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효천마분말의 품질특성과 기호도 조사
Quality Properties and Preference of Fermented Gastrodia elata Blume 원문보기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28 no.3, 2010년, pp.507 - 514  

김정미 (영남대학교 원예학과) ,  문용선 (영남대학교 원예학과) ,  윤경영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서상곤 (영남대학교 원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불쾌한 맛과 향으로 인해 식품재료로서의 한계가 있는 천마를 식품재료로써의 이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천마를 발효한 후 일반성분, pH, 항산화 활성, 색도 및 분산성과 용해성 등을 일반 천마분말과 측정 비교 하였다. 또한 일반 및 발효천마분말에 오렌지주스 및 요구르트를 첨가하여 혼합음료를 제조하고 이에 대한 기호도를 조사하였다. 발효천마의 일반 성분분석 결과 탄수화물의 함량은 발효에 의해 감소하였으나, 조지방, 조회분, 조단백, 조섬유에서 일반천마보다 더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pH는 발효천마분말이 일반천마분말보다 알칼리성을 나타내었으며, 발효천마분말은 비타민C 또는 일반천마분말과 유사한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입자가 클수록 분산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용해성은 60-70mesh의 분말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60-70mesh 입자크기에서 용해성과 분산성이 가장 우수했다. 명도는 일반천마분말이 더 밝은 빛을 띠어 색 선호도에서 높은 평가를 얻었다. 천마의 관능검사 결과 발효천마분말과 혼합음료가 맛, 향, 조직감, 기호도에서 일반 천마분말보다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다. 그 중 발효천마분말과 요구르트 혼합음료의 맛이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따라서 천마가 발효 되면서 천마특유의 불쾌한 맛이나 냄새가 적어져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좋은 결과를 나타냈으며, 성분, 항산화 효과도 천마분말보다 발효천마분말이 우의를 나타내 일반천마분말에 비해 발효천마분말이 식품재료로서의 이용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reduce unpleasant taste and flavor of $Gastrodia$ $elata$ Blume as well as to improve utilization as functional food materials using fermentation. The component, antioxidant activity, and taste test were compared between fresh and fermented $G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불쾌한 맛과 향으로 인해 식품재료로서의 한계가 있는 천마를 식품재료로써의 이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천마를 발효한 후 일반성분, pH, 항산화 활성, 색도 및 분산성과 용해성 등을 일반 천마분말과 측정・비교 하였다. 또한 일반 및 발효천마분말에 오렌지주스 및 요구르트를 첨가하여 혼합음료를 제조하고 이에 대한 기호도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발효천마분말은 어떻게 만들었는가? 발효천마분말은 천마를 깨끗이 세척한 후, 이물질을 분리한 다음 5mm 정도의 두께로 잘라서 바람이 잘 통하는 실온의 그늘에서 10일간 충분히 건조한 뒤 일반 분쇄기를 이용하여 60-70mesh 정도의 입자로 만들었다. 여기에 정미소에서 구입하여 121℃에서 15분 급속 살균시켜 건조한 쌀겨를 천마분말과 1:1의 양으로 혼합하고 진균을 접종한 후 29℃에서 1주일간 발효시켰다.
발효천마는 일반천마에 비하여 어떤 성분이 높게 나타났는가? 발효천마의 일반 성분분석 결과 탄수화물의 함량은 발효에 의해 감소하였으나, 조지방, 조회분, 조단백, 조섬유에서 일반천마보다 더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pH는 발효천마분말이 일반천마분말보다 알칼리성을 나타내었으며, 발효천마분말은 비타민C 또는 일반천마분말과 유사한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발효천마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어떤 특성을 나타내는가? pH는 발효천마분말이 일반천마분말보다 알칼리성을 나타내었으며, 발효천마분말은 비타민C 또는 일반천마분말과 유사한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입자가 클수록 분산성이 높게 나타났으며,용해성은 60-70mesh의 분말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60-70mesh 입자크기에서 용해성과 분산성이 가장우수했다. 명도는 일반천마분말이 더 밝은 빛을 띠어 색 선호도에서 높은 평가를 얻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990. 15th.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2. Blois, M.L.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1199-1224. 

  3. Cho, H.E., Y.H. Choi, S.H. Park, Y.S. Park, and B.Y. Ahn. 2008. Effect of Gastrodia rhizome power on serum and liver lipid levels of rats with high fat diet. Kor. J. Food. Nutr. 21:64-70. 

  4. Choi, D.G.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 as Beverage of Gastrodia elata Blume. Master's Degree Thesis. Sangju Univ. 

  5. Chung, H.S. and G.E. Ji. 1996. Composition and functionality of Chonma. Korean J. Food Sci. Technol. 28:53-57. 

  6. Feng, X.Z., Y.W. Chen, and J.S. Yang. 1979. Studies on constituents of Tian-Ma. Gastrodia elata Bl. Acta Chimica Sinica 37:183-188. 

  7. Heo, J.C., J.Y. Park, S.M. An, J.M. Lee, C.Y. Yun, H.M. Shin, T.K. Kwon, and S.H. Lee. 2006. Anti-oxidant and anti-tumor activities of crude extracts by Gastrodia elata Blume. Kor. J. Food Preserv. 13:83-87. 

  8. Hong, S.P., H.S. Jeong, E.J. Jeong, and D.H. Sin.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beverage with Gastrodia elata Blume extract. Kor. J. Food Hyg. Safety 21:31-35. 

  9. Hu, W. and M.H. Wang. 2009. Antioxidant activity of Aralia elata seeds fractions. Hort. Environ. Biotechnol. 50:253-257. 

  10. Hwang, J.B., M.O. Yang, and H.G. Sin. 1997. Survey for approximate composition and mineral content of medicinal herbs. Kor. J. Food Sci. Technol. 29:671-679. 

  11. Kang, C.S.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s with addition of Gastodiae rhizoma power. Kor. J. Culinary Res. 13:211-219. 

  12. Kim, E.J., G.E. Ji, and Y.H. Kang. 1994. Effects of Gastrodia Rhizoma extracts on Global coronary circulation in rats. Kor. J. Food Sci. Technol. 26:213-321. 

  13. Kim, H.J., I.S. Kwak, B.S. Lee, H.C. Lee, E.M. Lee, J.Y. Lim, Y.S. Yun, and B.W. Chung. 2004. Methods of pretreatment for decrease of discomfortable odor of Gastrodia elata Blume. J. Engineer. Res. 35:135-140. 

  14. Kim, H.J. and Lee, J.H. 2009.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alicornia herbacea power as influenced by drying methods. Food Eng. Progr. 13:105-109. 

  15. Kim, H.J., U.W. Kang, and G.D. Mun. 2001.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Gastrodia elata Blume powder. Kor. J. Food Sci. Technol. 33:437-443. 

  16. Kim, J.K. W.S. Cha, J.H. Park, S.L. Oh, S.H. Cheon, and S.K. Chung. 1997. Studies on the mineral compon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Gastrodia elata Blum. Kor. J. Food Preserv. 4: 317-321. 

  17. Lee, B.Y., H.S. Choi, and J.B. Hwang. 2002a. Analysis of food components of Gastrodiae Rhizoma and changes in several characteristics at the various drying conditions. Kor. J. Food Sci. Technol. 34:37-42. 

  18. Lee, B.Y. and H.G. Kim. 1998. Quality properties of Korean yam by various drying methods. Kor. J. Food Sci. Technol. 30:877-882. 

  19. Lee, B.Y., Y.M. Yang, and C.K. Han. 2002b. Analysis of aroma pattern of Gastrodiae Rhizoma by the drying conditions. Kor. J. Food Sci. Technol. 34:13-17. 

  20. Lee, J.M., I.H. Kim. and S.H. Kim. 2003. Optimal steaming condition of Gastrodia elata Blume (chunma)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Kor. Soc. Appl. Biol. Chem. 46: 107-112. 

  21. Lee, J.W. and Y.G. Kim. 1997. Volatile flavor constituents in the rhizoma of Gastrodia elata. J. Kor. Soc. Appl. Biol. chem. 40:455-458. 

  22. Li, N., K.J. Wang, J.J. Chen, and J. Zhou. 2007. Phenolic compounds from the rhizomes of Gastrodia elata. J Asian Natural Products Res. 9:373-377. 

  23. Lin, J.H. Y.C. Liu, J.P. Hau, and K.C. Wen. 1996. Parishins B and C from rhizomes of Gastrodia elata. Phytochem. 42: 549-551. 

  24. Liu, J. and A. Mori. 1992. Antioxidant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Gastrodia elata Bl. and Uncaria rhynchophylla (Miq.) Jacks. Neuropharmalcol. 31:1287-1298. 

  25. O, J. 1986. Sinnong herbs. Inmin Hygiene Publishing Co. p.200- 201. 

  26. Taguchi, H., I. Yosioka, K. Yamasaki, and I.L. Kim. 1996.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G. elata Blume. Chem. Pharm. Bull. 29:55-62. 

  27. Yoo, J.Y., H.K. Kim, and W.J. Kim. 1998. Physical,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changes of traditional meju during fermentation in Gangwondo area. Kor. J. Food Sci. Technol. 30:908-915. 

  28. Zhou, J., X. Pu, Y. Yang, and Y. Tsungren. 1983. The chemistry of G. elata Blume. Acta Botanica Yunnanica. 5:443-44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