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대부 묘 석인상 복식의 양식변화 요인에 관한 고찰
Factors relating to Changes in Costume Style of Stone Statues at Tombs of the Emerging Gentry (Sadaebu) in the Joseon Dynasty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8 no.6, 2008년, pp.12 - 23  

이은주 (안동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reports the costume changes and the factors of the changes from stone status in joseon dynasty. I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rtisan for the statue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the costume changes. The artisans who were involved in building the King's tomb w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렇다면 조선 초 사대부 묘에 흔히 보이는 공복형 석인상의 경우는 어떻게 해석될 수 있는지 살펴보자. 조선 초 공복은 초하루와 15일의 조하(朝賀) 와현사(見辭).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헌 자료와 석인상 유물들, 그리고 석인상에 대한 조사보고서와 선행연구들의성과를 토대로 석인상에 표현된 복식의 양식 변화요인을 석인상을 제작한 장인(匠人)의 역량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고 그와 더불어 공복에서 조복으로 변화되는 문인석 복식의 유형 변화요인을 16세기의 사회문화적 배경에서 밝혀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석인상에 표현된 복식 양식의 변화를 유도한 다양한 요인들 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되는 장인(匠人)의 역량에 초점을 맞추어 장인의 역할을 살펴보고 아울러 문인석 복식의 유형 변화 요인을 16세기의 사회문화적 배경에서 밝혀보고자 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세 견해의 타당성 여부를 석인상의 복식 유형의 관점에서 검토해 보고자 한다. 우선 왕릉의 석인상이국상 때의 문무백관을 형상화한 것이라는 첫 번째 견해는 복식사적 관점에서 볼 때 수긍하기 어렵다.
  • 우선 무덤이라는 장소와 관련되는 배릉의의 복식 규정을 따른 것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자.『고려사』 에는 왕릉에 제사지낼 때 왕은 화포(靴袍)를 입고52) 백관들은 공복을 입는다53)고 명시되어 있다.
  • 이 내용은 석인상 건립의 이유는 될 수 있지만 석인상에 표현된 공복과 조복의 정당성을 설명해 주지는 못한다. 이에 대해서는 석인상 유형에 대한 논의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경기 지역의 분인 석을 조사한 김우림(2007)의 연구32)와 원주 지역의 석인상을 연구한 임영근(2006)의 연구33) 결과를 비교 . 정리해 보고자 한다.
  • 김분은 경기 관찰사가 되었을 때. 조모(祖母)의 무덤 앞에 석인(石人)을 세우고자 하여. 반인(伴人) 과 석공(石工)에게 말을 주어 안성(安城)에 보내어서 돌을 구하니 권상온이 객사(客舍)의 섬돌을 파내어 석인을 만들어 보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1)

  1. 경기도박물관 (2007). 경기 묘제 석조 미술 上.下 

  2. 金右臨 (2007). 서울 . 경기지역의 朝鮮時代 士大夫 墓制 硏究. 高麗大學校 大學院 博士學位論文 

  3. 金銀善 (2002). 朝鮮後期 陵墓 石人像 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은선 (2002). 시흥 晉州姜氏묘역의 異形石人에 대하여. 京畿道博物館 年報 6, pp. 67-76 

  5. 이승해 (2003). 파평윤씨 정정공파 묘역 석인상에 대한 고찰. 고려대학교 박물관, 파평윤씨 정정공파 묘역조사 보고서, pp. 267-342 

  6. 林英根 (2006). 原州地域 墓의 文人石 硏究. 江原大學校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7. 崔允貞 (2005). 조선시대 金冠朝服型 文人石 연구. 한신大學校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8. 한주영 (2006). 17-18세기 문인석에 나타난 조복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崔允貞 (2005). 조선시대 金冠朝服型 文人石 연구. 한신大學校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p. 6 

  10. 林英根 (2006). 原州地域 墓의 文人石 硏究. 江原大學校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p. 14 

  11. 金右臨 (2007). 서울 . 경기지역의 朝鮮時代 士大夫 墓制 硏究. 高麗大學校 大學院 博士學位論文, p. 127 

  12. 權容玉 (1985). 朝鮮王朝 王陵 文人石像의 服飾形態에 관한 연구. 服飾, 4, p. 87 

  13. 장경희 (2007a). 고종황제의 금곡 홍릉 연구. 史叢, 64, p. 60 

  14. 林玲愛 (2001). 앞의 책, p. 48 

  15. 金右臨 (2007), 서울 . 경기지역의 朝鮮時代 士大夫 墓制 硏究. 高麗大學校 大學院 博士學位論文, p. 130 

  16. 太宗實錄 卷19 太宗 10年 4月 甲辰 

  17. 成宗實錄 卷38 成宗 5年 1月 己酉 

  18. 柳夢寅 (1623). 신익철 외(2006). 어우야담(번역본). 돌베개, p. 200 

  19. 太宗實錄 卷1 太宗1年 6月 癸酉 

  20. 成宗實錄 卷11 成宗 2年 8月 癸亥 

  21. 國立國樂院 (2003). 악학궤범의 영조척 척도환산 자료. 國樂院論文集, 15, pp. 137- 138 

  22. 成宗實錄 卷47 成宗 5年 9月 辛未 

  23. 國朝五禮儀 卷8 凶禮 大夫士庶人喪儀, p. 90b 

  24. 林英根 (2005). 原州地域 墓의 文人石 硏究. 江原大學校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p. 27 

  25. 한국역사연구회 (2001). 受敎輯錄. 청년사, p. 229 

  26. 한국역사연구회.중세2분과법전연구반 (2000). 新補受敎輯錄. 청년사, p. 411 

  27. 姜斅錫 (1925). 李民樹 譯 (2000). 대동기문 상. 명문당, p. 317 

  28. 金右臨 (2001). 서울 . 경기지역의 朝鮮時代 士大夫 墓制 硏究. 高麗大學校 大學院 博士學位論文, pp. 12-13 

  29. 이진희 (1997). 朝鮮 前期 陵墓石物의 配置와 造形的 特性에 관한 硏究. 韓國庭苑學會誌, 15(2), p. 10 

  30. 임영근 (2005). 原州地域 墓의 文人石 硏究. 江原文化史硏究 10, p. 26 

  31. 仁祖實錄 卷11 仁祖 4年 2月 丙子 

  32. 조은정 (1998). 20세기 황제릉 조각에 대한 연구. 한국근대미술사학, 6, p. 122 

  33. 한주영 (2006). 17-18세기 문인석에 나타난 조복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26 

  34. 國朝五禮儀 卷7 凶禮 成服儀 3b 

  35. 英祖實錄 卷32 英祖 8年 8月 癸亥 

  36. 國朝五禮儀 卷8 凶禮 ?廟儀 43a 

  37. 金右臨 (2007). 서울 . 경기지역의 朝鮮時代 士大夫 墓制 硏究. 高麗大學校 大學院 博士學位論文, pp. 130-136 

  38. 林英根 (2006). 原州地域 墓의 文人石 硏究. 江原大學校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pp. 12-38 

  39. 경기도박물관 (2007). 경기 묘제 석조 미술 上.下, p. 194 

  40. 경기도박물관 (2007). 경기 묘제 석조 미술 上.下, p. 284 

  41. 경기도박물관 (2007). 경기 묘제 석조 미술 上.下, p. 298 

  42. 崔允貞 (2005). 조선시대 金冠朝服型 文人石 연구. 한신大學校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p. 32 

  43. 李璟珣 (1995). 朝鮮前期 陵墓 石人像 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崔允貞 (2005). 조선시대 金冠朝服型 文人石 연구. 한신大學校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p. 4 

  45. 金銀善 (2002). 朝鮮後期 陵墓 石人像 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05 

  46. 崔允貞 (2005). 조선시대 金冠朝服型 文人石 연구. 한신大學校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p. 4 

  47. 林玲愛 (2001). 앞의 책, pp. 47-75 

  48. 한주영 (2006). 17-18세기 문인석에 나타난 조복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85, p. 58 

  49. 한주영 (2006). 17-18세기 문인석에 나타난 조복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65-195 

  50. 장경희 (2007b). 조선후기 山陵都監의 匠人 연구. 역사민속학, 25, pp. 138-196 

  51. 成宗實錄 卷152 成宗 14年 3月 庚申 

  52. 太宗實錄 卷35 太宗 18年 1月 丁卯 

  53. 睿宗實錄 卷4 睿宗 1年 3月 戊申 

  54. 이진희 (1997). 朝鮮 前期 陵墓石物의 配置와 造形的 特性에 관한 硏究. 韓國庭苑學會誌, 15(2), p. 9 

  55. 조은정 (1998). 20세기 황제릉 조각에 대한 연구. 한국근대미술사학, 6, p. 82 

  56. 林玲愛 (2001). 앞의 책, pp. 52-56 

  57. 高麗史 卷61 拜陵儀 35b 

  58. 高麗史 卷61 拜陵儀 47a 

  59. 임영근 (2005). 原州地域 墓의 文人石 硏究. 江原文化史硏究, p. 22 

  60. 世祖實錄 卷17 世祖 5年 9月 丙戌 

  61. 柳希春, 朝鮮總督府 (昭和 11年). 眉巖日記草 4 第9冊 甲戌年 8月 13日, p. 473 

  62. 李?光 (1614). 南晩星 역 (1994). 芝峰類說 下. 乙酉文化社, p. 415 

  63. 國朝五禮儀 卷8 凶禮 大夫士庶人喪儀, p. 81b 

  64. 金右臨 (2001). 서울 . 경기지역의 朝鮮時代 士大夫 墓制 硏究. 高麗大學校 大學院 博士學位論文, p. 36 

  65. 世宗實錄 卷42 世宗 10年 11月 甲子 

  66. 崔允貞 (2005). 조선시대 金冠朝服型 文人石 연구. 한신大學校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p. 32 

  67. 林英根 (2006). 原州地域 墓의 文人石 硏究. 江原大學校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p. 33, p. 57 

  68. 이승해 (2003). 파평윤씨 정정공파 묘역 석인상에 대한 고찰. 고려대학교 박물관, 파평윤씨 정정공파 묘역조사 보고서, p. 328, p. 333 

  69. 金右臨 (2007). 서울 . 경기지역의 朝鮮時代 士大夫 墓制 硏究. 高麗大學校 大學院 博士學位論文, p. 132 

  70. 林英根 (2006). 原州地域 墓의 文人石 硏究. 江原大學校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p. 57 

  71. 한주영 (2006). 17-18세기 문인석에 나타난 조복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8-69 

  72. 金右臨 (2007). 서울 . 경기지역의 朝鮮時代 士大夫 墓制 硏究. 高麗大學校 大學院 博士學位論文, p. 187 

  73. 家禮 卷5 喪 14a 

  74. 中宗實錄 卷32 中宗 13年 4月 甲午 

  75. 中宗實錄 卷81 中宗 31年 5月 己巳 

  76. 大明會典 卷203 工部 23, p. 2b, p. 9a-b 

  77. 國朝喪禮補編 圖說 35a 

  78. 崔允貞 (2005). 조선시대 金冠朝服型 文人石 연구. 한신大學校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p. 26 

  79. 李?光 (1614). 南晩星 역 (1994). 芝峰類說 下. 乙酉文化社, p. 415 

  80. 孝宗實錄 卷6 孝宗 2年 6月 己未 

  81. 中宗實錄 卷85 中宗 32年 10月 甲戌 

  82. 成宗實錄 卷10 成宗 2年 5月 庚寅 

  83. 世宗實錄 卷59 世宗 15年 1月 甲子 

  84. 中宗實錄 卷6 中宗 3年 9月 己酉 

  85. 李文楗. 默齋日記 上. 國史編纂委員會, p. 183 

  86. 柳希春, 朝鮮總督府 (昭和 11年). 眉巖日記草 2 第5冊 庚午年 7月 10日, p. 328 

  87. 장정윤 (2003). 朝鮮時代 文武百官 朝服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84-94 

  88. 이진희 (1997). 朝鮮 前期 陵墓石物의 配置와 造形的 特性에 관한 硏究. 韓國庭苑學會誌, 15(2), p. 15 

  89. 김문식 (2007). 정조의 제왕학. 태학사, p. 100, p. 458 

  90. 仁祖實錄 卷19 仁祖 6年 9月 丙戌 

  91. 김문식 (2004). 숙종이 중간한 대명집례. 문헌과해석 28, pp. 203-21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