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세계측지계의 체계적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Policy Framework for Introducing World Geodetic Reference System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26 no.2, 2008년, pp.183 - 191  

신동빈 (국토연구원 국토정보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존 2007년에서 2010년으로 유예된 세계측지계 전환과 관련하여 국토지리정보원을 중심으로 다양한 연구결과가 도출되었으며, 기술적 제도적 기반은 어느 정도 갖추어져 있다. 그러나 세계측지계의 실질적 적용을 위한 방안이 제시된바 없어 관련기관의 협조 및 진행 또한 미진하며, 세계측지계 전환에 대한 범부처적인 지원체계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세계측지계의 도입이 범국가적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세계측지계 전환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사전에 해결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계측지계를 체계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변환 대상, 주체, 방법 등을 정립하고 이에 대한 정책적 실행방안을 수립하였다. 또한 중앙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생산 및 유통되고 있는 지리정보의 세계좌표계 변환에 소요되는 비용을 추정하고 예산 확보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국가기준체계 구축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계측지계 도입으로 인한 혼란을 최소화하고 관련 정책 의사결정의 기반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eodetic Reference System was deferred from 2007 to 2010. Although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in Korea takes charge of it, the progress is slow without clear policy alternatives. In this regards, this study aims at suggesting practical measures for introducing World Geodetic Referen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뿐만 아니라 중앙부처및 지방자치단체에서 생산유통되고 있는 지리정보의 세계좌표계 변환에 소요되는 비용 추정 및 예산확보 방안의수립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계측지계로의전환을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국가차원의 적용방안및 정책적 실행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우선적으로 정립될 필요가 있다. 연구는 이러한 시각에서 세계측지계 전환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국가의 역할을 정립하고 추진기반을 조성하기 위한 방안을 수립하였다. 미국, 유럽, 일본, 호주의 선행사례와 국내현황을 조사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세계측지계의 체계적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 NGS에서 추진하는 미국전역에 대한 GPS 측량에 의한 재조정을 진행하였으며, 재조정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는 FGDC(Federal Geographic Data Committee)의 지형공간위치정보 정확도 표준에 맞추기 위해서이다. 둘째는 주정부의 HARN(High Accuracy Reference Network)과국가단위의 CORS(Continuously Operating Reference Stations)간의 불일치를 개선하기 위해서이다(이석민, 2004).

가설 설정

  • - 회전타원체의 중심이 지구의 질량 중심과 일치하며, 축이 지구의 자전축과 일치할 것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건설교통부 (2001), 세계좌표계 도입에 따른 기준점 구축 및 관리방안 

  2. 국립지리원 (1998), 수치지도 좌표계에 관한 연구 

  3. 국립지리원 (1999), 수치지도 좌표계 변환에 관한 연구 

  4. 국립지리원 (2000), 무결점 수치지도 제작 연구 

  5. 국립지리원 (2001), 수치지도 좌표계전환 연구(I) 

  6. 국립지리원 (2002), 세계측지계로의 전환지침 연구 

  7. 국립지리원 (2003), 수치지도 좌표계 전환에 관한 연구 II 

  8. 국립지리원 (2003),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 백서 

  9. 국토지리정보원 (2004), 국토지리정보원 30년사 

  10. 국토지리정보원 (2005), 1/1,000 수치지형도 좌표계변환 표준작업지침 

  11. 서울특별시 (2006), 1/1,000 수치지도 세계측지계 전환 사업 

  12. 신동빈 (2007), 국가공간정보에 대한 세계측지계의 체계적 적용 방안, 국토연구원 

  13. 이석민 (2004), 세계측지계 전환에 따른 서울시 지리정보 대응방안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4. http://cddis.nasa.gov 

  15. http://www.e-gis.or.kr 

  16. http://www.euref-iag.net 

  17. http://www.fgdc.gov 

  18. http://www.ga.gov.au 

  19. http://www.gsi.go.jp 

  20. http://www.kasm.or.kr 

  21. http://www.ngi.go.kr 

  22. http://www.ngs.noaa.gov 

  23. http://www.ordnancesurvey.co.uk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