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디지털 환경에서 사서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Librarian's Identity in Digital Environment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19 no.1, 2008년, pp.157 - 174  

이경민 (숭의여자대학교 문헌정보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서관전산화와 인터넷은 사서들의 업무를 편리하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아웃소싱 및 직업감축으로 이어지게 하였으며 도서관 방문자 수를 급감시켰다. 하지만 많은 도서관의 사서들은 기존 업무에 매달려 있고 변화된 새로운 환경에 적합한 역할을 찾지 못하여 그들의 정체성이 흔들리고 있다. 직업에서 정체성을 확립하지 못하면 그 직업은 사라질 수밖에 없다. 이에 본 논문은 디지털 환경에서 사서들의 정체성이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현재까지 사서들의 새로운 역할에 대해 논한 문헌들을 조사하였고, 문헌들이 제시한 것과 현직 사서들이 느끼는 것의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사서들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서는 현직에 20년 이상 근무하고 있는 사서들을 대상으로 이메일 서베이 (Survey)를 하였다 질문은 개방형 질문지로 하여 가급적이면 경험이 많은 사서들로부터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사서들은 이용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대민서비스에서 직업적인 보람을 느끼고 있지만 환경의 변화로 전문직으로서 서비스할 기회가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정보활용교육이나 독서지도 및 각종 프로그램 지도와 같은 분야에서 전문가 영역을 확보할 수 있는 기회들이 보인다. 교육은 이용자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찾을 수 있게 해주는 정보교육과 필요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매체교육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자기주도적인 평생학습사회에서 정보와 매체를 활용할 수 있는 것은 매우 중요한 능력이다. 사서들은 정보교육과 매체교육이라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이용자들이 훌륭한 지식인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일에서 사서들의 정체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formation Technology is making a lot of changes in the library. Especially the library computerization made the business of librarians convenient and made an impact in outsourcing and job reduction. The number of library users is decreasing because they can find information easily in the internet ...

Keyword

참고문헌 (39)

  1. 김대균, 박균열. 2006. '현대인의 전문직업윤리'. 서울: 철학과현실사 

  2. 김병섭. 1994. 공무원의 복지부동과 직무몰입도. '한국행정학보', 28(4): 1279-1299 

  3. 김영귀. 2003. 일본 공공도서관의 민간위탁과 사서직의 위기.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4(2): 119-141 

  4. 김용근. 2007. 사서커뮤니티를 통해 본 대학도서관의 과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4): 417-439 

  5. 김혜경, 남태우. 2004. 한국의 사서직 윤리규정 방향 제안. '정보관리학회지', 21(4): 330-352 

  6. 남태우, 김상미. 2001. '문헌정보학의 철학과 사상: 세라(J. H. Shera)의 사상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7. 류인석. 1997. 대학도서관 사서직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1(2): 7-33 

  8. 박인웅. 1997. 한국 사서직의 전문직화연구. '도서관학논집'. 25: 207-223 

  9. 서혜영, 이숙현. 2002. 아버지의 직업만족도 및 가족만족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 문화'. 14(3): 27-51 

  10. 안인자; 2005. 사서직 업무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6(1): 233-246 

  11. 엄영애. 2004. 사서직의 전문적 요건과 수행업무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8(3): 159-175 

  12. 유소영. 1994. 정보교육과 학교도서관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26(6): 53-74 

  13. 이병목, 감수. 2005. '위대한 도서관 사상기들'. 파주: 한울아카데미 

  14. 이상기. 2005. 대안으로서의 멀티미디어 활용 교육. 'Foreign Languages Education'. 12(2): 285-306 

  15. 이용덕. 2006. 한일 대학생의 직업의식 비교분석. '일본문화연구'. 18: 159-172 

  16. 이윤복. 2002. 디지털 정보시대의 윤리적 쟁점들. '대한철학회논문집'. 84: 133-167 

  17. 이윤희. 1999. 한국 대학생들의 문화적 정체성에 대한 연구. '국민윤리연구'. 42: 41-64 

  18. 이은철, 김갑선. 2002. 사서직의 직업 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6(3): 25-47 

  19. 이제환; 1998. 추락하는 대학의 심장 흔들리는 사서의 정체성. '도서관학논집'. 28: 505-525 

  20. 이현재. 2005. 정체성(Identity) 개념분석: 자율적 주체를 위한 시론(試論). '철학연구', 71: 263-292 

  21. 이호영. 김상돈, 신승배. 2005. '현대 지식정보 사회와 직업'. 서울: 시간의 물레 

  22. 조찬식. 1996. 우리나라 사서직의 역사적 발전.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0(3): 67-84 

  23. 정현욱, 강혜영. 2007. 도서관 사서의 역할지향(Role Orientation) 에 관한 Q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2): 13-30 

  24. 조경호 2007. 공무원 직업만족도 변화분석. '서울행정학회 2007년 동계학술대회발표논문집'. 317-333 

  25. 최경구, 안치민. 1992. 한국 기술인의 직업의식과 직업성. '아세아연구'. 88: 161-184 

  26. 최상희. 2007. 사서직 구인광고에서 나타난 교육사서 직무와 역량분석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3): 201-215 

  27. 홍성욱. 2002. '네트워크 혁명 그 열림과 닫힘'. 서울: 들녁 

  28. Arrigo. Paul A. 2004. The reinvention of the FDLP: A paradigm shift from product provider to service provider. Journal of Government information. 30: 684-709 

  29. Barton. Jane. 2006. Digital librarians: boundary riders on the storm. Library Review. 55(112): 85-90 

  30. Calhoun. Karen. 2007. Being a librarian: metadata and metadata specialists in the twentyfirst century. Library Hi Tech. 25(2): 174-187 

  31. Cheney. Debora. 2004. Problem-Based Learning: Librarians as Collaborators and Consultants. Libraries and the Academy. 4(4): 495-508 

  32. Coatney. Sharon. 2008. Library media specialist-not a job for the faint of heart. Teacher Librarian. 35(3): 48-60 

  33. Diana. L.H. 2005. Changing roles of reference librarians. Reference Services Review. 33(2): 268-282 

  34. Giuse. Nunzia Bettinsoli. 2007. The next challenge: where do we go from here? Journal of the Medical Library Association. 95( 1): 11-20 

  35. Melchionda. Maria Grazia. 2007. Librarians in the age of the internet: their attitudes and roles. New Library World. 108(3/4): 123-140 

  36. Nitecki. J. Z. 1993. Metalibrarianship. [cited 2008. 4. 12] 

  37. Reyes. Veronica. 2006. The Future Role of the Academic Librarians in Higher Education. Libraries and the Academy. 6(3): 301-309 

  38. Wallis. Lisa C. 2006. Information-seeking behavior of faculty in one school of public health. Journal of the Medical Library Association. 94(4): 442-446 

  39. William. L. W. 1995. Differentiated Service: A New Reference Model. The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21(2):103-1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