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서불안 아동과 주의력 결핍 아동의 모래놀이치료 과정에서 표현된 상처와 치유 주제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the Wounding-Healing Themes in Sandplay Therapy Process for Children with Emotional Instability and Attention Deficit Children 원문보기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fer, v.54 no.6, 2016년, pp.631 - 642  

김선숙 (우석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김기현 (우석대학교 아동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of the themes (wounding and healing); concerning the Sandplay therapy process applied to children with emotional instability and attention deficit problem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0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o agreed to a personal-interview with the author. They all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이상과 같은 연구의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영유아 시기부터 내재된 욕구좌절 등으로 내면에서의 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아동들이 모래놀이치료 과정에서 소품을 배치하고, 묻고, 변형 시키며 창의적인 장면을 만들고 행동화함으로써, 소통이 이루어져 아동의 부적응 문제 행동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저소득층이라는 특수성을 고려해 연구해 보았으나, 저소득층 후)모래놀이 치료">모래놀이치료 과정에 나타나는 표현에 대한 분석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 심리 상담 센터에 의뢰된 저소득층 아동들의 문제유형에서도 모래놀이치료의 과정에서 취약해진 자아가 성장되는 과정이 표현되는지, 성의 차이는 있는지에 의문을 제기하고 이를 객관적인 통계자료로 분석해 볼 필요성을 느껴 내용분석을 실행하고자 한다. 특히, 모래놀이 치료의 과정에서 표현된 상처와 치유 주제의 양상과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후)심리분석의">심리 분석의 대상으로 해석되어온 종래의 장난감과 달리 아동의 정서와 정신 상태를 표출할 수 있는 도구를 만들고자 한 것이다[8]. 이것은 모래상자 속에 개인의 내적 세계를 자유롭게 만들도록 하는 방법[26]으로 상자 안에서 자신의 생각을 소품을 이용해 배치하고 묻고 변형시키며, 창의적인 장면을 만들고 행동화함으로써 외적으로 표현하게 후)내용 분석을">내용분석을 실행하고자 한다. 특히, 모래놀이 치료의 과정에서 표현된 상처와 치유 주제의 양상과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만약, 기존의 선행연구처럼 저소득층 내담 아동의 자아도 상처는 줄고 치유가 높아지는 단계가 도출된다면, 모

    가설 설정

    • 정서불안">1. 정서불안 아동과 주의력 결핍 아동의 모래놀이치료에서 전기와 후기의 주제 표현에는 차이와 효과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동에 대한 관심이 커진 이유는? 현재 우리 사회는 정보화·세계화의 물결 속에서 급격한 변화와 맞벌이 부부의 증가, 저 출산, 핵가족화로 아동에 대한 관심이 커졌지만 부적응 문제를 가진 아동은 과거에 비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아동기에 가장 흔하고 쉽게 접할 수 있는 문제의 한 유형이 정서 문제로 최근 가정을 포함한 사회 환경의 변화와 불안으로 야기되는 문제행동을 보이는 아동들이 늘고 있다[19].
영·유아가 대인관계 능력을 키우기 힘든 이유는? 영·유아는 자신의 정서를 알고 적절히 반응해주기 위한 정서적 표현을 학습하여 자신이 처한 특정 상황에서 대인관계에 필요한 역할을 수행한다[1]. 그러나 TV, PC, 스마트폰의 보급이 대중화되어 아동들은 또래의 아이들과 놀이를 하거나 외부 활동을 하는 시간이 줄어들면서 비활동적인 생활로 인한 불안, 초조, 공격성, 통제 능력 미성숙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아동은 발달 특성상 자신의 정서적 경험을 충분히 표현할 만큼의 단계에 이르지 못하기 때문에 놀이를 통해 자신의 정서적 경험을 표현하며, 문제를 가지고 있는 아동만이 아니라 모든 아동들이 이러한 놀이 경험을 통해 도움을 받는다[26].
아동기에 가장 흔하고 쉽게 접할 수 있는 문제는? 현재 우리 사회는 정보화·세계화의 물결 속에서 급격한 변화와 맞벌이 부부의 증가, 저 출산, 핵가족화로 아동에 대한 관심이 커졌지만 부적응 문제를 가진 아동은 과거에 비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아동기에 가장 흔하고 쉽게 접할 수 있는 문제의 한 유형이 정서 문제로 최근 가정을 포함한 사회 환경의 변화와 불안으로 야기되는 문제행동을 보이는 아동들이 늘고 있다[19]. 영·유아는 자신의 정서를 알고 적절히 반응해주기 위한 정서적 표현을 학습하여 자신이 처한 특정 상황에서 대인관계에 필요한 역할을 수행한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hn, Y. I. (2010). The effect of sandtray play on the improve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ability of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okpo National University, Mokpo, Korea. 

  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3. Ban, P. J., & Woo, J. Y. (2013). An analysis of changes and themes in delinquency and aggression of children in crisis of family disorganization through sandplay therapy. Journal of Rehabilitation Psychology, 20(1), 65-100. 

  4. Choi, J. S., & Cho, S. C. (1990). Assessment of anxiety in childre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9, 691-70 2. 

  5. Choi, Y. W. (2014). A study of sensory processing, attention, emotional-behavioral characteristics for children with anxiety disord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Gimhae, Korea. 

  6. Fromberg, D. P. (2002). Play and mean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Boston, MA: Allyn and Bacon. 

  7. Goak, Y. S. (2006). A study on the children's sandplay therapy: An analysis on the difference of play expressions and styles by personal characteristic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Wonkwang University, Iksan, Korea. 

  8. Goodman, R. (1997). The strengths and difficulties questionnaire.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38(5), 581-586. http://dx.doi.org/10.1111/j.1469-7610.1997.tb01545.x 

  9. Han, M. H. (2011). A case study of sandplay therapy for 5-year-old child based on the perspective of ego development: Focused on sandplay themes and psychological transformation expressed in healing process. Korean Journal SandPlay Therapy, 7(1), 1-26. 

  10. Han, Y. M., Ahn, S. H., & Chae, Y. S. (2001). Using sandplay as a therapeutic tool in the early childhood setting.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1(1), 141-159. 

  11. Hong, E. J., Han, M. H., Lee, H. S., Ryu, J. A., Lee, S. H., Hong, J. R., et al. (2010). Play therapy. Seoul: Changjisa. 

  12. Jang, N. Y. (2010). The effect of sandplay therapy on ADHD university students with self-esteem and 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Symbols and Sandplay Therapy, 1(1), 61-82. 

  13. Kalff, D. M. (1966). The archetype as a healing factor. Psychologia, 9(3), 177-184. 

  14. Kim, B. A. (2003). Sandplay therapy: Theory and practice. Seoul: Hakjisa. 

  15. Kim, B. A. (2006). Psychological analysis and sandplay therapy. Seoul: Catholic Publishing House. 

  16. Kim, E. J. (2007). Self-esteem influencing the relationship of mood state, achievement goal, and mood regul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17. Kim, S. S. (2009). Analysis of the expression of the sand play therapy in emotionally and socially handicapped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Woosuk University, Wanju, Korea. 

  18. Kim, Y. (2014). The effects of the sand play therapy on the problem behaviors of the children with ADHD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Gongju, Korea. 

  19. Lee, M. S. (2010). Children's use of symbols by age and gender in sand play pictur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yongji University, Seoul, Korea. 

  20. Lee, S. G. (2009). The efficacy of group sandplay therapy for the elderly: Focused on depression, loneliness and self-esteem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1. Lee, S, H., & Prakash, S. (2016). Image experiences in sandplay therapy in adolescents living in welfare facilities who suffered Nepal earthquake. Journal of Symbols & Sandplay Therapy, 7(1), 81-96. 

  22. Mitchell, R. R., & Friedman, H. S. (2009). Sandplay themes expressed in the healing process. International Society for Sandplay Therapy, 1-25. 

  23. Oh, G. J., Hong, G. U., Lee, H. L., & Ha, E. H. (1997). Korean-child behavior checklist. Seoul: Korean Concentration Center. 

  24. Park, E. J. (2012). The case study of sand play therapy about an infant with ADHD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25. Parker, J. G., & Asher, S. R. (1987). Peer relations and later personal adjustment: Are low-accepted children at risk? Psychological Bulletin, 102(3), 357-389. https://dx.doi.org/10.1037//0033-2909.102.3.357 

  26. So, E. Y. (2010). A study on the efficacies of the sand-play therapy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prone children's hyperactivity and class participation activ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Korea. 

  27. Vaz, K. M. (2000). When is a sandplay psychotherapy process completed? International Journal of Action Methods, 53(2), 66-85. 

  28. Yeh, C. J., Aslan, S. M., Mendoza, V. E., & Tsukamoto, M. (2015). The use of sandplay therapy in urban elementary schools as a crisis response to the world trade center attacks. Psychology Research, 5(7), 413-427. 

  29. Yeom, S. K., & Kim, K. W. (2008). An analysis of the sandplay process by the hero myth of Campbell. Korean Journal of Play Therapy, 11(2), 87-1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