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귤과즙을 이용한 산형음료 발효 및 발효음료의 항균효과
Acidic Beverage Fermentation Using Citrus Juice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Fermented Beverag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8, 2008년, pp.1037 - 1043  

정지숙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성호 (경북과학대학 바이오식품과) ,  김미림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식품조리영양학부) ,  최경호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감귤과즙으로 새로운 산형음료 개발을 위해 tea fungus로부터 분리한 G. hansenii TF-2 균을 이용하였다. 과즙배지는 $11{\sim}17%(v/v)$의 과즙에 초기 당도를 $10^{\circ}Brix$로 하였다. G. hansenii TF-2에 의한 발효는 과즙배지에 활성화시킨 seed gel을 5%(w/v) 첨가하여 $29{\pm}1^{\circ}C$에서 15일 배양하면서 5일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발효 동안 발효액 표면에는 막을 생성하고 액에는 다양한 유기산을 생성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발효액은 7,0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 하여 사용하였다. $5{\sim}10$일 사이에 유기산 등의 기타 대사산물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발효가 진행되면서 malic acid, acetic acid, itric acid, succinic acid, fumaric acid 등의 다양한 유기산이 생성되었으며, 특히 발효 전반에 acetic acid가 관여하였다. 주요 산으로는 acetic acid이었다. 발효 15일째 측정에 의하면, acetic acid 함량은 $183.5{\sim}186.6\;ppm$이 검출되었다. 배양 동안 CB11의 유리당sucrose, glucose, fructose 그리고 sorbitol이 확인되었으며 각각 56.8%, 35.1%, 40.7%, 63.2%가 검출되었다. 음용 시 식품에 관련된 세균에 대해 CB11가 $71.9{\sim}94.0%$의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며 그람 양성균 보다는 그람 음성균에서 더 효과적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experiment, citrus juice was fermented by Gluconacetobacter hansenii TF-2, an isolate from tea fungus to develop a new type of acidic beverage. The juice broth is made by fermenting of $11{\sim}17%$ (v/v) juice and sweetened with sucrose (initial sucrose $10^{\circ}Brix$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기능성 산형음료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tea fungus에서 분리한 Gluconacetobacter hansenii TF-2로 감귤과즙을 발효시킨 후, 발효액의 유기산과 유리당의 종류 및 함량을 조사하였으며, 음용 시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식품에 관련된 세균을 사용하여 항균효과를 검토하였다.

가설 설정

  • 3)ND: Not detecte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밀감에는 어떠한 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리라 예상할 수 있는가? 본 실험에 사용한 시료 감귤(citrus)은 유기산 함량이 높고 vitamin C, 카로티노이드류(β-carotene) 및 식이성섬유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을 뿐 아니라 항산화 및 항노화성 플라보노이드 화합물(hesperidin, rutin, naringin 등)과 같은 기능성 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영양 및 기능성 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생과 또는 감귤주스(12,13), 감귤주(14,15), 감귤식초(16), 감귤청과음료와 젤리(12) 및 기타 빵(17) 및 어묵(18) 등에 이용되고 있다.
콤부차는 어떤 식품이며, 어떠한 효능을 지니고 있는가? 필리핀, 중국, 독일, 러시아 등의 나라에서 많이 애용되고 있는 전통음료 중 하나인 콤부차(kombucha)는 대표적인 산형발효에 속한다(1,2). 콤부차는 당을 첨가한 홍차 추출물을 발효한 전통 건강식품의 하나(3)로, 장수, 항암, 변비, 당뇨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민간에서 많이 음용하고 있다(4). Acetobacter를 위시한 다양한 세균과 효모 등의 공생배양으로 식초산(acetate) 외에도 다양한 유기산 생성으로 발포성의 사과주처럼 청량음료 맛이 나며(3-5), 배양액 표면에 curd 상의 겔(gel)을 형성하는 것을 tea fungus라 지칭하기도 한다.
콤부차는 어떤 나라에서 많이 애용되고 있는가? 필리핀, 중국, 독일, 러시아 등의 나라에서 많이 애용되고 있는 전통음료 중 하나인 콤부차(kombucha)는 대표적인 산형발효에 속한다(1,2). 콤부차는 당을 첨가한 홍차 추출물을 발효한 전통 건강식품의 하나(3)로, 장수, 항암, 변비, 당뇨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민간에서 많이 음용하고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artholomew A, Bartholomew M. 1998. Kombucha tea for your health and healing. Access Publishers Network, MI. p 13 

  2. Sievers M, Lanini C, Wever A, Schuler-Schmid U, Teuber M. 1995. Microbiology and fermentation balance in a kombucha beverage obtained from a tea fungus fermentation. System Appl Microbiol 18: 590-594 

  3. Dufresne C, Farnworth E. 2000. Tea, kombucha, and health.: A review. Food Res Int 33: 409-421 

  4. Reiss J. 1987. The tea fungus and its metabolic products. Dusch Lebensm Rdsch 83: 286-290 

  5. Reiss J. 1994. Influence of different sugars on the metabolism of the tea fungus. Z Lebensm Onters Forsch 198: 228-261 

  6. 통계청. 2007. 음료 품목별 생산.출하량 통계자료 

  7. Cho HS, Kim YO. 1999. The study on Korean youth's status of beverage consumption and preference of beverage in Chunnam area. Korean J Food & Nutr 12: 536-542 

  8. Han ES, Rho SN. 2004. An analysis of consumption and preferences of the Korean traditional drinks by women in different age group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4: 397-406 

  9. Lee SP, Kim CS. 2000. Characterization of kombucha beverage fermented with various teas and tea fungus. J Food Sci Nutr 5: 165-169 

  10. Greenwalt CJ, Steinkraus KH, Ledford RA. 2000. Kombucha, the fermented tea: microbiology, composition, and claimed health effects. J Food Prot 63: 976-981 

  11. Sreeraulu G, Zhu Y, Knol W. 2000. Kombucha fermentation and its antimicrobial activity. J Agric Food Chem 48: 2589-2594 

  12. Chung SK, Kim SH, Choi YH, Song EY, Kim SH. 2000. Status of citrus fruit production and view of utilization in Cheju. Food Industry and Nutrition 5: 42-52 

  13. Koh JS. 1995. Quality improvement of citrus juice by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R41-1995-000-00254-0 

  14. Koh JS, Koh NK, Kang SS. 1989. Citrus wine-making from mandarin orange produced in Cheju island. J Korean Agric Chem Soc 32: 416-423 

  15. Kang KH. 2004.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citrus wine and brandy using Jeju citrus. PhD Dissertation. Dong-A University 

  16. Kim ML, Choi KH. 2005. Sensory characteristics of citrus vinegar fermented by Gluconacetobacter hansenii CV1.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263-269 

  17. Kyun SK, Lee YK, Kim SD.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with citrus peel water homogenat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2: 397-406 

  18. Yang MO, Cho EJ. 2007. Quality properties of surimi with added citrus frui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 58-63 

  19. Park EJ. 2002. Isolation of pellicle producing bacterium in fermentation system by tea fungus and establishment of the optimum composition for gel production. M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20. AOAC. 198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3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p180 

  21. Lee HC, Zhao X. 1996. The optimal medium composition for the production of microbial cellulose by Acetobacter xylinum. Korean J Biotechnol Bioeng 11: 550-556 

  22. Lee OS, Jang SY, Jeong YJ. 2003. Effect of ethanol on the production of cellulose and acetic acid by Gluconacetobacter persimmonis KJ145.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81-184 

  23. Dragoljub C, Sinisa M, Mirjana D, Dragisa S, Aleksandra V. 2008. Specific interfacial area as a key variable in scaling-up kombucha fermentation. J Food Eng 85: 387-392 

  24. Jayabalan R, Marimuthu S, Swaminathan K. 2007. Changes in content of organic acid and tea polyphenols during kombucha tea fermentation. Food Chem 102: 392-398 

  25. Keshk S, Sameshima K. 2006. Influence of lignosulfonate on crystal structure and productivity of bacterial cellulose in a static culture. Enzyme Microb Technol 40: 4-8 

  26. Jeong JS. 2001. Acidic beverage fermentation by tea fungu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fermented beverage. graduate school. MS Thesis. Gatholic University of Daegu 

  27. Choi KH, Jeong JS, Moon CH, Kim ML. 2004. Effect of carbon source supplement on the gel production from citrus juice by Gluconacetobacter hansenii TL-2C.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70-175 

  28. 장희진. 1992. 식품가공과 조미기술. 세진사, 서울. p 69 

  29. Park CS. 2003. Functional properties of tea-fungus beverage. Korean J Food Preserv 10: 241-245 

  30. 김영만, 임무현. 1997. 최신 발효공학. 유림문화사, 서울. p325 

  31. Choi MA, Choi KH, Kim JO. 1996. Microflora occurring in the fermentation by tea fungus. Korean J Life Science 6: 56-65 

  32. Choi MA, Kim JO, Choi KH. 1996. Effects of saccharides and incubation temperature on pH and total acidity of fermented black tea with tea fungu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405-4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