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RTK VRS 측량에 의한 표고정확도 평가
Accuracy Evaluation of the Height Determined by Network-RTK VRS Positioning 원문보기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21 no.4, 2013년, pp.55 - 63  

이석배 (경남과학기술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통적인 RTK측량기술의 제약을 극복하고자 VRS 또는 FKP와 같은 네트워크 RTK GPS측량기술이 국가상시관측소와 무선인터넷망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국토지리정보원이 51개의 상시관측소와 모바일 인터넷망을 기반으로 네트워크 RTK를 서비스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Network-RTK 기반의 GNSS VRS 측량방식에 의한 표고정확도를 확인하고자 산청~진주지역의 1등 수준노선과 거창~산청지역의 2등 수준노선에 대하여 직접 GPS VRS 측량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GPS VRS측량방식의 표고 정확도는 1등 수준노선에서 2.15cm, 2등 수준노선에서 1.80cm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3,4등급 공공수준점측량에 있어서 GPS VRS 방식이 적용가능하다는 것과 아울러 이에 대한 작업규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etwork-RTK GPS positioning technique based on national CORS(Continuous Operating Reference Station) and wireless internet access as like VRS and FKP was develop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RTK technique. In Korea, NGII(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provides network-RTK...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수작업에 의한 흔들림량의 편차를 줄이기 위하여 간이 삼각대(tripod method)를 설치하고 VRS 관측을 재차 실시하였다. 따라서 그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정확도 개선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두 방법에 의한 관측결과를 비교·정리한 것은 Table 5와 같다.
  • 아울러 이 움직임량이 표고정확도에도 영향을 끼칠 것이 분명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수작업에 의한 흔들림량의 편차를 줄이기 위하여 간이 삼각대(tripod method)를 설치하고 VRS 관측을 재차 실시하였다. 따라서 그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정확도 개선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연구를 위하여 연구대상지역을 선정하고 1,2등 수준 노선을 대상으로 직접 GPS VRS 측량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국토지리정보원의 수준점 성과와 비교하여 표고정확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분석된 표고정확도를 바탕으로 공공수준점측량에 적용가능한 범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VRS 측위관측의 정확도를 개선시킬 목적으로, 이동국의 로버 수신기 설치시 수작업에 의하여 실시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를 간이삼각대를 활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정확도 개선효과가 있는지, 있다면 그 양이 얼마나 되는지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VRS 측위관측의 표고정확도를 분석하고자 하는 연구로 연구대상지역을 선정하고 직접 VRS 측위관측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은 Fig.
  • 본 연구는 네트워크 RTK에 기반한 VRS 측위관측의 표고정확도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이다. 따라서 연구대상지역에서 1등 수준점 18점과 2등 수준점 16점을 대상으로 VRS 관측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국토지리정보원의 수준점 성과와 비교함으로써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 본 연구는 이러한 네트워크 RTK VRS 측위방식의 표고정확도를 확인하고자 한 연구로, 산청∼진주지역의 1등 수준노선 68km 와 거창∼산청지역의 2등 수준노선 30km에 대하여 직접 VRS 현장관측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서비스되고 있는 네트워크 RTK의 VRS 측량방식을 이용하여 수준점의 표고정확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왜냐하면 VRS 서비스 개시이후 일반 사용자에 의하여 VRS를 활용한 평면 정확도 평가결과는 발표된 바 있으나(Jang et al.
  • 또한 분석된 표고정확도를 바탕으로 공공수준점측량에 적용가능한 범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VRS 측위관측의 정확도를 개선시킬 목적으로, 이동국의 로버 수신기 설치시 수작업에 의하여 실시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를 간이삼각대를 활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정확도 개선효과가 있는지, 있다면 그 양이 얼마나 되는지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중 기준점 측위 방식에서 기준점과 중앙제어국간 연결에는 무엇을 이용하는가? 다중 기준점 측위는 여러 개의 기준점으로 부터의 자료를 이용하여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 하는 것으로 무선 라디오나 LAN 또는 인터넷을 이용한 케이블 연결방식으로 중앙제어국과 연결된다. 기준점에서의 자료 전송은 모뎀을 이용하며 기준점과 중앙제어국간의 연결은 RSIM(Reference Station Integrity Monitor messages) 프로토콜을 이용한다. 다중기준점 측위는 여러 개의 기준점들로부터의 관측값들을 결합함으로써 전리층, 대 류층, 위성 궤도오차 등에 의한 오차를 모델링함으로써 이동국에서의 위치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대측위는 무엇으로 나뉘는가? 따라서 상대측위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지점과 미지점에서 동시에 GPS 관측이 이루어져야 한다. 상대측위는 GPS 관측이 수행되는 동안 2개 이상의 수신기가 고정된 상태인 정적 상대측위와 하나의 수신기가 이동국(rover)으로 움직이는 동적 상대측위로 나뉘어진다. 동적 상대측위에서 이동국은 계속 이동하므로 임의의 시점에 대하여 그 위치가 결정되게 되며 이 경우 단일차분, 이중차분 및 삼중차분에 대한 수학적 모델에는 기하학적 거리의 변화로 나타나는 수신기의 운동이 잠재적으로 포함되게 된다.
GNSS에 의한 상대측위(DGPS)의 목적은 무엇인가? GNSS에 의한 상대측위(DGPS)의 목적은 기준국 또는 기지점의 위치좌표를 기준으로 하여 미지점의 위치 좌표를 상대적으로 결정하는 것으로 기지점과 미지점의 기선 벡터를 결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대측위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지점과 미지점에서 동시에 GPS 관측이 이루어져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hoi, B. and Lim S., 2004,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positioning accuracy for inverted RTK using FAR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22, No. 3, pp. 217-223. 

  2. Choi, Y., Bae T., Lee, J. and Kwon, J., 2007, The optimized integration of single-baseline GPS solutions for network based kinematic positioning, Korean Journal of Geomatics, Vol. 25, No. 3, pp. 207-213. 

  3. Hofmann-Wellenhof, B., Lichtenegger, H. and Suh, Y., 2009, GPS Theory and application(5th edition), SigmaPress, Seoul, pp. 228-242. 

  4. Jang S., Kim J., Jeong G., 2009. Accuracy Evaluation of Boundary corner point using VRS GPS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Vol. 17, No. 1, pp. 37-42. 

  5. Jeong W. and Lee Y., 2007, Determination of Orthometric Heights by GPS Levelling in Public Surveying, 37th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Conference, Vol D, pp. 3590-3594. 

  6. Kim, H., Yu, G., Park, K. and Ha, J., 2008, Accuracy evaluation of VRS RTK surveys inside the GPS CORS network operated by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Korean Journal of Geomatics, Vol. 26, No. 2, pp. 139-147. 

  7. Lee, H., Park J. and Lim, S., 2005, Error assessment of altitude determination using wireless internet-based DGP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23, No. 2, pp. 101-108. 

  8. Lee J., Kim, Y. and Lee I., 2012, An accuracy evaluation of algorithm for shorlinr change by using RTK-GP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2, No. 1D, pp. 81-88. 

  9. Lee, S. and Choi, B., 2007, Hydrographic surveying in river by RTK-GPS, Korean Journal of Geomatics, Vol. 25, No. 3, pp. 267-275. 

  10. Lee, Y., 2003, A Study on the Precise Differential GPS Positioning by GPS Permanent Reference Station Networ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3, No. 6D, pp. 891-900. 

  11. NGII, 2003, A study on introdution of the virtual reference system, NGII, pp. 36-54. 

  12. NGII, 2011, Public Surveying Work Regulation(NGII, 2011-605), NGII, Article 27. 

  13. NGII, 2013, NGII CORS, http://gps.ngii.go.kr (last date accessed : 21 Semptember, 2013). 

  14. Retscher G., 2002, Accuracy Performance of Virtual Reference Station(VRS) Networks, Journal of Global Positioning Systems, Vol.1, No.1, pp. 40-47. 

  15. Trimble, 2013, Trimble R8 GNSS Datasheet, http://trl.trimble.com/docushare/dsweb/Get/Document-140079/(last date accessed : 15 May, 2013). 

  16. Yeh T., Chao B., Chen C. and Lee Z., 2012, Performance improvement of network based RTK GPSS positioning in Taiwan, Survey Review, Vol. 44, No. 324, pp. 3-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