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울증 성향을 보인 중년여성에 대한 모래놀이치료 사례연구
The case study of sand play therapy for a middle-aged woman with depression 원문보기

한국생활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17 no.3, 2008년, pp.439 - 455  

문채련 (충북 모래놀이치료.가족치료 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sand play therapeutic effect for a middle-aged woman who shows the depression because of her husband's debauchery. The client showed psychological conflict, also her children appeared the schoolwork problem and regression. For the pre-test, HTP, KED, SCT and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래상자를 통해서 남편을 이해하고 수용해 가는 과정을 20회기에 걸쳐 살펴보았는데 이것을 분류한 결과는 어떠한가? 모래놀이 과정을 살펴보면 1회기부터 4회기까지 혼돈의 단계로 상담초기 내담자는 연구자와의 관계형성을 나타내는데 때로 혼돈스러울 수도 있고 복잡한 감정들이 아무 위험 없이 표현되어 질 수 있는 관계와 장소라는 점에서 무의식의 세계를 들어내지 않으려 한다. Kalff는 ‘자유롭고 보호된 공간’(김보애, 2005)이라고 표현 했던 곳이 모래상자로 그 안에서는 무의식의 내용들이 구체적인 형태를 띠고 나타나게 된다고 하였다. 이는 모래놀이치료 공간에서 연구자와의 관계형성이 상담초기에 매우 중요하다고 말하는 의미와 맥을 같이한다. 둘째, 투쟁의 단계로 5회기부터 9회기까지로 분류하였다. 5회기에서 머리 둘 달린 용을 기사를 앞세워 투쟁을 전개한다. 6회기에서 1회기에 집 앞에 놓았던 6개의 돌에서 예시 되었던 문제의 원형이 등장한다. 초기 면접에서 ‘가장 잘못된 선택이 남편과 결혼한 것’이라고 말했던 것과 KFD 검사에서 남편의 존재를 동그라미로 그렸던 부분을 펼쳐 보였다. 커다란 시계를 놓으면서 말할 때가 됐음을 알렸으며, 똥을 놓으면서 갈등부분인 남편의 외도를 표출 시킬 것인가에 대하여 스스로의 투쟁을 통해 마음의 무거운 그림자 일부를 벗어 놓는 작업을 하였다. 이것은 내면의 상처들을 스스로 치유해 보려는 시도이다. Ammann(1991)은 ‘모래놀이는 타인의 작용에 의해서 치유하는 것이 아니라 내담자 자신의 행동에 의해서 치유 된다’(김보애, 2007, 재인용)는 이론을 지지 하고 있다. 내담자는 모래상자에서 자신의 그림자를 투사하고, 단단했던 얼음을 녹이려 하고, 병, 화산 등 연금술에서 말하는 ‘용해(solution)'되는 과정으로 변화를 보이기 위한 새로운 도전을 시도하고 있다. 셋째, 자아와 자기축의 단계로 10회기부터 17회기까지로 분류하였다. 10회기, 상자 중앙을 둥글게 판 후 악기든 소녀 넷을 그 주위에 놓고, 펌프를 물 가운데 놓고는 물을 뿜어 올린다. 펌프를 놓으므로 내담자 마음속 깊은 곳의 진실을 끌어 올리려 하고 있다. 11회기, 사냥을 마치고 음식을 끓이면서 마을의 평화와 안전을 위한 의식을 하는 장면, 원숭이와 새들도 의식에 동참하고 있다. 보이지 않는 힘을 빌어 도움을 받고자 하는 소망을 유니콘으로 상징화 하는 것이 아닌가 보여 진다. 내담자 자신 만이 아니라 여러 사람(가족)의 바람을 기원하고 있다. 12회기, 가족이 한가롭게 지내는 모습이 아름답다. 남편과의 관계가 아직은 다 풀리지 않았지만 내담자는 소망하고 있다. 이 단계에서는 불로 음식을 끊이고 배소하면서 긴장감을 풀어주고 창조적인 에너지를 발산하였다. 1회기에서 혼자 있었던 내담자는 남편과 가족 모두를 등장 시켜 남편과 아이들이 한가로이 바닷가에서 쉬고 있었다. 내담자의 바램을 일반가정의 평범한 휴가 장면으로 표현한 것은 긍정적으로 보여 졌고, 13회기, 산위에서 독수리가 비상하면서 스스로의 문제에 대한 견해나 통찰력을 갖게 된 것은 연금술의 승화과정으로 볼 수 있겠다. 이 과정 거치면서 내담자는 문제의 원형을 투영함으로 객관화 시키거나 그 상황을 더 분명하게 볼 수 있게 됐다. 축제를 벌이면서 태양, 별, 촛불, 돌아온 신발 등으로 통합의 과정으로 가는 판타스틱 한 상자를 연출 하였다. 작은 숲 속, 작은 동물들, 남편에 대한 내담자의 애정이 살아 있는 장면처럼 보이고, 엄마, 아빠가 사랑하기를 숨 죽여 기다리면서 빙하 (7회기)에서 떨어져 있었던 물개 두 마리가 조심스레 모래로 기어오르고 있다. 마음에서 배우자를 용서하려고 하고 있다는 신호를 보내고 있는 듯하다. 독수리로 상징된 모성애가 아이들과 배우자를 불러들이고 있다. 14회기, 시계탑위에 태양을 꽂아 상자 상단 중앙에 놓는다. 시계는 때를 알리는 의미로 해석 해 본다면 남편과의 화해를 뜻하는 것이 아닌가? “우리 집 분위기가 좋아졌어요!"라고 하더니 제목을 '축제'라고 한다. 이 상자에서 모래에 똥을 놓으면서 내면의 묶은 감정들을 배설 하였고, 촛불을 놓음으로 마음이 정화되었음을 나타내었다. 분홍 신을 우측하단에 놓아 잃어버린 자아를 찾았다는 표현으로, 남편을 모래상자 안으로 데리고 왔다. 통합되고 판타스틱'한 장면을 연출하였다. 15회기, 물방울을 상단에 펼쳐놓고 어릴 때 빨래터에서 빨래하는 모습을 지켜보고 서 있던 기억을 재현하였다. 우물 밑 아주 작은 인형을 놓고 내담자라고 한 것은 무의식의 Self가 살아나고 있음을 의미한다. 16회기, 소외당하여 항상 화가 나 있었던 어린 시절, 분노를 억제하였던 어린 시절을 아주 작은 인형으로 표현 하였다. 모래상자에 잃어버렸던 감정들을 정리하면서 치유의 과정으로 균형감과 안정감을 얻게 될 것이다, 17회기, 물가 언덕에 쪼그리고 앉은 외로운 천사를 돕기 위해 가족들이 달려간다. 둘째 딸 출산 후 의식이 없었을 때 가족의 진정한 사랑과 가족의 큰 힘이 나를 지켜주고 있음을 깨달았고, 그러한 상황에서 골프 치는 남편을 직업의 특성 때문에 접대용 골프였다고 이해하고 남편도 진정 빠른 회복을 빌고 있었던 것을 이제야 깨달은 상자이다. 이 단계에서 내담자는 스스로 자아분석을 통해 가족으로부터 자기를 분리하게 되었고 배우자를 조금은 이해하게 되었다. 아이들인 경우 이 단계를 보다 이르게 표출할 수 있는데 의식이 있는 성인 경우 거의 마무리 단계에서 퇴행이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겠다. 내담자는 어린 시절 어머니와의 관계에서 상처 받고 소외당했던 장면들을 모래에 놓았다. Edinger는 자아는 자기에 파묻혀 있다가, 점차로 삶을 살아가면서 빠져나가, 드디어 완전하게 분화된다고 하였다. 그는 어린 시절에 정신세계가 손상 받게 되면, 자아와 자기의 축은 망가지게 된다고 가정하였다. 그러므로 자아와 자기를 재결합 시키는 방향으로 치료적 과제를 진행 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인간은 어릴 때 어머니와의 분리 경험으로 인해 상처받게 되며, 이런 상처에서 회복되어야만 전체성을 성취할 수 있다고 믿었다(이정숙, 고인숙, 2002). Jung은 연금술에서 Self의 출현을 위해서는 오래된 행동 패턴들이 없어지는 경험을 통해 변환과 전환을 거치면서 개성화과정이 완전한 모습으로 되어가는 과정과 동일한 과정으로 보았다. 다시 말해서 무의식속에 버려져 있어 분화 될 기회를 잃었던 그림자가 의식되어 햇빛을 보는 순간 그 내용들은 곧 창조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Jung은 “자기의 그림자를 보고 자신에 관한 앎을 견딜 수 있을 때, 그는 비로소 과제의 한 작은 부분을 해결한 것이다. 즉, 최소한 개인적 무의식을 극복한 것이다(이부영, 2004).”라는 이론을 지지하고 있다. 넷째, 적응의 단계로 18회기, 19회기, 최종회기까지 분류하였다. 18회기, 진정 어머니임을 깨달아 통찰력을 갖게 되면서 연금술에서 말하는 승화를 하게 되었다. 내담자 스스로를 개성화하면서 자아가 통합을 이룬 것으로 해석할 수 있겠다. 19회기, 정년퇴직 후 아름다운 노후의 모습을 연출 하였다. 모래놀이치료사가 되어서 남편의 지지를 받는 그림은 첫 회기에서 혼자 쓸쓸히 의자에 앉아 있든 모습과는 대조되는 장면이었다. 아이들도 자기역할을 다하고 있는 모습을 그렸다. 이 단계에서 내담자는 성숙된 모습으로 건강하게 가족을 사랑할 준비를 하는 강한 의지를 보였다. 최종회에서 내담자는 제목을 ‘멘토’라고 하면서 연구자를 지칭한다. 펌푸로 물을 품어주어 내담자 가정이 안정을 찾을 수 있었고, 사과나무처럼 좋은 결실을 맺게 되어 고마움을 상자로 표현하고 싶었다고 하였다. 여기서 모래놀이를 종결하였다. 결론적으로 배우자의 외도로 정서적 혼란을 가져오면서 경제적, 육체적ㆍ정신적으로 에어지가 소진되면서 분노와 수치심으로 자아에 큰 상처를 입고 우울증을 앓게 된 중년여성은 모래놀이를 하는 과정을 통해 치유되어가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이부영(1999)은 ‘불륜’을 저지른 사람에 대한 솟구치는 분노는 실은 피해자 자신의 어두운 그림자가 그 사람에게 투사된 것이다.
부부관계를 파괴하는 것 중 가장 흔한 원인은 무엇인가? 부부의 갈등상황에 노출된 자녀는 스트레스로 인해 위축, 공격성이 형성되고, 많은 긴장이 유발되며, 이러한 스트레스는 학교생활에 집중할 수 있는 능력과 학교에서의 성취동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정미경, 2003, 재인용). 부부관계를 파괴하는 것 중 가장 흔한 원인은 배우자의 외도이다. 배우자의 외도는 배우자를 정서적으로 갈등을 겪게 하는 원인이 된다.
결혼생활에서의 부부관계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결혼생활에서의 부부관계는 가족생활 전체의 핵심인 동시에 다음세대를 양육하는데 가장 중요한 가족체계이므로 부부간의 불화나 갈등은 부부 자신들의 삶뿐만 아니라 자녀들의 삶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은 물론 가족해체로까지 이어질 수도 있다(황종귀, 2006). 그러나 불만족한 결혼이라고 해서 반드시 이혼으로 끝나는 것은 아니며 결혼생활에 만족한다고 하더라도 결혼이 항상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은 아니지만, 결혼생활에 만족할 경우 결혼 안정성에 보다 긍정적 영향을 받는다(Lewis & Spanier, 197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김경희, 이희자(2005). 모래상자 놀이치료. 경기도: 양서원 

  2. 김동규(1994). Freud의 Libido의 발달과정과 성격형성론. 서울: 교육과학사. 

  3. 김동인, 이진욱, 김임, 이선미, 은헌정(1997). 중년기 우울증 여성의 생활사건, 대처방식, 사회적 지지 및 가족관 계. 대한신경정신의학회지, 36(4), 620-629. 

  4. 김보애(2006). 모래놀이치료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5. 김보애(2006). 분석심리와 모래놀이치료. 서울: 가톨릭 출판 사. 

  6. 김보애(2007). 만남의 신비. 서울: 가톨릭출판사. 

  7. 김중술(2003). 다면적 인성검사.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8. 박금자, 이혜경(2002). 중년여성의 우울 구조모형. 여성간호 학회지, 8(1), 69-84. 

  9. 박영금(2006). 우울성향이 있는 중년여성의 모래놀이치료사 례(중년여성의 개성화 과정). 모래놀이치료연구집, 2, 57-87 

  10. 이동원, 이근후, 박영숙(1998). 도시가족의 부부역할 갈등과 가족의 안정성에 관한 연구. 가족과 문화, 10(1), 1-33. 

  11. 이무석(1999). 혼외정사: 정신분석적, 그리고 진화론적 관점. 신경정신학회, 38(2), 241-249. 

  12. 이부영(1999). 그림자. 서울: 한길사. 

  13. 이부영(2004). 분석심리학. 서울: 일조각. 

  14. 이은주(1996). 우울과 자기지향이 자기지각, 사회적지지 및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이정숙, 고인숙(2002). 모래놀이치료. 서울: 하나의학사. 

  16. 장현숙(2006).우울증 중년 여성의 사례. 모래놀이치료연구집, 2, 163-187. 

  17. 정미경(2003). 어머니의 아동기 양육경험, 우울, 부부갈등 및 양육행동과 학령기 아동.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한인영(1996). 혼외정사 부부의 재결합사례 연구. 한국 정신보건 사회사업학회지, 3, 81-98. 

  19. 황종귀(2006). 결혼만족도와 안정성에 관련된 요인: 돈에 대 한 태도 유형별 모형 분석.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Beck, A. T.(1974). The development of depression: a cognitive model. In R. Friedman, & M. Katz (Eds.), The psychology of pression: Contemporary theory and research.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21. DSM-IV.(1994). Diagnostic and statistic manual-IV. New York: Ameican Psychriatric Association. 

  22. Lewis, R. A., & Spanier, G. B.(1979) Theorizing about the quality and stability of marriage. In W. R. Burr, R, Hill, F. I. Nye., & I. L., Reiss(Eds.), Contemporary theories about the family, 2(pp. 268-294). New York:Free Press.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