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개정된 측량법에 의해 2010년부터 모든 위치정보좌표는 세계측지계 좌표를 기준으로 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국토지리정보원을 중심으로 세계측지계로의 전환을 위한 기술적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하지만 여러 저해요인으로 인해 현재 지방자치단체별 전환실적이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세계측지계로의 전환에 필요한 요소 중 좌표변환방법 및 절차에 대한 분석을 통해 보다 유연성 있는 변환방법을 제시하였으며 기존의 좌표변환절차 중 효율적 인 좌표변환을 위한 보완방안을 제공하였다. 이를 위해 국가변환계수를 이용한 기존의 변환방법보다 효율적인 Affine변환의 유용성 여부를 분석하였으며 기준점의 허용오차 분석을 통해 공통점에 존재하는 비상사점의 판별 기준을 제시하였다. 또한 구성과 및 신성과가 혼재하는 지역에서의 효율적인 세계측지계 좌표변환 방법 및 세계측지계 변환에 필요한 공통점의 적절한 수량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cording to the revised law of survey, all the geographic information data including 1/1,000 digital topographic maps have to be converted to world geodetic reference system by the end of 2009.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NGII) formulated the policy to promote the conversion from lo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수량은 측량비용 대비 효용(변환정확도) 측면에서 과다하게 책정된 경우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절에서는 공통점의 수량 변화가 변환된 좌표의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보다 적절한 공통점 수량을 제시 하였다.
  • 또한 2차원 Affine 변환을 국지적인 범위에 적용하여 세계측지계 좌표변환을 수행하여 도 무방하다는 연구결과도 이미 도출된 바 있다(윤홍식 등, 2004; 조재관 등, 2008). 본 연구에서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좌표변환표준지침의 분석을 통해 보다 효율적인 세계측지계 전환을 위한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개선안은 세계측지계로의 원활한 전환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에서는 세계측지계 전환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 세계측지 계좌표변환과 관련된 표준변환지침을 분석하였으며 이로부터 좌표변환 절차 중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국가변환계수를 이용한 세계측지 계좌표변환 방법보다 간편한 AfiSne변환의 세계측 지계 좌표변환 적용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 하 지만 구성과와 신성과가 혼재되어 있는 지역의 경우구성 과와 신성과 사이에 일관성을 유지하기 어려우며 따라서 변환 후 요구정확도 또한 확보하기 어렵다. 본 절에서는 구성과와 신성과가 혼재하는 경우에 대한 변환분석을 통해 적절한 변환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따라서 각 방향에서의 허용오차(σN, σE)는 허용오차의 크기가 같으며 (Ojv = os) 서로 상관관계가 없다는 가정 하에 다음 수식 (2)와 같이 표현이 가능하다.
  • 이때 왜곡량을 분석하여 비상사점으로 판단하기 위한 허용오차에 대한 기준이 필요한데, 본 연구에서는 각 방향(North, East)별 허용오차의 기준을 국토지리정보원에서 고시한 정밀1, 2차 기준점측량내규를 근거로 결정하였다. 즉, 국가기준점 혹은 도시기준점과 같은 공공기준점은 정밀1, 2차 기준점측량내규에 제시된 수평위치 정확도(M3cm)를 확보한 상태로 가정 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건설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 (2005),1/1,000수치지형도 좌표계변환 표준 작업지침(Ver 1.0) 

  2. 건설교통부 국토연구원 (2007), 국가공간정보에 대한 세계측지계의 체계적 적용방안 

  3. 윤홍식, 김대경, 송동섭 (2004), 최적 좌표변환파라미터 결정을 위한 좌표변환 모델의 비교, 대한토목학회지, 대한토목학회, 제24권, 제3D호, pp.455-461 

  4. 이상준(2005), 세계측지 좌표계도입을 위한 국지적 좌표변환계수값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서울시립대학교, pp.29~37 

  5. 이현직, 유지호 (2007), 국가측지좌표계 전환에 따른 변환계수 결정 및 도시기반정보 데이터베이스 변환-원주시를 대상으로,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25권, 제2호, pp.141-148 

  6. 임일식, 이민석, 이석배, 김병국 (2003), 세계측지계 도입에 따른 지적측량 기준점의 지역좌표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학회지, 한국지적학회, 제19권, 제2호, pp.159-172 

  7. 조재관, 최윤수, 권재현, 이보미(2008), GIS 기본도 및 DB의 세계측지계 좌표변환 정확도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제16권, 제3호, pp.79-8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