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토지리정보원 VRS RTK 기준망 내부 측점 측량 정확도 평가
Accuracy Evaluation of VRS RTK Surveys Inside the GPS CORS Network Operated by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26 no.2, 2008년, pp.139 - 147  

김혜인 (인하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 지리정보공학과) ,  유기석 ((주)신한항업 측량팀) ,  박관동 (인하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 지리정보공학과) ,  하지현 (인하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 지리정보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GPS를 이용한 RTK(Real Time Kinematic) 측량의 경우 기준국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측위오차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토지리정보원은 네트워크 RTK의 일종인 VRS(Virtual Reference System) RTK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구축한 VRS RTK 시스템을 이용한 측량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VRS 기준망 내부에 위치한 3등 기준점 50개소를 대상으로 VRS RTK 측량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3등 기준점 고시성과와 비교하는 방식으로 측위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또한 VRS RTK 측량과 동시에 단일 기준국을 이용한 일반 RTK 측량을 실시한 뒤 두 RTK 측량 방식의 측위오차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VRS RTK 측량의 수평방향 평균제곱근오차는 평균 3.1cm, 일반 RTK 측량의 수평방향 평균제곱근오차는 평균 2.0cm로 1cm 정도의 편차만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VRS RTK 측량의 수직방향 평균제곱근오차는 평균 6.8cm로 수평방향보다 크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ositioning accuracies tend to deteriorate as the distance between the rover and the reference station increases in the Real-Time Kinematic (RTK) surveys usin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To solve this problem,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NGII) of Korea has installed Vir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최근 국토지리정보원에서 구축한 VRS RTK 시스템을 이용한 GPS 측량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VRS RTK 측량과 일반 RTK 측량의 수평 방향 평균 제곱근 오차가 각각 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국토지리정보원 (2003), 가상기준점(VRS) 도입에 관한 연구 

  2. 국토지리정보원 (2007), 한반도 지각변동 연구 

  3. 박운용, 이용희, 곽두호, 배경호 (2003), VRS 개념에 기반한 GPS 상시관측소 활용 연구, 2003 한국측량학회 추계학술발표회논문집, pp. 109-113 

  4. 이용창, 강준묵 (2003), GPS 기준망의 가상기준점에 의한 후처리 측위 분석, 2003 한국측량학회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pp. 55-60 

  5. 이용창 (2003), GPS 상시관측망을 활용한 PDGPS 측위 연구, 대한토목학회지, 제 23권, 제 6D호, pp. 891-900 

  6. 최윤수, 이용창, 권재현, 이재원 (2004), GPS 가상기준점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측량학회지, 제 22권, 제 2호, pp. 105-116 

  7. JENOBA, http://www.jenoba.jp/ 

  8. SAPOS, http://www.sapos.de/ 

  9. Wanninger, L. (2003), GPS on the Web: Virtual reference stations (VRS), GPS Solutions, Vol. 7, pp. 143-144 

  10. Wanninger, L. (2006), Introduction to Network RTK, IAG Working Group 4.5.1: Network RTK, http://www.network-rtk.info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