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성별 낙상관련 요인
An analysis of risk factors for falls in the elderly by gender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5 no.2, 2008년, pp.1 - 18  

김종민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보건관리학과) ,  이명선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보건관리학과) ,  송현종 (건강보험심사평가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gender differences of risk factors for falls among the elderly in community dwellings. Methods: We analyzed the data on 3,278(male 1,255, female 2,023) persons, including 497 persons who have experienced falls, drawn from the 2004 National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남성 노인과 여성 노인의 낙상 관련 요인을 정교하게 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의 낙상 관련 요인을 분석하되 남녀의 차이를 도출하여 실효성있는 노인 낙상 관련 중재방법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전국 대표 표본을 사용한‘2004년 전국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의 자료를 이용하여 전체 노인과 남녀 노인의 내적, 외적 낙상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각 특성 요인들을 위계적 로지스틱 분석을 하여 전체노인과 남녀 노인의 성별의 차이와 관련된 낙상 요인을 보고자 하였다. 사회경제적인 요인, 환경적인 요인, 보조기구 사용 관련, 만성질병,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인지장애, 문제 행동 정도 특성을 단계적으로 투입시켜 분석함으로써 낙상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요인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65세 이상의 남녀 노인의 낙상 위험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2004년도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요구조사’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이 자료는 노인 정책에 필요한 기초자료 및 기본 지표를 생산하는 것을 목적으로 가구 조사와 가구 내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가구원을 대상으로 노인별 개인조사를 실시한 전국 조사이다. 전국을 대상으로 180개 표본 조사구의 9,308가구가 조사되었고 65세 이상 남녀 3,278명 중 남자 노인 1,255명(38.

가설 설정

  • , 1994; 조준필 등, 2001)등은 낙상을 유발 하는 선행질환으로 알려져 있으며 여러 질환을 동시에 앓고 있는 복합유병(병력의 합)은 낙상을 배가 시키는 원인이 된다(염태형 등, 2001;정영미 등, 2006). 본 연구에서는 질병의 종류보다는 질병의 개수로만 분석하였다. 1개 이상 만성질환을 가진 남자 노인은 9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노인의 사고 사망 원인 중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인가? 노인의 건강을 위협하는 주요 위해 요인 중 하나가 낙상이다.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노인 중 사고로 사망한 경우는 전체 노인 사망의 약 15%에 해당하며 사고 사망의 약 70%가 낙상에 의한 것이었다(통계청, 2007). 낙상으로 인하여 사망에까지 이르지 않더라도 와병상태가 초래 되고 관절의 골절을 겪으면서 장기간의 활동제한이 야기되는 경우가 많다(Tinneti et al.
우리나라의 2007년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전체 인구의 몇 % 인가? 우리나라는 급속한 의료기술의 발전 등으로 전 세계적으로 그 유래를 찾아볼 수 없을 만큼 노인 인구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국가이다. 2007년 현재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9%를 상회하고 있다. 노인의 건강을 위협하는 주요 위해 요인 중 하나가 낙상이다.
최근 행동적 측면으로 노인의 낙상과 관련된 내적요인으로 무엇이 보고 되었는가? 노인의 낙상과 관련된 내적요인은 인구사회학적 특성, 감각기능 상태, 신체기능 상태, 현재이환된 질병 및 질병 기왕력, 인지기능상태 등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행동적 측면으로 걸음걸이나 자세가 관련 요인으로 보고되었다. 이 중 성, 연령 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어떠한 중재방법으로도 변화할 가능성이 거의 없기 때문에 낙상과 관련된 다른 내적요인과는 다른 차원에서 다루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9)

  1. 김동준. 일부 농촌지역 노인 낙상 위험요인 조사연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2. 김민정, 조한규, 선우성, 조홍준, 김영식. 양로원 노인에 있어서의 낙상의 발생률과 관련요인. 노인병 1999; 3(4):20-24 

  3. 김종민, 이명선.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들의 낙상사고 관련 요인-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보건교육 건강증진학회지 2007; 24(4):23-39 

  4. 김찬. 골다공증 노인을 위한 낙상위험인자 분석과 예방프로그램 개발. 을지의과대학. 2003 

  5. 박영혜, 문정순. 노인가정의 낙상사고 위험 환경요인.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5; 22(4): 203-213 

  6. 방순화(2003). 노인 낙상 예방프로그램 참여의사와의 관련요인 분석. 포천중문의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백현욱. 고위험 노인을 위한 낙상예방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백병원. 2003 

  8. 손병권. 일개도시지역 재가노인의 낙상실태 및 관련요인 분석. 한림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9. 송경애, 문정순, 강성실, 최정현. 지역사회재가노인들의 낙상공포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001;15(2):324-333 

  10. 송경애, 문정순. 서울?경기지역 재가노인의 활동능력과 낙상공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03; 14(4):1-10 

  11. 송경애, 문정순, 이광수. 파킨슨병 환자의 낙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간호학회지 2004; 4(6):1081-1091 

  12. 송미순, 하향숙. 노인간호학. 서울대학출판부. 1995 

  13. 엄지연. 낙상으로 입원한 노인환자에 대한 실태 조사 연구. 여성건강 2006;7(2):47-68 

  14. 염태형, 김소연, 소예경, 박수연, 이주헌, 조항석, 심재용, 이혜리. 노인낙상의 위험인자. 가정의학회지 2001; 22(2):221-229 

  15. 유명숙. 낙상으로 입원한 노인의 관련요인에 대한 조사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6. 오진주, 김희걸, 권영숙. 서울시 일개 구 재가 치매노인 특성 연구 - 일반노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01;12(1):214- 255 

  17. 오희영, 임영미. 낙상 후 대퇴골절 수술 노인의 신체기능, 의료비용 및 낙상의 두려움. 성인간호학회지 2003;15(3):432-440 

  18. 이은주, 김춘길. 일 병원 노인환자의 낙상요인 및 골절 부위에 대한 조사. 노인간호학회지 2003; 5(2):182-192 

  19. 이호택, 장기정, 장인환, 이영진. 노인군에서 낙상에 의한 고관절 골절환자의 특성. 가정의학회지 1994;15:273-279 

  20. 임남구, 심규범, 김용범, 박주리, 김은영, 나백주, 김대경, 이무식. 일부농촌지역 노인의 낙상실태 및 관련요인. 노인병 2002;6(3):183-196 

  21. 장인순, 김동준. 일부 농촌지역 노인의 낙상위험을 높이는 물리적 환경에 관한 조사연구. 노인간호학회지 2002; 4(2):176-186 

  22. 전미양(1999). 낙상예방프로그램이 양로원 여성 노인의 보행, 균형 및 근력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박사학위논문 

  23. 전미양, 최명애. 낙상사고에 의한 골절로 입원한 노인환자에 대한 조사연구. 대한간호학회지 200;.31(3):443-453 

  24. 정영미, 이성은, 정길수. 재가노인의 건강상태에 따른 낙상실태 및 낙상관련요인. 한국노년학 2006; 26(2):291-303 

  25. 조규찬. 일부지역 노인의 낙상과 관련된 요인에 관한 조사. 충남대학교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26. 조준필, 백경원, 송현종, 정윤석, 문혜원. 지역사회 재가 노인의 낙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예방의학회지 2001; 34(1):47-54 

  27. 최선애, 박시운, 최유남, 장순자, 만성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뇌졸증학회지 2004;6(2);156-161 

  28. 황옥남. 노인의 안전사고와 관련된 요인에 대한 조사연구. 성인간호학회지 1998; 10(2):337-352 

  29. Aleksandra A. Zecevic, MSc, Alan W. Salmon. Defining a Fall and Reasons for Falling: Comparisons Among the Views of Seniors, Health Care Providers, and the Research Literature. The Gerontologist 2006; 46(3): 367-376 

  30. American Geriatric Society. Guideline for the Prevention of Falls in Older Person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 Society 2001; (49):664-672 

  31. Campbell A. J. Drug Treatment as a Cause of Falls in Old Age. Drugs and Aging 1991;1(4): 289-302 

  32. Christoffel T, Gallagher SS. Injury Prevention and Public Health: Practical Knowledge, Skills, and Strategies. Maryland: An ASPEN Publication. 1999 

  33. Clemson L. Case-Control Study of Hazards in the Home and Risk of Falls and Hip Fractures. Age Aging 1996;(25):97-101 

  34. Donmez Levent, Gokkoca Zuhal. Accident profile of older people in Antalya City Center, Turkey.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2003; 37: 99-108 

  35. Elena M. Anderson, Fredric D. Wolinsky, J. Philip Miller, AB.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Risk Factors for Falls, Fear of Falling, and Falls Efficacy in a Cohort of Middle-Aged African Americans. The Gerontologist 2006; 46(2):249-257 

  36. Fuller GF. Falls Elderly. American Academy of Family Physician 2000;61(7): 2159-2168 

  37. Hokby A., Reimers L., Laflmme L. Hip fractures among older people: do marital status and type of residence matter, Public Health 2003; 117:196-201 

  38. Huang HC.Assessing Risk of Falling in Older Adults. Public Health Nursing 2003;2(5): 399-411 

  39. Ivers R. Q., R.G. Cumming, P. Mitchel, A.J. Peduto, Diabetes and risk of fracture: the Blue Mountains Eyes Study. Diabetes Care 2001;24:1198-1203 

  40. Janken JK. Patient Falls in the Acute Care Setting, Identifying Risk Factors, Nursing Research 1986;35:215-219 

  41. Kron M. S., Loy E. Sturm et al. Risk Indicators for Falls in Institutionalized Frail Elderly.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2003;158(7):645-653 

  42. Marita Titler, Joanne Dochterman, Debra M. Picone. Cost of Hospital Care for Elderly at Risk of Falling. Nursing Economics 2005; 23(6):290-306 

  43. Miller C.A. The connection between drugs and falls in elders. Geriatrics Nurse 2002; 23:199-110 

  44. National Falls Prevention for Older People Plan: 2004 Onwards. Canberra. NPHP 

  45. Northridge, M.E. Nevitt, M.C., Kelsey, J. L. Home Hazards and Falls in the Elderly: The Role of Health and Functional Status. Am. J. of Public Health 1995; 85(4):509-514 

  46. Roach SS. Introductory Gerontological Nursing, Philadelphia. Lippincott. 2001 

  47. Rubenstein, L. Z., Josephen, K.R., Robbins A.S. Falls among elderly people in the long term care. Am. J. of Public Health 1994;83(5):746-749 

  48. Sechested P, Severin-Nielsen T. Falls by Hospitalized Elderly Patients, Causes prevention, Geriatrics 1997; 4:101-108 

  49. Speechley M. Tinetti M. Falls and Injuries in Frail and Vigorous Community Elderly Persons. J. American Geriatrics Society 1991; 39(1):46-52 

  50. Stefano Volpato, Suzanne G. Leville. Risk Factor for Falls in Older Disabled Women With Diabetes: The women's Health and Aging Study. Journal of Gerontology: Medical Sciences 2005; 60A(12): M1539-M1545 

  51. Stephen Lord, Catherine Sherrington, Hylton Menz, Jacqueline Close. Falls in Older People: Risk factors and Strategies for Preven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52. Stockslager J. L., Schaeffer L. Geriatric nursing care II,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74-280. 2003 

  53. Tibbitts G.M. Patient Who Falls: How to predict and Prevent Injuries. Geriatrics 1996; 51(9):24-31 

  54. Tinetti ME., Speechyley M., Ginter SF. Risk factors for Falls Among Elderly Persons Living in the Community.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1998;319:1701-1707 

  55. Tinetti ME., Speechyley M., Ginter SF. Prevention of Falls Among the Elderly.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1989; 320:1055-1059 

  56. Tromp. A.M., Smit, J.H., Deeg, D.J.H. Bouter, L. M., Lips, P.. Predictors for falls and fractures in longitudinal aging study Amsterdam. J Bone Miner Reg 1998;13: 1932-1939 

  57. Unworth J. Falls in Older People, The Role Assessment in Prevention and Care. British Journal of Community Nurse 2003; 8(6):256-262 

  58. Wold, G.H. Basic Geriatric Nursing (2nd ed.). Mosby. 1999 

  59. Yasumara S.(2001), Frequency of falls and fractures in the elderly. Japanese medical Association Journal 2001; 44:192-1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