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천마와 발효천마 추출물의 항노화 활성과 신경성장인자 유도 효과 비교
Comparison of Nerve Growth Factor Induction and Anti-aging Activity Using Dried Gastrodia and Fermented Gastrodia Extracts 원문보기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31 no.3, 2013년, pp.380 - 387  

최재홍 (영남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  김정환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  정재윤 (영남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  서상곤 (영남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천마와 발효천마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노화 활성과 신경성장인자 유도효과를 비교하였다.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여 측정한 결과 모든 추출물에서 비교적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내었으며, 발효하지 않은 건천마 추출물보다 발효과정을 거친 발효천마 추출물에서 다소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ACE)와 xanthine oxidase(XO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DW 추출에서 DPPH가 건천마 $64.14{\pm}0.89%$, 발효천마 $66.21{\pm}1.03%$으로 나타났고, ABTS가 건천마 $54.15{\pm}1.37%$, 발효천마 $60.24{\pm}2.25%$로 나타났다. 70% EtOH추출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보여 발효천마 추출물이 ACE에 대해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나, XOase에 대하여 발효 및 건천마 추출물의 차이는 크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nerve growth factor (NGF) 활성 측정 결과 모든 추출물에서 40%의 신경돌기 성장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건천마와 발효천마의 추출물을 상대로 천마의 항노화 활성과 신경성장인자 유도효과에 대한 기능성을 탐색한 결과 발효천마가 건천마보다 우수한 생리기능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어, 발효과정을 통하면 천마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increasing biological activities of both nerve growth factor induction and anti-aging activity of gastrodia (Gastrodia elata) with fermentation process. Antioxidant activities, taken in the fermenting, were investigated to verify utility value of gastrodia f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1). 이 연구에서는 발효한 천마의 항산화력과 NGF 활성 등을 탐색하여 발효천마의 장점을 알리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천마의 이명은? 한약재인 천마(天麻)는 난초과(Orchidavege)에 속한 다년생의 초본성 기생식물인 천마(Gastrodia elata Blume) 및 동속 근연식물의 근경을 건조한 것으로 예로부터 간질 치료제 등으로 사용하여 왔다.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는 상품 (上品)의 생약으로 분류되고 있고, 그 명칭은 적근(赤根), 귀독우(鬼督郵), 난모(難母), 신초(神草), 정풍초(定風草) 등으로 불리우기도 한다. 엽록소가 없어서 탄소동화 작용을 이용한 영양 물질의 광합성이 불가능하고, 뿌리가 없는 관계로 뽕나무버섯(Armillaria mellea)과 편리공생을 하여 영양을 공급받아 생장한다(Choi, 2003).
천마의 생장 특징은 무엇인가?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는 상품 (上品)의 생약으로 분류되고 있고, 그 명칭은 적근(赤根), 귀독우(鬼督郵), 난모(難母), 신초(神草), 정풍초(定風草) 등으로 불리우기도 한다. 엽록소가 없어서 탄소동화 작용을 이용한 영양 물질의 광합성이 불가능하고, 뿌리가 없는 관계로 뽕나무버섯(Armillaria mellea)과 편리공생을 하여 영양을 공급받아 생장한다(Choi, 2003). 현재까지 천마에 대한 연구결과로는 고지방 식이와 병행 섭취한 천마 분말이 쥐의 혈정 및 간 조직 지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Choi, 2008)와 천마 분획물이 고지방 식이를 급여한 쥐의 혈청 지질농도에 미치는 영향(Hong et al.
천마란? 한약재인 천마(天麻)는 난초과(Orchidavege)에 속한 다년생의 초본성 기생식물인 천마(Gastrodia elata Blume) 및 동속 근연식물의 근경을 건조한 것으로 예로부터 간질 치료제 등으로 사용하여 왔다.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는 상품 (上品)의 생약으로 분류되고 있고, 그 명칭은 적근(赤根), 귀독우(鬼督郵), 난모(難母), 신초(神草), 정풍초(定風草) 등으로 불리우기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ndarwulan, N. and K. Shetty. 1999. Phenolic content in differentiated tissue cultures of untransformed and Agrobacterium-transformed roots of anise (Pimpinella anisum L.). J. Agric. Food Chem. 47:1776-1780. 

  2. Bae, N.H. and Y.M. Kim. 2010. Improvement of the functional qualities of sea tangle extracts through fermentation by Aspergillus oryzae. Korean J. Fish Aquat Sci. 13:12-17. 

  3.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1199-1200. 

  4. Buege, J.A. and S.D. Aust. 1978.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Method in Enzymol. 105:302-306. 

  5. Choi, D.G.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 as beverage of Gastrodia elata Blume. Master's Degree Thesis. Sangju Univ., Sangju, Korea. 

  6. Choi, J.H. 2008. The studies of fermentation of Gastrodia elata Blume powder. Master's Degree Thesis. Yeungnam Univ., Gyeongsan, Korea 

  7. Choi, S.R, C.S. Kim, and D.H. You. 2011. Changes of components and quality in Gastrodia rhizoma by different dry methods. Korea J. Medicinal Crop Sci. 19:354-361. 

  8. Cushman, D.W. and H.S. Cheung. 1971. Spectro-photometic assay and properties of the angiotensine-converting enzyme of rabbit lung. Biochem. Pharmacol. 20:1637-1648. 

  9. Eom S.H., B.J. Bae, and Y.M. Kim. 2010. Effect of yeast fermentation on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sea tangle water extract. Korean J. Fish Aqua. Sci. 43:117-124. 

  10. Ha, J.H., D.U. Lee, and K. Huh. 1997. Modulation of ligand binding to the GABA-benzodiazepine receptor complex by Gastrodia elata Bleme. J. Appl. Pharmacol. 5:325-330. 

  11. Hefti, F. 1986. Nerve growth factor promotes survival of septal cholinergic neurons after fimbrial transections. J. Neurosci. 6:2155-2162. 

  12. Heo, J.C., J.Y. Park, S.M. An, J.M. Lee, C.Y. Yun, H.M. Shin, T.K. Kwon, and S.H. Lee. 2006. Anti-oxidant and anti-tumor activities of crude extracts by Gastrodia elata Blume. Korean J. Food Preserv. 13:83-87. 

  13. Hong, H.S., Y.C. Kim, I.K. Keum, S.S. Kim, K.I. Kim, and C.K. Han. 2005. Effect of Gastrodia rhizoma fractions on serum lipid concentrations in rats fed with high fat diet.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370-374. 

  14. Huh, K., J.S. Kim, T.H. Kwon, J.A. Kim, C.S. Youg, J.H. Ha, and D.U. Lee. 1998. The mechanism of anticonvulsive effect of the Rhizoma of Gastrodia elata in pentylenetetrazole treated rats. Yakhak Hoeji 42:330-335. 

  15. Jeong, C.H., S.T. Kang, O.S. Joo, S.C. Lee, Y.H. Shin, K.H. Shim, S.H. Cho, S.G. Choi, and H.J. Heo. 2009. Phenolic content, antioxidant effect and acetylcholine esterase inhibitory activity of Korean commercial green, puer, oolong, and black teas. Korean J. Food Preserv. 16:230-237. 

  16. Jeun, Y.S. 2011. The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y from Caragana chamlagu extracts and application to functional foods and cosmetics. M.S. thesis. Kyungpook Univ., Sangju, Korea. 

  17. Kang, C.S. 2007.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s with addition of Gastrodia rhizoma powder. Korean J. Culinary Res. 13:211-219. 

  18. Kang S.T., Y.J. Kong, H.J. Kwon, B.K. Choi, J.G. Hong, and U.K. Park, 2002. A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in vitro biological activities of a hot water extracts of Gastrodia elata. Kor. J. Mycol. 30:136-141. 

  19. Kim, E.J., Y.E. Kim, and G.Y. Kim. 2007. The anti-obesity effects of treadmill exercise and Gastrodia elata on the obesity rats induced high-fat diet. Korean J. Exercise Nutr. 11:61-68. 

  20. Kim, H.C. and D.K. Ahn, 1999. Neuroprotective effect of Gastrodia rhizoma on global ischemia induced by 4-vessel occlusion in rats. Kor. J. Hernology 14:121-129. 

  21. Kim, H.J., S.K. Chung, and K.D. Moon. 2000. Chemical components of Gastrodia elata Blume powder.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7:278-284. 

  22. Kim, J.A., D.G. Jin, S.H. Park, J.H. Ha, Y.S. Lee, C.S. Youg, D.U. Lee, and K. Huh. 2001. General pharmacology of 4- hydroxybenzaldehyde, 4-hydroxy-3-methoxybenzyl alcohol and their synthetic derivatives from Gastrodia eleta Blume. J. Resource Dev. 20:32-37. 

  23. Kim, J.H. 2006. Biological activities of phenolic compound from herb and oriental medicinal resource. Master's Degree Thesis. Sangju Univ., Sangju, Korea. 

  24. Kim, M.J., J.Y. Kim, S.W. Choi, J.T. Hong, and K.S. Yoon. 2004. Anti-wrinkle effect of safflower (Cathamus tinctotius) seed extract. J. Soc. Cosmet. Sci. Korea 30:15-22. 

  25. Kim, M.R., J.H. Hwang, J.K. Yun, K.H. Han, E.J. Do, J.S. Lee, E.J. Lee, and J.B. Kim. 2011. Antioxidation and antiaging effect of mixed extract from Korean medicinal herbs. Kor. J. Herbology 26:111-117. 

  26. Kinsella, J.E., E. Frankel, B. German, and J. Kanner. 1993. Possible mechanism for the protective role of antioxidants in wine and plant foods. Food Technol. 478:85-92. 

  27. Levi-Montalcini, R. and B. Booker. 1960. Destruction of the sympathetic ganglia in mammals by an antiserum to a nervegrowth protein. Proc. Natl. Acad. Sci. USA 46:384-391. 

  28. Maness, L.M., A.J. Kastin, J.T. Weber, W.A. Banks, B.S. Beckman, and J.E. Zadina. 1994. The neurotrophins and their receptors: structure, function, and neuropathology. Neurosci. Biobehav. Rev. 18:143-59. 

  29. Martin, T.F. and R.N. Grishanin. 2003. PC12 cell as a model for studies of regulated secretion in neuronal and endocrine cells. Methods Cell Biol. 71:267-286. 

  30. Pellegrin, N., R. Roberta, Y. Min, and R.E. Catherine. 1998. Screening of dietary carotenoids and carotenoid-rich fruit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ies applying 2,2'-azinobis (3- ethylene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Method in Enzymol. 299:379-389. 

  31. Song, H.S., H.K. Kim, H.O. Min, J.D. Choi, and Y.M. Kim. 2011. Changes i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Hizikia fusiforme water extract by ferment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Kor. J. Fish Aqua. Sci. 44:104-110. 

  32. Stirpe, F. and E.D. Corte. 1969. The regulation of rat liver xanthine oxidase. J. Biol. Chem. 244:3855-386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