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교육사 제도정립의 방향
Recommenda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for Developing the Korean Credentialing Policy of Health Education Specialist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5 no.2, 2008년, pp.73 - 89  

김광기 (인제대학원대학교) ,  김건엽 (충남대학교 예방의학교실) ,  김영복 (한국건강관리협회) ,  김혜경 (서남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박경옥 (이화여자대학교 보건관리학과) ,  박천만 (계명대학교 공중보건학과) ,  이무식 (건양대학교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suggest a recommendation for the Korean credentialing policy of health education specialist as the primary human resource in community health promotion activities from the special group perspective of the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상과 같이 건강증진사업과 보건교육사 제도에 대한 학문적인 근거와 의견을 제공할 수 있는 대표학회로서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는 보건교육사 양성의 중추적인 역할을 할 전문가 회원들의 전문 지식과 경험을 종합하여 국가의 방향설정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학회 차원에서 보건교육사 제도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는 배경, 보건교육사의 정의, 종류, 역할을 비롯하여 보건교육사 국가자격자 양성 및 자격관리에 관한 의견 및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건교육은 무엇을 중요하게 간주하는가? 보건교육은 개인의 바람직한 건강 행동과 태도 변화를 위하여 가족, 동료, 보건교육자로부터의 지속적인 강화를 중요하게 간주한다. 그만큼 보건교육은 행동과 그 행동 주체 주변의 환경을 중시하는 건강증진의 핵심영역이다(김대희, 2000).
보건교육사가 학습해야 할 10개 필수 교과목은 무엇인가? • 보건교육 건강증진 • 건강행동론 • 건강커뮤니케이션 • 보건교육 건강증진 기획 • 보건교육방법 • 건강증진사업관리 • 연구방법론 • 보건학 • 보건교육실습 • 보건의료관련법규
보건교육사 자격제도가 도입된 시기는? ‘보건교육사’는 이제 우리나라 국민건강증진사업의 계획과 수행에 있어서 필수인력으로서 그 중추적인 역할을 하게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2003년 9월 보건교육사 자격제도의 도입이 국회를 통과한 것은 한국적인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 정착을 위해 보건교육사 제도확립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증거로서 이에 따라 심층적인 연구 및 다각적인 의견수렴이 이루졌으며 보건교육사의 역할과 자격 등 일부 제도적 방향들이 공청회 등을 통해서 제안되고 있다(보건복지가족부, 2008). 이러한 정책화 작업을 통해 2009년부터 시행되는 보건교육사 국가자격제도가 곧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이정렬, 김희순, 이태화, 함옥경. 우리나라 보건소 건강증진사업의 구조적 측면 평가.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003: 17(2); 181-191 

  2. 김광기 등.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가 제안하는 보건교육사 제도.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2008. 5 

  3. 김대희. 한국 건강증진 사업 방향의 문제점에 관한 연구.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0: 17(2); 219-228 

  4. 김명, 고승덕, 김영복. 국민건강증진사업 활성화를 위한 보건교육사 자격인정제도 도입방안.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1998: 15(2); 67-79 

  5. 김명. 보건교육사의 역할과 기능. 2008 대한보건협회 보건의날 기념학술대회 자료집. 2008. 4 

  6. 국민건강증진법 [일부개정 2008.2.29 법률 제8852호], 시행일 2008.12.15. http://www.moleg.go.kr/main/main.do. 2008 

  7. 남은우, 김혜경. 일본의 건강교육사 제도.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5: 22(4); 257-273 

  8. 남철현. 건강증진사업을 위한 보건교육 인력개발과 활용방안. 2000 건강증진연구사업 용역연구. 2001 

  9. 남철현. 보건교육사 양성 및 활용방안.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6: 23(2); 141-161 

  10. 보건복지가족부. 보건교육사제도 시행을 위한 세부기준(안). 보건교육사 국가자격증 제도화를 위한 공청회 자료집. 2008. 6 

  11. 이규식. 국민건강증진사업 10년의 성과.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6; 23(1): 143-171 

  12. 이규식과 홍상진. 의료보험과 보건교육. 한국보건교육학회지 1993; 10(2) 

  1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보건교육사 직무분석. 2004 

  14. Breslow L. The potential of health promotion. In Mechanic D. Handbook of health, health care, and the health professions. The Free Press. New York, NY. 1983 

  15. Gilmore et al. Overview of the national Health Educator competencies update project, 1998-2004. Health education& behavior 2006: 32(6); 725-737 

  16. Green LW & Kreuter MW. Health promotion planning-An educational and ecological approach. (3rd ed). Mayfield Publishing. NY, 1999 

  17. Kar SB. Indicators of individual and societal actions for health promotion in Kar SB. Health promotion indicators and actions. Springer Publishing Company. New York, NY. 1989 

  18. McGinnis JM et al. The case for more active policy attention to health promotion. Health Affairs 2002; 21: 78-93 

  19. McKenzie JF, Smeltzer JL. Plann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health promotion programs. (3rd ed). Allyn and Bacon Publication, MA, 2001 

  20. National Commission for Health Education Credentialing (NCHEC). About NCHEC: Responsibilities & Competencies. http://www.nchec.org/aboutnchec/rc.htm.2008 

  21. Tannahill A. What is health promotion?. Health Education Journal 1985: 44; 167-1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