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을 보이는 대학생의 모래놀이치료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Sandplay Therapy in a College Student with Symptom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8 no.3 = no.259, 2010년, pp.55 - 69  

우희정 (광주대학교 사회복지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college student who exhibited several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symptoms was used as a case stud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therapeutic effects of sandplay therapy for PTSD sufferers. In total, 27 sessions of the sandplay treatment program were used to conduct psychological tests bef...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외상이란? 인간은 충격적인 사건을 당했을 때 이에 적응하려는 다양한 심리적 과정을 밟게 되며 이 과정 중에 여러 가지 생리적이고 심리적인 증상 및 정신사회적인 변화를 겪게 된다(Green, Lindy, & Grace, 1995). 외상(traumatic event)이란 혼자의 힘으로는 도저히 감당할 수 없는 예측불허의 사건을 경험한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외상을 경험한 일부의 사람들은 우울증, 불안장애, 약물남용,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등과 같은 정신적 장애를 나타내기도 한다(Ursano, Fullerton, & McCaughey, 1994).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란 심각한 외상으로 인해 나타나는 정신적 증상으로써 피해자들은 개인이 다루기 어려운 극단적인 사건에 노출된 후 심한 스트레스를 받게 되는데, 사건을 겪은 후 당시의 증상들에 대한 반복적인 재경험이나 사건과 관련된 자극들을 회피하거나 지속적 과각성 상태에 놓임으로써 불면증 등 여러 가지 신체적 증상들을 경험하게 된다(APA, 1994).
외상을 경험한 일부의 사람들은 무엇을 나타내는가? 인간은 충격적인 사건을 당했을 때 이에 적응하려는 다양한 심리적 과정을 밟게 되며 이 과정 중에 여러 가지 생리적이고 심리적인 증상 및 정신사회적인 변화를 겪게 된다(Green, Lindy, & Grace, 1995). 외상(traumatic event)이란 혼자의 힘으로는 도저히 감당할 수 없는 예측불허의 사건을 경험한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외상을 경험한 일부의 사람들은 우울증, 불안장애, 약물남용,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등과 같은 정신적 장애를 나타내기도 한다(Ursano, Fullerton, & McCaughey, 1994).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란 심각한 외상으로 인해 나타나는 정신적 증상으로써 피해자들은 개인이 다루기 어려운 극단적인 사건에 노출된 후 심한 스트레스를 받게 되는데, 사건을 겪은 후 당시의 증상들에 대한 반복적인 재경험이나 사건과 관련된 자극들을 회피하거나 지속적 과각성 상태에 놓임으로써 불면증 등 여러 가지 신체적 증상들을 경험하게 된다(APA, 1994).
심한 정신적 충격을 받게되는 사건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란 심각한 외상으로 인해 나타나는 정신적 증상으로써 피해자들은 개인이 다루기 어려운 극단적인 사건에 노출된 후 심한 스트레스를 받게 되는데, 사건을 겪은 후 당시의 증상들에 대한 반복적인 재경험이나 사건과 관련된 자극들을 회피하거나 지속적 과각성 상태에 놓임으로써 불면증 등 여러 가지 신체적 증상들을 경험하게 된다(APA, 1994). 외상이 되는 사건은 전쟁이나 홍수, 폭풍, 지진 등 천재지변에 의한 재난, 그리고 자동차, 기차, 비행기 등 교통수단에 의한 사고, 산업장에서의 사고, 그리고 폭행, 강도, 강간 등 생명을 위협하는 사건 등을 들 수 있다. 심한 정신적 충격에 의한 스트레스를 경험한 피해자들은 신체적 손상 뿐 아니라 심리적 위축과 불안, 우울 등 여러 심리적 문제를 겪게 되며 정서, 사고, 성격, 행동상의 변화와 오래 동안 지속되는 후유증으로 인하여 일상생활이 곤란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김영환, 진유경, 조용래, 권정혜, 홍상황, 박은영(2005). 대인관계문제 검사. 서울: 학지사. 

  2. 김용태(1997). 청소년 친구 따돌림의 실태조사 - 청소년 문제 연구보고서, 29. 따돌리는 아이들 따돌림 당하는 아이들. 청소년대화의 광장. 

  3. 김은주(2007). 아동학대로 인한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을 보이는 아동의 모래놀이치료 사례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태형, 김임, 이선미, 은헌정, 김동인, 강영수(1998). 교통사고 후 신체손상 환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37(4), 650-659. 

  5. 남순현, 염태호(1998).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환자의 성격요인과 대처방식과의 관계-교통사고 환자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17(1), 171-184. 

  6. 문채련(2008). 우울성향을 보인 중년여성에 대한 모래놀이치료 사례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7(3). 439-455. 

  7. 박아경(2008). 성학대 피해아동의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박영금(2006)도 우울성향이 있는 중년여성의 모래놀이치료 사례, 모래놀이치료연구집, 2, 57-48. 

  9. 박지연, 이숙(2008). 우울.불안과 위축행동을 보이는 유아에 대한 모래놀이치료 효과. 놀이치료연구, 12(3), 85-104. 

  10. 신성웅, 권석우, 신민섭, 조수철(2000). 학교폭력 피해자의 정신병 실태조사. 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소아.청소년정신의학, 11(1), 124-143. 

  11. 우현아(2001). 교통사고 환자의 다발성 손상정도와 외상후 스트레스 정도와의 관계.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윤여상, 김현아, 한선영(2007). 한국심리학회지, 19(3), 693-718. 

  13. 이경화, 고진영(2006). 자아개념검사. 서울: 학지사. 

  14. 이미식, 김희재(2006). PTSD 아동에게 활용할 수 있는 도덕과 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2, 199-226. 

  15. 이민수, 이민규(2005). 한국 우울증 검사. 서울: 학지사. 

  16. 이선미(2001). 버스사고 피해자의 심리적 특성 및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인지.행동 집단치료 효과,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7. 이선미, 김정희(2001). 버스사고 피해자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인지, 행동집단치료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13(3), 225-245. 

  18. 이지영, 유제민, 현명호(2008). 소방대원의 정서기능, 적극적 대처양식, 사회적지지가 PTSD 증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13(2), 373-389. 

  19. 이지현(2000).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환자들의 성격특성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이지현, 김유숙, 최영안(2004). 전쟁으로 인한 PTSD 집단과 사고로 인한 PTSD 집단의 MMPI 프로파인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23(1), 221-229. 

  21. 이진숙, 한영숙(2006).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이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아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가정과학회지, 9(2), 21-31. 

  22. 장현숙(2006). 우울증 중년 여성의 사례, 모래놀이치료연구집, 2, 163-187. 

  23. 전덕인(1996). 삼풍 사고 생존자의 PTSD 증상 조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96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25. 

  24. 전보경(2007). 모래놀이치료를 통한 자기표현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모래놀이치료연구집, 3, 69-95. 

  25. 정문용(1996). 참전 재향군인에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유병상태와 관련요인 분석.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주은선, 박은란(2003). 집단따돌림 피해자 특성에 관한 연구-초등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덕성여대논문집, 32, 144-166. 

  27. 최상국(2008). 우울증으로 PC중독과 학교부적응 행동을 보이는 청소년의 모래놀이치료 사례, 개소 20주년 기념 상담 사례연구집, 307-343, 서울특별시 아동상담치료센터. 

  28. 최종희(2008). 우울감을 보이는 중년 여성의 모래놀이치료사례, 모래놀이치료연구집, 4, 139-166. 

  29. 한덕웅. 이창호. 전겸구. Spielberger(2000). 상태-특성불안 검사. 서울: 학지사. 

  30. 허성호, 박은미, 정태연(2008). 탈북자의 C-PTSD 주된 증상 및 회피성향 개선요소.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74-175. 

  31. 홍창영(2005). 북한이탈주민의 외상후 스트레스장애에 대한 3년 추적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2. 황영선(2007). 우울성향의 중년 여성사례에서 모래놀이치료의 활용,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7(3), 439-455. 

  33.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34. Blanchard, E. B., & Hickling, E. J.(1997). After the crash: assesment and treatment of motor vehicle accident survivor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Washington D. C. 

  35. Goodwin, J.(1980). The etiology of combat-relate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s. On T. William(E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s Vietnam veterans, 1-23. Cincinnati, OH: Disabled American Veterans. 

  36. Green, B. L., Lindy, J. D., & Grace, M. C.(1995). Psychological effects of toxic contamination. In T. L., Ursano, B. G., McCaughey & C. S. Fullerton(Eds.). Individual and community responses to trauma and disasters: The structure of human chaos, 154-176. N. 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7. Joseph, S. A., Brewin, C. R., & Williams, R.(1993). Causal attributions and post-traumatic stress in adolescents. J.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34, 247-253. 

  38. Lindy, J. D., & Titchener, J.(1983). "Acts of God and man": Long-term character change in survivors of disasters and the law. Behavioral Sciences the Law, 1(3), 85-96. 

  39. Penk, W. E., Robinowitz, R., Patterson, E. T., Dolan, M. P., & Atkins, H. G.(1981). Adjustment differences among male substance abusers varying in degree of combat experiences in Vietnam. J.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9, 426-437. 

  40. Stanton, M. D., & Figley, C. R.(1978). "Treating the Vietnam veteran eith the family system". In C.R. Figley(Eds.), Stress disorder among Vietnam veteran:Theory, research, and treatment, 281-290. N.Y. Brummer/Mazel. 

  41. Ursano, R. J., Fullerton, & McCaughey(1994). "Trauma and disasters". In T. L., Ursano, B. G., McCaughey & C. S. FullertonIEds.) Individual and community responses to trauma and disasters: The structure of human chaos. 3-27. N. 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2. Wilkinson, C. B.(1983). Aftermath of a disaster: The collapse of the Hyatt Regency Hotel Skywalks. American J. of Psychiatry, 140(9), 1134-11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