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기준점 측량에 적용을 위한 VRS(가상기준점) 방식의 Network-RTK 정확도 분석
Analysis of Network-RTK(VRS) Positioning Accuracy for Surveying Public Control Point 원문보기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18 no.2, 2010년, pp.13 - 20  

한중희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권재현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홍창기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국토지리정보원은 전국 44개의 상시관측소를 이용하여 VRS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짧은 시간 동안 취득된 자료의 처리를 통해 높은 위치정밀도의 획득이 가능하다. 그러나 공공기준점 측량을 위한 VRS 측량의 가용성 분석은 미비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환경에서 데이터를 취득하여 공공기준점 측량에 대해 적용하기 위한 VRS 측량의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85%의 데이터가 4cm 이내의 수평오차가 나타남으로써 VRS 측량에 적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고 좌표의 정확도를 판별하는 인자로 GDOP(Geometric Dilution of Precision)보다는 추정된 좌표의 분산을 나타내는 PQ(Position Quality)를 이용하는 것이 효율적임을 알수 있었다. 또한, 현재 대표적인 VRS 장비회사인 TRIMBLE, MAGELLAN, LEICA, TOPCON의 장비의 정밀도를 비교분석한 결과 수평위치의 표준편차가 3cm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회사 장비 별 정밀도는 비슷한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공공기준점 측량에 VRS 측량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urrently, NGII(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provides VRS(Virtual Reference System) service using 44 CORS(Continuously Operating Reference Stations). Since the VRS provides high-precision coordinate in a short time, the users and applications are expected to be rapidly increasing.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VRS 측량이 공공기준점 측량에 적용될 수 있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VRS 측량의 정확도 및 정밀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VRS 측량의 정확도를 비교분석하기 위해 전국 5개시를 기준으로 1차 측량을 통해 데이터를 취득하였으며, 제품별 측량장비에 따른 VRS 측량의 정밀도의 일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2차 측량을 수행하였다.
  • 따라서 수신기 컨트롤러의 제시된 오차는 다중경로나 위성배치뿐만 아니라 다른 요인에 기인된 영향도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수신기 컨트롤러의 안정화 여부에 해당되는 통계 식에 대한 접근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정확한 분석에는 한계가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한 요소로 판단하였다. 이 경우도 PDOP이 가장 좋음에도 불구하고 오차가 큰 것으로 보아서 PDOP과 정확도 사이에 상관관계는 비교적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 현재 다양한 업체에서 VRS 측량장비를 제공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VRS 측량 장비들이 제공하고 있는 측량정밀도가 서로 일관성이 있는 지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동일한 지역에서 총 4개의 장비(Leica, Trimble, Topcon, Magellan)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취득한 후 정밀도를 계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GDOP는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GDOP은 위성의 기하학적 배치에 의해서 추정된 측량오차를 의미하므로 GPS 측량시 정확도를 판별하는 기본 인자로 널리 사용된다. VRS 측량에 있어서도 GDOP 정보가 수신기 위치오차를 실질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지에 대한 판단을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RTK의 단점은 무엇인가? 즉, 단기선의 경우 대기효과를 충분히 제거가 가능하기 때문에 짧은 시간동안 수신된 자료만으로도 모호정수의 결정이 가능하다. 하지만 기선이 길어질수록 대기효과의 충분한 제거가 불가능하며 따라서 조정계산 과정에서 대기효과에 대한 잔차를 추정하더라도 충분한 데이터의 수신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 가상기준점(VRS, Virtual Reference Station) 방식의 GPS 측량이 도입되었다(Landau, 2000; Trimble 2001).
VRS 방식의 측량은 기존의 RTK 측량에 비해 어떤 장점을 갖고 있는가? kr). VRS 방식의 측량은 기존의 RTK 측량에 비해 짧은 시간동안 취득된 자료를 이용하여 높은 위치정확도의 확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따라서 그 활용성이 증가 추세에 있다. VRS 측량 방식을 지적측량에서의 기준점측량이나 세부측량 등에 적용 가능성 및 활용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지적 분야에 적용하여도 정확도 측면에서 무방함을 보였다(김감래 등, 2009; 장상규 등,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국토지리정보원, 2003, 가상기준점(VRS) 도입에 관한 연구. 

  2. 김감래, 강대룡, 송근필, 2009, VRS를 활용한 Network RTK의 지적측량 활용방안, 한국지적정보학회지, pp.89-99. 

  3. 장상규, 김진수, 정공운, 2009, VRS GPS을 이용한 필계점의 정확도 평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pp.37-42. 

  4. Ulrich Vollath, Alois Buecherl, Herbert Landau, Christian Pagels, and Bernhard Wagner, 2000, "Multi-Base RTK Positioning Using Virtual Reference Stations", Proceedings of ION GPS-2000, pp.123-131. 

  5. Gao Y, Li Z, McLellan JF, 1997, "Carrier phase based regional area differential GPS for decimeter-level positioning and navigation", Proc 10th Int Tech Meeting Satellite Divistion Inst Navigation", pp.1305-1313. 

  6. Colombo OL, Hernandez-Pajares M, Juan JM, SanzJ, Talaya J, 1999, "Resolving carrier phaseambiguities on the fly, at more than 100 km fromnearest reference site, with the help of ionospherictomography", Proc 12th Int Tech Meeting SatelliteDivision US Inst Navigation, pp.1635-1642. 

  7. Chen HY, Rizos C, Han SW, 2001, "From simulationto implementation : low-cost densification ofpermanent GPS networks in support of geodeticapplications", J Geod 75, pp.515-526. 

  8. Trimble, 2002, Trimble Virtual Reference Station(VRS), Product brochure, http://www.trimble.com/vrs.html. 

  9. SAPOS. http://www.saposnrw.de/. 

  10. 국토지리정보원. 실시간 정밀 GNSS 측량. http://vrs.ngii.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