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단체에서 보건교육사의 활동 영역과 능력 개발
The Roles and Professional Competencies of Health Education Specialists in Public Health Organizations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7 no.2, 2010년, pp.23 - 36  

김혜경 (한국건강관리협회 건강증진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uggest the roles and professional competencies of health education specialists to improve the efficacy of health promotion activities in public health organizations. Results and Conclusion: Based on the advanced cases of utilizing health education specialis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건강자료 분석을 통한 건강증진지표 생산, 국민의 건강증진 요구도 파악을 통한 사업 및 프로그램 개발, 건강생활실천 프로그램 수행과 효과성 평가를 통한 건강증진사업의 근거 제공에 목적을 둔 연구와 평가 기능을 하기도 한다. 기술개발 및 확산과 관련하여 각종 진단기술을 개발하고 건강정보 DB구축과 건강상담을 위한 전산프로그램 개발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의료기관의 특성을 갖고 있는 단체는 건강진단으로 시작하여 사후관리까지 포함하는 포괄적 보건의료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 건강증진사업 수행과정의 전문화란 건강증진 프로그램, 교육자료, 건강캠페인을 기획하는 과정에서 대상자의 건강요구와 이론적·경험적 근거에 기반하여 구체적인 행동변화전략과 의사소통전략을 개발함으로써 기존의 건강증진프로그램과는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개발한다는 점을 의미한다. 또한 효과성에 대한 체계적 평가를 통해 건강증진사업의 효과에 대한 근거를 지속적으로 제시한다. 개발된 건강증진 프로그램은 개인차원의 프로그램을 지양하여, 개인 간, 조직, 지역사회, 국가 차원의 다차원적인 접근방안을 함께 개발하여 제시함으로써 건강환경 조성의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 보건단체가 국민건강증진사업에서 일익을 담당하며 건강증진사업의 양적, 질적 성장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전문보건교육사의 활용이 요구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보건단체의 건강증진사업 현황을 살펴보고, 사업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도모하기 위해 보건교육사가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해 분석하며, 외국의 사례를 참고로 하여 건강증진사업의 핵심인력으로 보건교육사가 갖추어야 할 능력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 건강증진사업의 성과는 사업추진을 위한 인력 및 조직의 역량에 크게 의존한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전문인력의 활용은 시대적 과제로 간주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본 연구는 보건교육사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며, 건강증진사업의 핵심인력으로 보건교육사가 갖추어야 할 능력은 무엇인지에 대해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역사회 보건단체에서 근무하는 보건교육사는 어떠한 업무를 담당하는가? 지역사회 보건단체에서 근무하는 보건교육사는 대중에게 건강정보를 제공하고 지역사회의 자원에 대해 주민에게 교육하고 연계하는 업무를 담당한다. 특정 단체는 특수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사업을 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특정 질병이나 건강문제에 대해 지역주민을 교육하는 업무를 담당한다.
상호연관된 건강행동의 변화가 multiple health behavior change intervention의 형태로 기획되고 수행될 때 건강증진의 효과는 배가되며, 자원의 효율적 사용도 가능하게 되는 예로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상호연관된 건강행동의 변화는 multiple health behavior change intervention의 형태로 기획되고 수행될 때 건강증진의 효과는 배가되며, 자원의 효율적 사용도 가능하게 된다. 예를들어 금연교육과 병행되는 운동프로그램은 금연 후 발생될 수 있는 체중증가를 예방하고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데 도움을 주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2000년대 이후 미국, 호주 등 보건교육 건강증진사업의 선도국가에서 수행되는 보건교육사업은 multiple health behavior change intervention으로 수행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다.
건강증진사업 활성화를 위한 공공부문 보건의료조직의 역할은 무엇인가? 건강증진사업 활성화를 위한 공공부문 보건의료조직의 역할은 중·장기 건강증진정책을 수립하고 예산을 확보하며, 사업 추진을 위한 법적, 제도적 틀을 확보하는 것이다. 반면 보건단체는 공공부문의 보건의료조직이 수행하기 어려운 측면에 대하여 협력적 역할을 수행하며 동시에 각 보건단체의 특성에 따라 독립적인 건강증진사업을 실시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김명, 김혜경, 윤청하, 이은희 등. 저소득층 아동의 신체발달 특성별 행동.환경적 결정요인 분석 및 근거중심 개입전략 개발. 이화여자대학교.건강증진사업지원단, 2007. 

  2. 김혜경 등. 보건교육학. 한미의학, 2009. 

  3. 김혜경, 윤청하, 이은희, 이균익 등. 취약지역 빈곤아동의 건강증진프로그램 개발.연구. 한국건강관리협회.건강증진사업지원단, 2007. 

  4. 김혜경, 이윤희, 문순영, 권은주. 대상자의 행위변화단계에 따른 비만관리 프로그램 개발. 한국건강관리협회 연구보고서, 2006. 

  5. 보건복지부.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분야별 세부추진계획 2005. 

  6. 이주열. 우리나라 건강증진사업의 개선방향. 서울대학교 보건학박사회 정기학술대회 연제집. 2005년 9월. 

  7. 지선하, 김혜경, 이은희, 윤수진, 이윤희. 한국인의 생활습관과 대사증후군과의 관련성 규명 및 맞춤형 예방프로그램 개발, 지원효과 분석. 연세대학교.건강증진사업지원단, 2006. 

  8. American Heart Association. Heart and Stroke Statistical Update. American Heart Association, Dallas, TX, 1997. 

  9. Bureau of Labor Statistics. Health educators. Occupational Outlook Handbook, 2010-11 Edition. Accessed at http://www.bls.gov/oco/ocos063.htm. 

  10. Curtin Univ., National Heart Foundation of Australia(WA division), ACT Health Promotion Authority. Core Health Promotion Competencies for Australia 2005, 2007. APHA, PHAA HPSIG, IUHPE, 2005, 2007. 

  11. Keller S, Maddock JE, Hannover W, Thyrian JR, Basler HD. Multiple health risk behaviors in German first-year university students. Preventive Medicine, 2008;46:189-195. 

  12. Manson JE, Tosteson H, Ridker PM, Satterfield S, Herbert P, O'Connor GT, Burning JE, Hennekens CH. The primary prevention of myocardial infarction.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1993;326(21):1406-1416. 

  13. Nigg CR, Allegrante JP, Ory M. Theory-comparison and multiple-behavior research: common themes advancing health behavior research. Health Education Research, 2002;17(5):670-679. 

  14. NHS Careers. http://www.nhscareers.nhs.uk/details/Default.aspx?Id145 

  15. Prochaska JJ, Spring B, Nigg CR. Multiple health behavior change research: an introduction and overview. Preventive Medicine, 2008;46:181-188. 

  16. Rada J., Ratima M. and Howden-Chapman P. Evidence-based purchasing of health promotion: Methodology for reviewing evidence.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1999:14(2);177-187. 

  17. Reeves MJ, Rafferty AP. Healthy lifestyle characteristics among adults in the United States, 2000.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2005:165:854-857. 

  18. Rimer B.K., Glanz K and Rasband G. Searching for evidence about health education and health behavior intervention, Health Education & Behavior 2001:28(2); 231-248. 

  19. Smedly BD, Syme SL. Promoting health: intervention strategies from social and behavioral research. National Academic Research, 2000. 

  20. Wise M. 국가 및 지역단위의 건강증진정책개발. 국민건강증진법제정 10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 연제집. 보건복지부 2005년 9월. 

  21. Windsor R, Clark N, Boyd NR, Goodman RM. Evaluation of health promotion, health education and disease prevention programs. McGrawHill,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