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시간 이동 측위 적용을 위한 Network-RTK(VRS) 정확도 분석
Accuracy Analysis of Network-RTK(VRS) for Real Time Kinematic Positioning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30 no.4, 2012년, pp.389 - 396  

노선준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한중희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권재현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실시간으로 정밀한 이동체의 위치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를 이용한 실시간 이동 측위에 대한 연구 및 활용이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Network-RTK(VRS)를 실시간 이동 측위에 적용하기 위해, 수 cm 수준의 정확도를 보이며 실시간 이동 측위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RTK를 기준으로 Network-RTK(VRS)의 이동 측위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Network-RTK(VRS)는 모호정수가 고정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2cm, 수직 방향으로 7cm의RMS를 보였으며, 가시 위성 개수가 줄어들어 모호정수를 상실한 구간에서는 수 m의 RMS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Network-RTK(VRS) 이동 측위 시 수신기 내부에서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위치 인자를 분석한 결과, quality 값이 0.1m 이하일 때 수평 10cm, 수직 20cm 이내의 위치 정확도를 보였으나, quality 값이 0.1m 를 초과할 경우에는 수m의 현저하게 떨어진 정확도를 보였다. 따라서 Network-RTK(VRS)를 정밀한 실시간 이동 측위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위치 정확도의 정보를 포함한 quality 값들을 확인하면서 측위를 실시해야 할 것 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demand on the precise positioning for the moving objects has been increased in the various industry field,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analyze real time kinematic technique and its practical usag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ssibility of Network-RTK(VRS) in r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분석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실시간 측위 방식 중수 cm 의 높은 정밀도를 갖는 RTK를 기준 데이터로 선정하고, MMS(Mobile Mapping System) 차량에 RTK와 Network-RTK(VRS)의 두 안테나를 각각 설치하여 Network-RTK(VRS) 이동측위 정확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수 cm 수준의 위치 정확도를 요구하는 실시간 이동 측위 분야에 Network-RTK(VRS)의 적용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해 이동측위를 실시하고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밀단독측위를 기반으로 한 실시간 측위의 단점은 무엇인가? 정밀단독측위는 관측치에 포함된 모든 오차 요소를 모델링 또는 IGS(International GNSS Service)에서 제공하는 정밀력을 이용하여 감소 또는 제거한 후, 높은 정밀도로 위치를 추정하게 된다(Kouba 등, 2003). 그러나 정밀단독측위를 기반으로 한 실시간 측위는 시간의 제약으로 최종정밀궤도력 대신 초신속정밀궤도력를 이용함에 따라, 위성의 궤도 및 시계오차를 완전히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어 상대 측위 기반의 실시간 측위기술에 비해 정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Gao 등, 2004).
VRS 기반 Network-RTK 이동 측위 과정이 진행되는 세 단계는 각각 무엇인가? VRS 기반 Network-RTK 이동 측위 과정은 크게 세 단계로 진행된다. 첫 번째로 이동국의 대략적인 위치를 모바일 통신 방식인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를 이용하여 NMEA(National Marine Electronics Association) 형식으로 Network-RTK(VRS) 서버에 전송한다(Wilson 등, 2002). 서버에서는 전송받은 이동국 위치에 인접한 상시관측소들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리층, 대류층, 위성 관련 오차등과 같은 계통 오차를 계산하고 이동국 근처에 가상 기준점을 생성한다. 마지막으로 생성된 가상 기준점의 위치 및 보정 정보를 NTRIP(Networked Transport of RTCM via Internet Protocol) 방식으로 이동국에 전송하고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대측위 기법으로 이동국의 정밀한 위치를 계산한다.
RTK 방식이란 무엇인가? 우리나라 DGPS 서비스는 위성항법중앙사무소에서 관리중인 17개 기준국의 코드데이터로 부터 계산된 GNSS 오차 보정치를 인터넷 망을 이용한 NTRIP(Networked Transport of RTCM via Internet Protocol)을 통해 제공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수 m 의 정밀 도로 실시간으로 이동체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위성항법중앙사무소, 2002). 이에 반해 RTK 방식은 기준국에서 위상 관측치를 이용하여 모호정수 및 보정치를 생성하고 이를 이동국에 전송하여 상대 측위 기법을 통해 이동국의 위치를 수 cm 수준의 정밀도로 결정하는 방법이다(Ayhan 등, 2006). 코드 관측치를 이용하여 보정신호를 생성하는 DGPS에 비해, RTK는 위상 관측치를 이용하여 높은 정확도를 확보 할 수 있기 때문에 지각변동이나, 건축물의 변위 측정, 토목 시공 등과 같은 정밀한 위치를 요구하는 분야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국토지리정보원 (2003), 가상기준점(VRS) 도입에관한연구. 

  2. 김감례, 강대룡, 송근필(2009), VRS를 활용한 Network RTK의 지적측량 활용방안, 한국지적정보학회지 제 11권 제1호, pp. 89-99. 

  3. 이두신, (2011), Network-RTK를 적용한 토지경계설정,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pp. 26-36. 

  4. 한중희, 권재현, 홍창기 (2010), 공공기준점 측량에 적용을 위한 VRS(가상기준점) 방식의 Network-RTK 정확도 분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제 18권, 제2호, pp. 13-20. 

  5. 위성항법중앙사무소 (2002). DGNSS Data Service. http://www.ndgps.go.kr/ 

  6. Ayhan, C., Omer, M., and Ozer, Y. (2006), Cost and Accuracy Analysis of Detail Measurements by Real-Time Kinematic GPS(RTK-GPS), XXIII FIG Congress Munich, Germany, October 8-13, 2006. 

  7. Gao, Y., and Chen, K. (2004), Performance Analysis of Precise Point Positioning Using Real-Time Orbit and Clock Products, Journal of Global Positioning Systems, Vol. 3, No. 1-2: 95-100. 

  8. Huber, K., Heuberger, F., Abart, C., Karabatic, A., Weber, R., and Berglez, P. (2010), PPP:Precise Point Positioning - Contraints and Opportunities, FIG Congress 2010, Facing the Challenges-Building the Capacity Sydney, Australia, 11-16 April 2010. 

  9. Kouba, J. (2003), A Guide to Using International GPS Service (IGS) Products, IGS Publivations, IGS Central Bureau, http://igscb.jpl.nasa.gov/overview/pubs.html. 

  10. Landau, H., Vollath, U., and Chen, X. (2003), Virtual Reference Stations versus Broadcast Solutions in Network RTK - Advantages and Limitations, GNSS 2003, pp. 1-15. 

  11. Wilson, I., Cruddace, P., Pennington, G., Greaves, M.,Fane, C., Euler, H-J., and Levine M. (2002). Establishing an Network RTK Solution for Great Britain; From Schema to Solution. In Proc. Institute of Navigation National GPS 2002, 24-27 Septembe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