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포도껍질의 제거 또는 첨가를 통한 국내산 포도주의 품질개선
Quality Improvement of Wines Made from Domestic Grapes by the Elimination or Addition of Grape Skin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1 no.5 = no.207, 2009년, pp.528 - 535  

육철 (영동대학교 와인발효식품학과) ,  장은미 (영동대학교 와인발효식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산 적포도인 Campbell, MBA, Sheridan 세 품종의 포도를 각각 4가지 방식으로 나누어 처리를 하여 발효를 하였다. 첫 번째 시료는 포도를 제경하고 파쇄한 후 상법의 방법으로 발효시킨 적포도주(conventional), 두 번째는 포도껍질을 제거해서 발효시킨 포도주(skin removed), 세 번째는 상법의 적포도주 제조방식에 제거된 껍질을 추가로 첨가하여 발효시킨 포도주(skin added), 네 번째는 포도를 착즙하여 수율이 50% 되도록 착즙한 포도즙을 발효시킨 포도주(juice) 등 4가지 방식으로 포도주를 제조하였다. 발효과정 중 당도와 알코올 변화는 포도품종이나 처리방식에 따라 별 차이가 없었으나 색도에 있어서는 MBA가 가장 짙었고 Campbell, Sheridan 순으로 여려졌다. 처리 방법에 의해서는 포도의 품종에 관계없이 껍질을 제거하여 만든 포도주(skin removed)의 백색도(L값)가 가장 높았고 착즙액으로 제조한 포도주(juice), 상법에 의해 제조한 포도주(conventional), 껍질을 첨가하여 만든 포도주(skin added) 순으로 낮아졌고 폴리페놀 함량은 껍질을 제거해서 만든 포도주(skin removed)가 가장 낮았고 껍질을 첨가하여 만든 포도주(skin added)는 상법에 의해 제조한 포도주(conventional)에 비하여 30%이상 높게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dry-type(Campbell, MBA)에서는 껍질을 첨가해서 만든 포도주의 기호도가 상법에 의해 제조한 포도주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sweet-type(Sheridan)에서는 껍질을 제거해서 만든 포도주의 기호도가 크게 향상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ree domestic varieties of red grapes were utilized for the fermentation of wines, including Campbell, Muscat Bailey A (MBA), and Sheridan. The grapes were treated by four different methods before fermentation, which included conventional fermentation for red wine, fermentation with skin-removed g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국내 특히 충북 영동지역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는 적포도 품종인 Campbell, MBA, 및 Sheridan을 이용하여 각각의 포도 과피를 제거 또는 첨가하여 다양한 포도주의 생산을 시도하였고 포도주의 품질을 개선하고자 시도하였다. 즉 적포도인 Campbell, MBA, 및 Sheridan을 발효시작 전에 껍질을 제거하여 붉은색이 적은 rose 와인이나 나아가 백포도주로 만들고 이때 제거된 껍질을 적포도주 제조에 혼합하여 적색도와 폴리페놀 성분이 강화된 품질이 개선된 적포도주의 생산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특히 충북 영동지역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는 적포도 품종인 Campbell, MBA, 및 Sheridan을 이용하여 각각의 포도 과피를 제거 또는 첨가하여 다양한 포도주의 생산을 시도하였고 포도주의 품질을 개선하고자 시도하였다. 즉 적포도인 Campbell, MBA, 및 Sheridan을 발효시작 전에 껍질을 제거하여 붉은색이 적은 rose 와인이나 나아가 백포도주로 만들고 이때 제거된 껍질을 적포도주 제조에 혼합하여 적색도와 폴리페놀 성분이 강화된 품질이 개선된 적포도주의 생산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4년 외국으로부터 수입되는 포도주은 몇 톤인가? 외국으로부터 수입되는 포도주는 해마다 급증하여 2004년도에 15,898톤(5,798만불), 2005년도에는 18,987톤(6,766만불)에 이어 2006년도에는 물량 면에서 23,250톤, 금액적으로도 8,785만불로 1억불에 다가섰으며 향후 이러한 증가 추세는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1). 반면 우리나라 포도주 생산량은 2005년도 기준으로 1,776톤으로 같은 해 수입포도주 18,987톤에 비하여 10%도 못 미치고 있으며 국내산 포도주가 차지하는 비중은 점점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2005년 우리나라 포도주 생산량은? 외국으로부터 수입되는 포도주는 해마다 급증하여 2004년도에 15,898톤(5,798만불), 2005년도에는 18,987톤(6,766만불)에 이어 2006년도에는 물량 면에서 23,250톤, 금액적으로도 8,785만불로 1억불에 다가섰으며 향후 이러한 증가 추세는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1). 반면 우리나라 포도주 생산량은 2005년도 기준으로 1,776톤으로 같은 해 수입포도주 18,987톤에 비하여 10%도 못 미치고 있으며 국내산 포도주가 차지하는 비중은 점점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급증하고 있는 국내 포도주의 시장 상황에서 국내산 포도주의 시장점유율이 점점 줄어드는 이유는 가격과 품질 면에서 국내산 포도주의 경쟁력이 낮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Campbell 포도 재배면적은? 급증하고 있는 국내 포도주의 시장 상황에서 국내산 포도주의 시장점유율이 점점 줄어드는 이유는 가격과 품질 면에서 국내산 포도주의 경쟁력이 낮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포도 품종별 재배면적은 Campbell이 17,017ha로 전체면적 22,909ha의 74.3%를 차지하고 있고 뒤를 이어 거봉 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Korea Customs Service. Trade statistics on import/export by commodity. Available from: http://www.customs.go.kr. Accessed Dec. 15, 2008. 

  2. Agricultural & Forestry Statistical Yearbook, 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ry, Seoul, Korea. p. 117 (2006) 

  3. Kim SK. The present state of grape cultivation in Korea. pp. 4-10. In: Yeongdong grape cluster symposium on development of Yeongdong grape industry. October 27, Youngdong University, Yeongdong, Korea. The Yeongdong grape cluster, Yeongdong, Korea (2005) 

  4. Kim JS, Kim SH, Han JS, Yoon BT, Yook C. Effects of sugar and yeast addition on red wine fermentation using 'Campbell Early'.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516-521 (1999) 

  5. Kim JS, Sim JY, Yook C. Development of red wine using domestic grapes, 'Campbell Early'. Part(1)-Characteristics of red wine fermentation using 'Campbell Early' and different sugar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319-326 (2001) 

  6. Yook C, Seo MH, Kim DH, Kim JS. Quality improvement of 'Campbell Early' by mixing with different frui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390-399 (2007) 

  7. Park WM, Park HG, Rhee SJ, Lee CH, Yoon KE. Suitability of domestic grape, cultivar 'Campbell's Early', for production of red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590-596 (2002) 

  8. Lee JE, Won YD, Kim SS, Koh KH.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 wine with different grape variet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151-156 (2002) 

  9. Lee JE, Shin YS, Sim JK, Kim SS, Koh KH. Study on the color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164-169 (2002) 

  10. Lee JE, Hong HD, Choi HD, Shin YS, Won YD, Kim SS, Koh KH. A study o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841-848 (2003) 

  11. Chung JH, Mok C, Lim S, Park YS. Ultrafiltration for quality improvement of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386-392 (2003) 

  12. Bae SD, Bae SM, Kim JS.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ricegrape wine fermented with rice and grape.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616-623 (2004) 

  13. Bae IY, Lee KY, Shin MS, Lee HG. Development of red wine using Monascus anka.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744-748 (2004) 

  14. Park WM, Park HG, Rhee SJ, Kang KI, Lee CH, Yoon KE. Properties of wine from domestic grape, Vitis labrusca cultivar. 'Campbell Early', fermented by carbonic maceration vinification proces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773-778 (2004) 

  15. Lee JK, Kim JS. Study on the deacidification of wine made from 'Campbell Early'.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408-413 (2006) 

  16. Kang SG, Yang EJ, Jo GH, Park YK, Jung ST. Brewing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grape win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030-1036 (2008) 

  17. Park MH, Lee JO, Kim EJ, Kim JW, Lee HH, Kim HH, Lee SI, Kim YH, Ryu CH. Establishment of tannin enhancement conditions for development of high quality wild grape win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921-926 (2008) 

  18. Yook C, Seo MH, Lee JW, Kim YH, Lee KY. Quality properties of wines fermented with domestic new different grap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633-642 (2008) 

  19. National Tax Service Technical Service Institute. Alcoholic Beverage Analysis Rule. Sejung Pub. Co., Seoul, Korea. p.196 (1975) 

  20. Singleton VL, Rossi JA.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 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 J. Enol. Viticult. 16: 144-158 (196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