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소 금연클리닉 프로그램의 실시 후 6개월 금연성공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 of smoking cessation for 6 months at smoking-cessation clinic of public health center in urban area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5 no.1, 2008년, pp.25 - 38  

전용욱 (중앙대학교 예방의학교실) ,  지남주 (중앙대학교 예방의학교실) ,  이원영 (중앙대학교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identifie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ful smoking cessation for 6 months at a smoking-cessation clinic of a public health center in an urban area.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70 visitors to the smoking cessation clinic of Dongjak-Gu public health center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금연 성공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흡연자의 특성을 규명 분석하여 금연을 시도하려는 사람과 금연을 돕는 금연상담사들에게 도움을 주고 효율적인 금연 정책을 수립하는데 객관적이며, 효율적인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자 실시하였다.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 결과 20-39세 연령군에 비해 40-59세 연령군이 6개월 금연성공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OR;2.
  • 앞으로 보건소 금연클리닉 프로그램에 국가의 자원이 더 확충될 것으로 예상되며, 외국의 프로그램에 기반을 둔 점을 감안할 때 이 프로그램의 효율성을 높이고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효과적인 프로그램 운용이 중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 일개 보건소에서 시행되고 있는 금연클리닉 등록자를 대상으로 6개월간의 금연성공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효율적인 금연클리닉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흡연은 어떤 질환의 원인인가? 1956년 미국과 영국에서 담배가 폐암의 원인이 된다는 첫 학술보고가 있은 이후 담배의 해악에 대한 연구(Hammond 등, 1958; Andrews 등, 1984)가 꾸준하게 이루어져왔다. 흡연은 각종 암과 관상동맥질환, 뇌혈관질환, 만성폐질환등 각종 질환의 원인으로서 인간의 생명과 건강을 위협하고 있으며(Holbrook 등, 1998), 건강의 위험요인 중 가장 사회경제적 비용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한국금연운동협의회, 2002). 여러 국가에서 흡연율이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의 성인남성 흡연율은 세계 최고 수준을 유지해오다가 1995년에 국민건강증진법이 제정을 시작으로 정부가 흡연에 대한 개입이 이루어졌고 국민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늘면서 전체적으로 성인 남성의 흡연율이 감소하고 있다(보건복지부, 2005).
전국 보건소에서 시행한 임상적 치료 접근의 금연 클리닉 사업은 무엇에 기초하여 설계된 프로그램인가? 이 금연클리닉 프로그램은 금연상담과 더불어 니코틴패치 혹은 부프로피온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금연효과가 크다는 외국 선행연구들의 결과에 기초하여 설계된 프로그램이며, 올해 시행 3년째를 맞이하고 있다(보건복지부, 2005; Matheny와 Weatherman, 1998; Sussman 등, 2001). 2005년에 비해 2006년에는 각 보건소마다 목표대상자를 더 늘리고 있으며, 사업예산도 더 늘어났다(보건복지부, 2006).
미국 보건복지부는 흡연율 감소를 위한 전략을 크게 어떤식으로 구분하였는가? S. DHHS, 2000)는 흡연율 감소를 위한 전략을 크게 교육, 임상적 치료, 규제, 경제적 개입으로 구분하였으며, 이러한 전략들을 포괄적으로 시행할 때 효과적으로 흡연율을 줄일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우리나라에서의 금연 정책은 1995년도 공공시설에 금연구역 설정 등을 명시한 국민건강증진법 제정을 계기로 본격화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김철환, 서홍관. 금연클리닉을 방문한 흡연자의 금연 성공과 관련된 요인. 가정의학회지. 2001; 221(11):1603-8 

  2. 김미경, 진충권, 김윤진, 조병만. 금연에 영향을 미치는 질병요인. 가정의학회지. 1995;16(12): 880-90 

  3. 신성례. 흡연청소년을 위한 자기조절 효능감 증진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이화여대 박사학위논문. 1997 

  4. 박일환 등. 금연 프로그램에서 파트너 지지가 금연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가정의학회지. 2002;23(3):301 -p.312 

  5. 보건복지부. 국가흡연예방 및 금연사업 안내. 서울: 보건복지부. 2005 

  6. 보건복지부. 국가흡연예방 및 금연사업 안내. 서울: 보건복지부. 2006 

  7. 송선희, 하은혜, 송동호. 성인 남성의 흡연과 관련된 심리 사회적 변인; 종합 병원 건강 증진 센터 내원자를 대상으로. 한국 심리학회지. 건강 2002; 7: 447-467 

  8. 심재윤, 한나영, 정유석, 유선미, 박일환. 금연클리닉에서 금연성공과 관련된 요인. 가정의학회지 2002;23(3):325-30 

  9. 원영일, 전태희, 이동수, 오상우, 최지호, 유태우 등. 금연과 관련된 요인. 가정의학회지 1992; 13(11):862-8 

  10. 이양수. 동기 이론에 관한 소고. 연세 행정논총 1991; 16: 78-97 

  11. 예방의학편집위원회, 예방의학과 공중보건, 서울:계축문화사 3판. 2002 

  12. 조홍준. [2006 연중기획 함께 넘자, 양극화] 건강불평등사회-흡연이 계층을 가린다. 한겨례신문. 2006.1.27일자, 기획기사면 

  13. 한국금연운동협의회. 성인의 흡연율 조사. 한국금연운동협의회, 2002 

  14. Andrews RL, Herne JT. Effects of Primary grades health curricculum Project on Student and Parents smoking attitudes and behavior. J School Health. 1984;l54(1):18-20 

  15. Curry S, Wagner EH, Grothaus LC.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for Smoking Cessation. J Consult Clin Psychol. 1990;58(3):310-316 

  16. Hammond EC, Horn D. Smoking and Death rate. J Am Med Association. 1958; l4:166-170 

  17. Holbrook JH. Nicotine addition. In: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4th ed. Columbus:McGraw-Hill, 1998:2516-9 

  18. Lichtenstein E, et al. Tobacco cessation interventions in health care settings: rationale, model, outcomes. Addict Behav. 1996;21(6):709-20 

  19. Matheny KB, Weatherman KE. Predictors of Smoking Cessation and Maintenance. Clin Psychol. 1998;54(2):223-235 

  20. McCuller WJ, Sussman S, Wapner M, Dent C, Weiss DJ. Motivation to quit as a mediator of tobacco cessation among at-risk youth. Addictive Behaviors. 2005;9:14-21 

  21. Norman H, Mary S, Judlith O, Gregory G. Base-line Factors associated with smoking cessation and relapse. Preventive Medicine. 1991;20.:590-601 

  22. Richmond RL, Kehoe LA, Webster IW. Multivariate models for predicting abstention following intervention to stop smoking by general practitioners. Addition. 1993;88(8): 1127-1135 

  23. Sussman S, Lichtman K, Dent C W. Use of Focus Groups for Adolescent Tobacco Use Cessation. Handbook of program development for health behavior research & practice. Thousand Oaks; Califonia, SAGE Publication, 2001 

  24. U.S.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Reducing Tobacco Use: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Atlanta, Georgia:U.S.DHH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ational Center for Chronic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office on Smoking and Health,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