강하게 전달하고 있다.
경주십이영에서의 페허화 된 공간의 의미는? 폐허화 된 공간이나 경관에 대한 미적 발견은 근대 미학에서 전혀 새로운 것은 아니지만 한국의 경승관을 대표하는 “팔경”에서 숭고미나 우아미 등의 고전적 아름다움과는 다른 형태의 미학이 표출되고 있음은 매우 주목할 만하다. 경관의 폐허에 대한 미적 사고는 비단 현재 조경설계에서 보이는 과거와 소통하며 과거와의 맥락을 유지하고자 하는 설계언어나 설계기법에서만 찾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이미 서거정을 비롯한 다수의 문인들이 허물어지고 퇴락한 옛 경관을 사유하고 회고하는 회고시 등에서 동일하게 발견할 수 있음은 매우 시사적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강영조(2003) 풍경에 다가서기. 효형출판 

  2. 강영조, 김영란(1991), 한국팔경의 형식과 입지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9(2): 2-36 

  3. 강우방(2002) 영겁 그리고 찰라(신라를 담은 미술사학자의 사진 수상).열화당 

  4. 강석근(2007) 서거정의 경주12영고. 경주문화. 11: 1-28 

  5. 김기림(2003) 서거정 기문에 나타난 서술전략 고찰. 한국고전연구. 9:191-224 

  6. 김성우(2006) 15세기 중·후반 훈구관료 서거정의 관직생활과 그에 대한평가. 대구사학. 83: 67-103 

  7. 김정균(1994) 경주고적시문화론. 형설출판사 

  8. 김학동, 조용훈(1997) 현대시론. 서울 새문사 

  9. 민병수(1988) 서거정의 시세계. 한국한시작가연구. 3: 5-34 

  10. 민주식(2005) 알프스의 미에 관한 게오르그 짐멜의 이론 연구. 미술.예술학 연구. 2: 81-305 

  11. 박규환, 이동언(2008) 루이스 칸의 건축에 나타난 폐허성 경험의 맥락적 의미.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4(12): 199-206 

  12. 박성순(1990) 사계 서거정의 시문학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박종혁(1989) 四佳 서거정의 시의식과 臺閣之詩의 전형. 한문학논집. 7: 67-98 

  14. 박희웅(1985) 서거정의 한시 연구; 자연시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배정한(2006) 숭고, 조경미학과 설계의 새로운 접점. LAnD 조경.미학.디자인. 도서출판 조경 

  16. 백연태(2003) 서거정의 유람시 고찰. 인문학연구.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30(2): 119-153 

  17. 서거정. 사계집. 권 1 

  18. 서거정. 사계집. 권 5 

  19. 심경호(2005) 한시기행. 이가서 

  20. 송희준(1996) 서거정 문학연구; 형성배경, 문학관, 시세계의 연계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안미영(2001) 서거정 영물시의 특성 연구. 수련어문논집. 26.27:99-138 

  22. 안장리(1997),'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신증' 소재 팔경시의 특성. 한국한문학연구 

  23. 안장리(2002) 한국의 팔경문학. 집문당 

  24. 유혜영(2006) 유적지에서의 감회, 초당회고시의 형성과정과 유형연구. 중국학보. 54: 85-101 

  25. 이기봉(2007) 고대도시 경주의 탄생. 푸른역사 

  26. 이문기(2009) 문헌으로 본 나정. 퇴계학과 한국문학. 경북대학교 퇴계학연구소. 44집: 223-264 

  27. 이종건(1985) 서거정 시문학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이종건(1990) 서거정 시문학 연구. 개문사 

  29. 이종묵(1998) '서거정의 삶과 문학활동', '서거정 문학의 종합적 검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0. 임기묵(2001) 서거정문학의 비교문학적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정소연(2002) 서거정의 문학사 인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정종대(1998) 서거정의 시와 관인의식. 국어교육 

  33. 조경진(2006) 폐허의 미학, 조경디자인의 새로운 가능성. LAnD 조경.미학.디자인. 도서출판 조경 

  34. 조은주(2008) 1920년대 문학에 나타난 허무주의의 '폐허'의 수사학. 한국현대문학연구. 25: 7-40 

  35. 최명규(1981) 서거정과 그의 한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최은주(2001) 조선전기 팔경시의 창작 특성. 대동한문학. 15: 299-331 

  37. 한인석(1989) '서거정 문학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8. 황위주 역주(1986) '신증동국여지승람 권21, 경주부 역주', '신라문화', 13집.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39. http://100.naver.com/100.nhn?docid741939 

  40. http://ask.nate.com/knowhow/view.html?num1153893&sq%C6%F3%C7%E3+%B9%CC%C7%D0 

  41. http://blog.daum.net/pundarika/1092359 

  42. http://blog.naver.com/eunju6187?RedirectLog&logNo80065553130 

  43. http://cafe.daum.net/callipia/4LfI/232?docid7nd0|4LfI|232|20020724215038&q 

  44. http://db.hanmun.or.kr 

  45. http://db.hanmun.or.kr/pds_board/read.html?codehistory&id15&searchstr&qu&page1&category&list_no15 

  46. http://kin.naver.com/detail/detail.php?d1id13&dir_id13&eidBQn9D1dPiElEFSMC6J8ryv923viKhQu7&qb7JiB66yY7IKs&enc 

  47. http://local.daum.net/map/index.jsp?URLX487448&URLY1504827&URLLEVEL14&map_typeTYPE_SKYVIEW&map_hybrid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