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봉감을 이용한 다양한 가공제품 개발을 목적으로 김치 유산균을 활용하여 발효음료 제조기술을 확립하고, 감의 이용성을 확대하고자 실시하였다. 대봉감과 정제수의 1:3 희석액에 당원으로 쌀엿을 첨가하고, 저온살균한 후 L. buchneri BK-1 유산균으로 발효를 진행하였을 때 총산 생성능이 0.75%로 높고, 유산균 생균수가 $1.9{\times}10^8CFU/mL$ 수준으로 많았다. 쌀엿 첨가량이 많을수록 총산도는 증가하였는데, 신맛이 너무 강하지 않은 $10^{\circ}Brix$ 수준으로 쌀엿을 첨가하는 것이 기호도 향상에 좋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유산균 종류별 발효 결과, L. buchneri BK-1와 P. inopinatus BK-3 두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를 진행함으로써 총산 생성이 0.80~0.83%로 우수하고 유산균 수가 $2.7{\times}10^8{\sim}5.1{\times}10^8CFU/mL$ 수준으로 많은 음료를 제조할 수 있었다. L. buchneri BK-1 유산균을 이용하여 $30^{\circ}C$에서 발효 시 적정 발효기간은 음료의 신맛이 너무 강하지 않은 총산도 0.60% 미만인 약 4~5일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a fermented juice using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and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Lactobacillus buchneri BK-1, Pediococcus inopinatus BK-3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M-17. The total acidity value was 0.75% and viable cell number reach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전라북도농업기술원이 김치로부터 분리 동정한 Lactobacillus buchneri BK-1 등 3종의 유산균과 전북 완주지역의 특산물인 감을 이용하여 유산균이 함유되어 장 건강을 이롭게 하는 감 발효음료의 제조방법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대봉감을 이용한 다양한 가공제품 개발을 목적으로 김치 유산균을 활용하여 발효음료 제조기술을 확립하고, 감의 이용성을 확대하고자 실시하였다. 대봉감과 정제수의 1:3 희석액에 당원으로 쌀엿을 첨가하고, 저온살균한 후 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1년 발효음료의 시장규모는? 발효음료의 시장규모는 2011년 1조 6천억 원으로 전체 음료시장의 40.6%를 차지하며, 이 중 발효유 시장이 약 81.2%를 차지하고 있으나, 연평균 성장률은 8.
감의 주요 지방종은 무엇이 있는가? 한국·중국·일본이 원산지인 감나무(Diospyros kaki)는 감나무과 감나무속에 속하며, 전 세계적으로 약 190종이 분포 한다. 우리나라 감 재배는 고려 원종 시대 ‘농상집요’에 감에 대한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고려시대에 재배가 시작된 것으로 보이며, 지금은 강원도 내륙지방과 경기 북부 지역을 제외한 우리나라 전역에서 재배가 가능하며, 감의 주요 지방종은 청도시, 사곡시, 둥시, 단성시, 월하시, 고종시가 대표적인 품종이다.
저온살균 후 L. buchneri BK-1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감 발효 음료 발효균주의 적정 당원으로 쌀 엿 첨가량을 변화시킬 경우 총산도가 어떻게 변하였는가? 01로 다른 처리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낮았다. 총산도는 5 °Brix 처리군에서 0.45%로 가장 낮았고, 보당 당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여 15 °Brix 처리군에서 0.81%로 가장 높았는데, 이는 당 함량이 높아질수록 유산균의 발효 효율이 높아져 유산 생성이 많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색도는 쌀엿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명도값과 적색도값은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황색도 값은 증가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nn HJ. 2012. Characteristic of exopolysaccharide 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and its application for development of rice yogurt. Master's thesis, Sejong Univ. Seoul, Korea 

  2. Ann YG, Pyun JY, Kim SK, Shin CS. 1999. Studies on persimmon wine. Korean J Food Nutr 12:455-461 

  3. Baek YJ. 1993. Lactic acid bacteria and human health. Korean J Food Nutr 6:53-65 

  4. Bang BH, Park HH. 2000. Preparation of yogurt added with green tea and mugwort tea and quality characteristic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854-859 

  5. Bong YJ, Jeong JK, Park, KY. 2013. Fermentation properties and increased health functionality of Kimchi by Kimchi lactic acid bacteria start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1717-1726 

  6. Choi HJ, Kim YW, Hwang IY. 2012. Evaluation of Leuconostoc citreum HO12 and Weissella koreensis HO20 isolated from Kimchi as a starter culture for whole wheat sourdough. Food Chem 134:2208-2216 

  7. Choi HJ, Lee HW, Yoon S. 2013. Fermentation of rice flour with Weissella koreensis HO20 and Weissella kimchi HO22 isolated from Kimchi and its use in the making of jeolpyeon. Korean J Food Cookery Sci 29:267-274 

  8. Choi HY. 2013.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 bean starch gel prepared with persimmon powder. Korean J Food & Nutr 26:638-645 

  9. Choi IK, Jung SH, Kim BJ, Park SY, Kim J, Han HU. 2003. Novel Leuconostoc citreum starter culture system for the fermentation of Kimchi, a fermented cabbage product. Anton van Leeuw 84:247-253 

  10. Grunewald KK. 1982. Serum cholesterol levels in rats fed skim milk fermented by Lactobacillus acidophilus. J Food Sci 47:2078-2079 

  11. Im CY, Jeong ST, Choi HS, Choi JH, Yeo SH, Kang WW. 2012. Characteristics of Gammakgeolli added with processed forms of persimmon. Korean J Food Preserv 19:159-166 

  12. In MJ, Kim HM, Jin HJ, Kim DC, Oh NS, Chae HJ. 2010. Production of a fermented Korean pear puree using a new strain Leuconostoc mesenteroides KACC 91495P isolated from Kimchi. J Appl Biol Chem 53:51-55 

  13. Jaspers DA, Massey LK, Luedecke LO. 1984. Effect of consuming yogurts prepared with three culture strains on human serum lipoproteins. J Food Sci 49:1178-1181 

  14. Jeong CH, Kwak JH, Kim JH, Choi GN, Jeong HR, Kim DO, Heo HJ. 2010. Changes in nutritional components of Daebonggam (Diospyros kaki) during ripening. Korean J Food Preserv 17:526-532 

  15. Joo OS, Kang ST, Jeong CH, Lim JW, Park YG, Cho KM. 2011. Manufacturing of the enhances antioxidative wine using a ripe Daebong persimmon (Dispyros kaki L). J Appl Biol Chem 54:126-134 

  16. Jun HS, Choi YK, Won YS, Hun BH, Kim JW. 1999.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on infection of Salmonella typhimurium in mouse. Korean J Dairy Sci 21:171-182 

  17. Jung HK, Kim ER, Yae HS, Choi SJ, Jung JY, Juhn SL. 2000. Cholesterol-lowering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and fermented milks as probiotic functional foods. Food Ind Nutr 5:29-35 

  18. Kaizu H, Sasaki M, Nakajima H, Suzuki Y. 1993. Effect of antioxidative lactic acid bacteria on rats fed a diet deficient in vitamin E. J Dairy Sci 76:2493-2499 

  19. Kato I, Endo K, Yokokura T. 1994. Effects of oral administration of Lactobacillus casei on antitumor responses induced by tumor resection in mice. Int J Immunopharmacol 16:29-36 

  20. Kim HH, Han MJ. 1995. Inhibition of intestinal bacteria enzymes by lactic acid bacteria. Yakhak Hoeji 39:169-174 

  21. Kim HS, Ham JS. 2003. Antioxidative ability of lactic acid bacteria.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3:186-192 

  22. Lee HY, Lee Y, Park JH, Seok SH, Cho SA, Baek MW, Kim DJ, Park JH. 2003. Effect of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isolates in Korea in cutaneous hypersensitivity rats. Korean J Lab Ani Sci 19:117-119 

  23. Lee JJ, Lee YM, Kim AR, Chang HC, Lee MY. 2008. Effect of Leuconostoc kimchi GJ2 isolated from Kimchi (fermented Korean cabbage) on lipid metabolism in high cholesterol-fed rats. Korean J Food Preserv 15:760-768 

  24. Lee JY, Kim CJ, Kunz B. 2006.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and studies on their suitability for application as starter culture in the production of fermented sausages. Meat Sci 72:437-445 

  25. Lee KE, Choi UH, Ji, GE. 1996. Effect of Kimchi intake on the composition of human large intestinal bacteria. Korean J Food Sci Technol 28:981-986 

  26. Lee SH, No MJ. 1997. Viability in artificial gastric and bile juice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some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5:617-622 

  27. Lee SW, Lee OS, Jang SY, Jeong YJ, Kwon JH. 2006. Monitoring of alcohol fermentation condition for 'Chenogdobansi' astringent persimmon (Diospyros kaki T.). Korean J Food Preserv 13:490-494 

  28. Lee WK. 2010. Functional soy yogurt production by Kimchi lactic acid bacteria. Master's thesis, Mokpo National Univ. Mokpo, Korea 

  29. Park KY, Kim BK. 2012. Lactic acid bacteria in vegetable fermentations. In Lactic Acid Bacteria: Microbiological and Functional Aspects. Lathinen S, Ouwehand A, Salminen S, Wright A, eds. CRC Press, Boca Raton, FL, USA. pp.195-202 

  30. Perdigon G, Nader de Macias ME, Alvarez S. 1990. Prevention of gastrointestinal infection using immunobiological methods with milk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casei and Lactobacillus acidophilus. J Dairy Res 57:255-264 

  31. Rao DR, Chawan CB, Pulusani SR. 1981. Influence of milk and thermophilus milk on plasma cholesterol levels and hepatic cholesterogenesis in rats. J Food Sci 46:1339-1341 

  32. Rhee YH, Kang MS. 1996.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beta$ -galactosidase activity of Lactobacillus plantarum from Kimchi. Agric Chem Biotechnol 39:54-59 

  33. Rhim KH, Kim JG, Han JH. 1993. Effects of fermented milk on rats fed by hypercholesterolemic diet. Korean J Environ Hlth Soc 19:77-89 

  34. Roh HJ, Kim GE. 2009. Fermentation of Cucurbita maxima extracts with microganisms from Kimchi. KSBB Journal 24:149-155 

  35. Shida K, Makino K, Morishita A, Takamizawa K, Hachimura S, Ametani A, Sato T, Kumagai Y, Habu S, Kaminogawa S. 1998. Lactobacillus casei inhibits antigen-induced IgE secretion through regulation of cytokine production in murine splenocyte cultures. Int Arch Allergy Immunol 115:278-287 

  36. Shin DS, Park HY, Kim MH, Han GJ.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with persimmon peel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7:589-597 

  37. Um IY, Kim SY, Jeon HJ. 2012. Industry trend of fermented drinks. FACT pp.16 

  38. Yang M, Kwak JS, Jang SR, Jia Y, Park IS. 2013.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soybean yogurt by mixed culture of Bacillus sp. and lactic acid bacteria. Korean J Food & Nutr 26:273-27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