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천마분말 복용이 심혈관계 질환 노인들의 혈중 지질 양상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Gastrodiae Rhizoma Powder on Plasma Lipid Profiles in the Elderly with Cardiovascular Diseas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7, 2008년, pp.858 - 868  

양경미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식품조리영양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평균 수명과 노인 연령층의 증가에 따른 노인들의 삶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보다 적극적인 건강증진 방안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양군 마을 주민들 중에서 60세 이상으로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진단 및 유소견자 중 자원자 32명을 대상으로 2006년 9월 14일에서 2007년 3월 13일까지 6개월 동안 천마복용 전후의 설문조사와 혈액학적 지질성분 변화 양상에 대한 천마의 효과를 살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전체 평균 연령은 $65.7{\pm}7.84$세로 남자는 $70.0{\pm}6.24$세, 여자는 $63.3{\pm}7.76$세이었다. 전체 평균키와 몸무게는 각각 $152.5{\pm}28.9\;cm$, $57.6{\pm}10\;kg$이었으며, 남자 노인은 $165.3{\pm}5.86\;cm$461.7{\pm}11.7\;kg$, 여자 노인은 $143.7{\pm}34.9\;cm$$54.4{\pm}8.03\;kg$로 표준 체격보다 작았고 남자 노인에 비해서 여자 노인의 비만도가 다소 높았다. 질병보유상태는 전체 조사대상자의 81.3%로 고혈압, 근골격 질환, 당뇨병, 심장병, 신경통 등을 앓고 있었다. 약물복용 상태는 조사대상자의 53.1%가 현재 복용하고 있는 약물은 없었으며, 한 가지 약물복용은 남녀 각각 18.2%, 38.1%, 두 가지 약물복용은 9.1%, 9.5%로 남자 노인이 여자 노인보다 약물 복용수가 많았다. 조사대상자의 식태도는 남자에 비해서 여자가 채소와 과일의 섭취 빈도수가 높았으나 남녀 모두 육류와 생선의 빈도수가 낮았다. 1회 식사량은 조사대상자의68.8%가 보통수준이었으며 조사대상자의 87.1%가 균형식으로 먹는다고 답하였다. 또한 영양위험도 평가에서는 고위험 영양불량군이 남녀 각각 81.8%, 76.2%로 고위험 영양불량상태인 조사대상자의 비율이 높았다. 조사대상자의 천마복용 전후의 남녀의 혈압, 혈당 및 헤모글로빈의 평균 수치는 모두 정상 범위 내에 있었으며, 천마복용으로 남자의 경우 p<0.05 수준에서 이완기혈압이 증가된 반면에 혈당이 감소되었다. 혈액 내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LDL과 HDL-콜레스테롤 역시 천마복용 전후 남녀의 평균 수치는 모두 정상범위 내에 있었다. 남자의 경우 p<0.05 수준에서 중성지방은 감소된 반면에 HDL-콜레스레롤은 p<0.05 수준에서 천마복용 전에 비하여 복용 후에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동맥경화나 심혈관계 위험 지수에 있어서는 남녀 모두 천마복용으로 유의적으로 호전된 양상을 보였다. 남녀 성별에의한 영향을 통제하고 천마복용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공변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 천마복용이 최고혈압, 최저혈압, 헤모글로빈,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AI, CRF 그리고 HTR에는 유의적인 영향은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나 천마복용이 p<0.01 수준에서 혈당치와 p<0.05 수준에서 LHR에는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기본적으로 본 연구의 참여 대상자를 자원자 중심으로한 결과 이들 중 56% 정도가 혈당강하제, 고지혈증 및 고혈압 약을 복용하면서 천마를 섭취했다는 한계점 때문에 천마복용 전후 혈압과 혈중 지질성분이 정상 기준치 범위 내에 있었으며, 그 결과 혈당, 혈압 및 지질성분에 대한 뚜렷한 함량 변화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앞으로 천마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의 생리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고자 할 때는 정상인, 고지혈증 환자, 고혈압 환자, 약물 복용자 및 비복용자 등 각 항목에 대한 정상군과 위험군을 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astrodiae Rhizoma powder on plasma lipid profiles in elderly volunteers with hyperlipidemia, hypertension, diabetes or heart disease. 32 elderly people, 11 males and 21 females aged $60{\sim}77$ years, were given Gastrodiae Rhizo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심장병과 같은 심혈관계 질환을 가지고 있는 60세 이상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천마를 6개월간 섭취시킨 후 천마의 임상학적 효능으로 지질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경상북도 영양군 보건소에서 영양군 임하면 방 전리 마을 주민들의 건강 증진을 위하여 실시한 ‘참살이 한방건강 마을 가꾸기 사업’의 대상자인 이 지역 주민 성인 107명 대상으로 생화학적 조사를 통한 건강검진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후 이중에서 60세 이상으로 심장병(5명; 약물복용 3명, 유소견자 2명), 고혈압(11명; 약물복용 10명, 유소견자 1명), 당뇨병(5명; 약물복용 3명, 유소견자 2명), 고지혈증(11명; 약물복용 2명, 유소견자 3명, 경계성 6명) 진단 및 유소견자들 가운데 지원자 32명을 대상으로 2006년 9월 14일에서 2007년 3월 13일까지 6개월 동안 천마복용 전·후의 설문조사와 혈액학적 지질 성분 변화를 조사하여 천마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가설 설정

  • 1)PIBW: percent of ideal body weight. 2)BMI: body mass index.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의학에서 천마는 어떤 질병에 이용되어 왔는가? 천마의 규명된 영양소 성분으로 전분, mannose, 비타민 C, leucine, arginine, phenylalanine 등의 아미노산과 Ca, Fe, K, Mg과 같은 무기질 이외에도 oxidase나 diastase와 같은 효소도 함유되어 있다(10-12). 한의학에서 천마는 고혈압, 강장, 현기증, 두통, 신경쇠약 등에 이용되어 왔으며(13), 현재는 천마의 추출물이나 분말이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 고혈압, 심혈류의 장애 개선, 두통, 현기증, 고혈압에 의한 수족의 마비와 시력 감퇴, 당뇨병, 진간, 식풍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4-16). 또한 여러 연구자의 동물실험에서 혈중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LDL콜레스테롤 그리고 동맥경화 지수나 혈압 저하 효과가 증명되었다(12,17,18).
천마의 주성분은 무엇인가? 그 중에서 한의학적으로 산약이라 불리는 천마(天麻, Gastrodiae rhizoma)는 난초목 난초과(Orchiadace)의 여러 해살이 풀 식물로서 주성분으로 vanillyl alcohol, vanillin, 배당체 및 β-sitosterol, 점액성분 mucin으로 이루어져 있다 (10). 천마의 규명된 영양소 성분으로 전분, mannose, 비타민 C, leucine, arginine, phenylalanine 등의 아미노산과 Ca, Fe, K, Mg과 같은 무기질 이외에도 oxidase나 diastase와 같은 효소도 함유되어 있다(10-12).
천마는 여러 연구자의 동물실험에서 무엇이 증명되었는가? 한의학에서 천마는 고혈압, 강장, 현기증, 두통, 신경쇠약 등에 이용되어 왔으며(13), 현재는 천마의 추출물이나 분말이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 고혈압, 심혈류의 장애 개선, 두통, 현기증, 고혈압에 의한 수족의 마비와 시력 감퇴, 당뇨병, 진간, 식풍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4-16). 또한 여러 연구자의 동물실험에서 혈중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LDL콜레스테롤 그리고 동맥경화 지수나 혈압 저하 효과가 증명되었다(12,17,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Kwon JS, Lee HJ. 2003.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living in Songnam-I. Antheropometric measurements and biochemical nutritional status. Kor J Food Nutr 16: 310-320 

  2. Position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nutrition, aging, and the continuum of care. 2000. J Am Diet Assoc 100: 580-595 

  3. Martin N. 1992. Experimental cardiovascular depressant effect of garlic dialysate. J Ethnopharmacol 37: 145-153 

  4. Park PS, Sung NJ, Park MY. 1999. Effects of Dioscorea batatas and Gastrodia rhizoma on lipid composition changes of liver, brain and kidney in rats. J East Asian Dietary Life 9: 188-194 

  5. Choi YJ, Park YS, Kim C, Chang YK. 2004. Evaluation of functional ability and nutritional risk according to self-rated health (SRH) of the elderly in Seoul and Kyunggi-do. Kor J Nutr 37: 223-235 

  6. Kim NJ, Jung EA, Kim DH, Lee SI. 1999.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antihyperlipidemic drugs from Oriental Herbal Medicines (I)-Antihyperlipidemic activities of Oriental herbal medicines-. Kor J Pharmacogn 30: 368-376 

  7. 이상인, 박선동 공편저. 1998. 한방임상처방학. 도서출판 영림사, 서울. p 361-384 

  8. Rhie SG, Park YJ. 1997. A study on nutrition education for rural elderly of Kyungki province in Korea. Kor Soc Community Living Sci 8: 25-33 

  9. 유시용. 2004. 천연식물자원(한약재)으로부터 생리활성 물질의 탐색. 논문집 한의학편 4: 237-253 

  10. Kim JK, Cha WS, Park JH, Oh SL, Cheon SH, Chung SK. 2004. Studies on the mineral component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Gastrodia elata Blum. Kor J Post-Harvest Sci Technol Agric Products 4: 317-321 

  11. Han CK, Lee OK, Kim KI, Park JM, Kim YC, Lee BY. 2005. Effect of power, 50% ethanol and hot water extracts of Gastrodae Rhizoma on serum lipids and blood pressure in SHR fed high-fat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095-1101 

  12. Park PS, Park MY. 2001. Effects of Dioscorea batatas and Gastrodia on fatty acid compositions serum, liver and brain in rats. Kor J Life Sci 11: 83-92 

  13. Yang CH, Kim MR, Kwen YZ. 2001. Effect of Gastrodiae rhizoma extract on plasma levels of electrolytes and aldosterone and plasma renin activity in unaneshtetized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J East-West Med 22: 1-22 

  14. Heo JC, Park JY, An SM, Lee JM, Yun CY, Shin HM, Kwon TK, Lee SH. 2006. Anti-oxidant and anti-timor activities of crude extracts by Gastrodia elata Blume. Kor J Food Preserv 13: 83-87 

  15. 허준. 1991. 동의보감. 남산당, 서울. p 367 

  16. 중약대사전편찬위원회. 1997. 중약대사전. 정담출판사, 서울. p 4105-4110 

  17. Kang JK, Moon SK, Ko CN, Cho KH, Kim YS, Bae HS, Lee KS. 1997.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s of Chunma-Hwan on blood pressure and hyperlipidemia. KHM 13: 202-216 

  18. Hong HD, Kim YC, Keum IK, Kim SS, Kim KI, Han CK. 2005. Effect of Gastrodiae rhizoma fractions on serum lipid concentrations in rats fed with high fat diet.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 370-374 

  19. Kim AJ. 2004.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tool measuring Yangseng traditional oriental health promotion. PhD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20. Kim KN, Hyun TS, Lee JW. 2000. Development of a simple screening test for identifying Korean elderly at risk of undernutritio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5: 475-483 

  21. Haglund O, Loustarinen R, Wallin R, Wibell I, Saldeen T. 1991. The effect of fish oil on triglycerides, cholesterol, fibrinogen and malondialdehyde in humans supplemented with vitamin. Eur J Nutr 121: 165-172 

  22. Friedwald WT, Levy RI, Fredireck DS. 1972.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 Chem 18: 499-502 

  23. Bang MA, Cho YJ, Kim HA. 2002. Effect of Indongcho (L. japonica Thunb) on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tive enzyme system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or J Dietary Culture 17: 377-386 

  24. McDowell I, Newell C. 1996. Measuring Health. 2nd ed. Oxford University Press 

  25. Kang NE, Lee JY. 2005. The analysis of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the elderly in Sung-nam area. Kor J Food Nutr 18: 357-366 

  26. Yang IS, Lee JM, Sook CI. 1998. Nutrition knowledge and attitude analysis of elderly people for the developmen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J Kor Dietetic Assoc 4: 76-87 

  27. Yang IS, Lee JM, Chai IS, Yoon G. 1996. Foodservice management systems at elder-care sites for the improvement of elderly welfare politices in Korean. Kor J Nutr 29: 830-838 

  28. Chung MS, Kang KJ. 1996. A survey on the health, food perceptions, and food habits of urban elderly men-With special reference to elderly men in the Tap-gol Park-. Kor J Dietary Culture 11: 455-463 

  29. Yim KS, Min YH, Lee TY. 1997. Strategies to improve nutrition in the elderly: An analysis of health related factors and the nutritional risk index of the elderly. Kor J Community Nutr 2: 376-387 

  30. Yim KS, Han MW, Kang YJ, Park HR, Kim CH. 2000. Analysis of dietary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attending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hypertensive patients at a public health center. J Kor Dietetic Assoc 6: 125-135 

  31. Han KH. 1999. Nutritional status and life style factors in elderly people. Kor J Comm Nutr 4: 279-298 

  32. Yim KS, Lee TY. 2004. Sociodemographic factors associated with nutrients intake of elderly in Korea. Kor J Nutr 37: 210-222 

  33. 모수미, 이연숙, 구재욕, 손숙미. 1997. 식사요법. 교문사, 서울. p 235 

  34. Kwon JS, Lee HJ. 2003.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living in Songnam-I. Antheropometric measurements and biochemical nutritional status. Kor J Food & Nutr 16: 310-320 

  35. Son HY, Cho KH. 1998.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in Kwangju, Kyonggi-do by blood indices. Kor J Gerontol 8: 105-115 

  36. Kim KI, Han CK, Seong KS, Lee OH, Park JM, Lee BY. 2003. Effect of whole power and extracts of Gastrodiae Rhizoma on serum lipids and body fat in rats fed high-fat diet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720-725 

  37. Sue JD. 1990. The risk factor of cardiovascular disease. Kor J Internal Med 38: 591-599 

  38. Park YS. 1993. Community-base epidemiologic study on serum lipid profiles and their interaction with other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Yonchon county. Kor Soc Lipidol Atheroscler 3: 272-279 

  39. Castelli WP, Garrison RJ, Wilson PWF, Abborr RD, Kalousdian S, Kannel WB. 1986. Incidence of coronary heart disease and lipoprotein cholesterol levels. The Framingham study. JAMA 256: 2835-28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