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로니아(Aronia melanocarpa)로부터 유래한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알레르기 효능
Antioxidative and Antiallergic Effects of Aronia (Aronia melanocarpa) Extrac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9, 2008년, pp.1109 - 1113  

정종문 (수원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아로니아 추출물의 항산화제와 항알레르기 치료제로써의 유효성을 알아보기 위해 페놀성 화합물플라보노이드 함량과 DPPH 라디칼 포착효능, superoxide 음이온 라디칼 포착효능, 5-LO억제 효능 및 COX억제효능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아로니아는 유효성분으로 예상되는 페놀성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가 각각 $745.4{\pm}3.7\;mg/g$, $74.63{\pm}2.2\;mg/g$으로 상당량 함유되어 있으며, 상당히 낮은 농도($6.15{\pm}0.343\;ppm$, $6.99{\pm}1.26\;ppm$)에서 DPPH 라디칼과 superoxide 음이온 라디칼을 50% 소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로니아의 항알레르기 효능에 관하여 5-LO의 $IC_{50}$값이 $47.07{\pm}0.15\;ppm$으로, EGCG의 $IC_{50}(15.83{\pm}0.98\;ppm)$보다는 높았지만 아로니아가 EGCG와 같은 단일물질이 아니라 천연혼합물임을 감안하여 다른 천연물들의 $IC_{50}$값과 비교하였을 때 5-LO를 비교적 낮은 농도에서 억제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COX-1과 COX-2의 저해 비율 비교를 통해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EGCG만큼 COX-2를 선택적으로 저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에 따르면 아로니아 추출물은 항산화 및 항알레르기 효능을 갖고 있으며, 따라서 알레르기성 비염이나 아토피와 같은 알레르기 관련 질병 치료에 유효하게 사용될 것이라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and antiallergic effects of aronia extract. The aronia extract was tested for various antioxidative potentials (scavenging activity of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and superoxide anion radical) and inhibitory effect of 5-...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아로니아 추출물의 항산화제와 항알레르기 치료제로써의 유효성을 알아보기 위해 페놀성 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DPPH 라디칼 포착효능, superoxide 음이온 라디칼 포착효능, 5-LO억제 효능 및 COX억제효능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아로니아는 유효성분으로 예상되는 페놀성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가 각각 745.
  • 본 연구에서는 아로니아의 항산화 효과와 항알레르기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아로니아의 추출물에 대한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라디칼, superoxide 음이온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고, 알레르기 관련 염증매개 물질인 류코트리엔류와 프로스타글란딘류를 생성하는 5-LO와 COX의 억제능을 측정하였다. 이전에 보고된 아로니아의 항산화 효과(3)는 아로니아에서 안토시아닌(antocyanin)을 분리하여 측정된 반면 본 연구에서는 아로니아의 추출물 자체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로니아란? 블랙 초크베리(black chokeberry)라고 불리는 아로니아(Aronia melanocarpa)는 장미과(Rosaceae)에 속하는 베리류의 식물열매로 원래는 북부 아메리카 지역에서 자생한다(1). 18세기에 유럽에 소개되어 재배된 아로니아는 맛과 색과 향이 좋아 잼, 와인, 쥬스, 차로 사용하는 등 다양한 식자재로서의 이용 가치가 높다(2).
아로니아 추출물의 항산화제와 항알레르기 치료제로써의 유효성을 알아보기 위해 페놀성 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DPPH 라디칼 포착효능, superoxide 음이온 라디칼 포착효능, 5-LO억제 효능 및 COX억제효능을 측정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는 아로니아 추출물의 항산화제와 항알레르기 치료제로써의 유효성을 알아보기 위해 페놀성 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DPPH 라디칼 포착효능, superoxide 음이온 라디칼 포착효능, 5-LO억제 효능 및 COX억제효능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아로니아는 유효성분으로 예상되는 페놀성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가 각각 745.4±3.7 mg/g, 74.63±2.2 mg/g으로 상당량 함유되어 있으며, 상당히 낮은 농도(6.15±0.343 ppm, 6.99±1.26 ppm)에서 DPPH 라디칼과 superoxide 음이온 라디칼을 50% 소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로니아의 항알레르기 효능에 관하여 5-LO의 IC50값이 47.07±0.15 ppm으로, EGCG의 IC50(15.83±0.98 ppm)보다는 높았지만 아로니아가 EGCG와 같은 단일물질이 아니라 천연혼합물임을 감안하여 다른 천연물들의 IC50값과 비교하였을 때 5-LO를 비교적 낮은 농도에서 억제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COX-1과 COX-2의 저해 비율 비교를 통해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EGCG만큼 COX-2를 선택적으로 저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에 따르면 아로니아 추출물은 항산화 및 항알레르기 효능을 갖고 있으며, 따라서 알레르기성 비염이나 아토피와 같은 알레르기 관련 질병 치료에 유효하게 사용될 것이라 생각된다.
아로니아 열매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과 그 효능은? 18세기에 유럽에 소개되어 재배된 아로니아는 맛과 색과 향이 좋아 잼, 와인, 쥬스, 차로 사용하는 등 다양한 식자재로서의 이용 가치가 높다(2). 아로니아 열매에 함유되어 있는 다량의 안토시아닌과 그밖에 다른 플라보노이드류 성분은 항산화효과, 위보호효과(3), 항염증효과(4), 항당뇨효과(5), 면역조절기능활성(6) 등 다양한 생리적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로니아는 일반적으로 수분 8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Tsuneo T, Akira T. 2001. Chemical components and characteristics of black chokeberry. Nippon Shokuhin Kagaku Kogaku Kaishi 48: 606-610 

  2. Sueiro L, Yousef GG, Seigler D, De Mejia EG, Grace MH, Lila MA. 2006. Chemopreventive potential of flavonoid extracts from plantation-bred and wild Aronia melanocarpa (black chokeberry) fruits. J Food Science 71: C480-C488 

  3. Niedworok J, Jankowska B, Kowalczyk E, Charyk K, Kubat Z. 1997. Antiulcer activity of anthocyanin from Aronia melanocarpa Elliot. Herba Polonica 43: 222-227 

  4. Ohgami K, Ilieva I, Shiratori K, Koyoma Y, Jin X, Yoshida K, Kase S, Kitaichi N, Suzuki Y, Tanaka T, Ohno S. 2005. Anti-inflammatory effect of aronia extract on rat endotoxin-induced uveitis. Invest Ophthalmol Vis Sci 46: 275-281 

  5. Jankowski A, Niedworok J, Jankowska B. 1999. The influence of aronia melanocarpa elliot on experimental diabetes in the rats. Herba Polonica 45: 345-353 

  6. Gasiorowski K, Brokos B, Tabaka H. 2000. Evaluation of the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four compounds exerting antimutagenic effects on human lymphocytes in vitro. Cell Mol Biol Lett 5: 469-481 

  7. Cha HS, Youn AR, Park PJ, Choi HR, Kim BS. 2007. Comparison of physiological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Miquel during matur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683-688 

  8. Jeppsson N, Johansson R. 2000. Changes in fruit quality in black chokeberry (Aronia melanocarpa) during maturation. J Hort Sci Biotechnol 73: 340-345 

  9. Naruszewicz M, Daniewski M, Laniewska I, Pikto-Pietkiewicz W, Millol B, Zapolska-Downar D. 2003. Effect of anthocyanins from chokeberry (Aronia melanocarpa) on blood pressure, inflammatory mediators and cell adhesion molecules in patients with a history of myocardial infarction (MI). XIII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Atherosclerosis 

  10. Park MH, Choi C, Son GM, An BJ, Bae MJ. 2000. Effect of polyphenol compounds from persimmon leaves (Diospyros kaki folium) on antiallergy.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116-119 

  11. Kim KM. 1996. Screening of anti-allergic agents using lipoxygenase assay and degranulation marker. J Drug Research (C.N.U) 5: 45-48 

  12. Kim KB, Lee EG, Chai OH, Song CH, Jeong JM. 2007. Inhibitory effect of phyto-extract mixture (PEM381) on type I allergic reac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55-162 

  13. Jew SS, Bae ON, Chung JH. 2003. Anti-inflammatory effects of asiaticoside on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nd cyclooxygenase-2 in RAW 264.7 cell line. J Toxicol Pub Health 19: 33-37 

  14. Gutfinger T. 1981. Polyphenol in olive oils. JAOCS 58: 966-972 

  15. Kim EJ, Lee HJ, Kim HJ, Nam HS, Lee MK, Kim HY, Lee JH, Kang YS, Lee JO, Kim HY. 2005. Comparison of colorimetric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in propolis extract product.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918-921 

  16. Yasushi S, Tsukase N, Keiko S, Hiroe Y, Hisashi Y. 1999. Stopped-flow and spectrophotometric study on radical scavenging by tea catechins and model compound. Chem Pharm Bull 47: 1369-1374 

  17. Block E, Iyer R, Grisoni S, Saha C, Belman S, lossing P. 1988. Lipoxygenase inhhibitors from the essential oil of galic. Markovnikov addition of the allydithio radical to olefins. J Am Chem Soc 110: 7813 

  18. Reddy CM, Bhat VB, Kiranmai G, Reddy MN, Reddanna P, Madyastha KM. 2000. Selective inhibition of cyclooxygenase-2 by C-phycocyanin, a biliprotein from Spirulina platensis. Biochem Biophys Res Commun 277: 599-603 

  19. Lee KD, Kim JS, Bae JO, Yoon HS. 1992. Antioxidative effectiveness of water extract and ether in wormwood (Artemisia montana pampan). J Korean Soc Food Nutr 21: 17-22 

  20. Jeong HJ, Park SB, Kim S, Kim HK. 2007.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wild grape (Vitis coignetiae) extracts depending on ethanol concentra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491-1496 

  21. Kawaguchi K, Mizuno T, Aida K, Uchino K. 1997. Hesperidin as an inhibitor of lipases from porcine pancreas and pseudomonas. Biosci Biotechnol Biochem 61: 102-104 

  22. Cha JY, Kim SY, Jeong SJ, Cho YS. 1999. Effects of hesperetin and naringenin on lipid concentration in oratic acid treated mice. Korean J Life Science 9: 389-394 

  23. Nishikawa H, Kitani S. 2008. Tea catechins have dual effect on mast cell degranulation induced by compound 48/80. Int Immunopharmacol 8: 1207-1215 

  24. Yamamoto MM, Inagaki N, Kitaura J, Chikumoto T, Kawahara H, Kawakami Y, Sano M, Miyase T, Tachibana H, Nagai H, Kawakami T. 2004. O-Methylated catechins from tea leaves inhibit multiple protein kinases in mast cells. J Immunol 172: 4486-4492 

  25. Hakkinen S, Heinonen M, Karenlampi S, Mykkanen H, Ruuskanen J, Torronen R. 1999. Screening of selected flavonoids and phenolic acids in 19 berries. Food Res Int 32: 345-353 

  26. Park YK, Lee WY, Ahn JK. 2006. Current review on the study of antioxidants development from forest resources. Trends in Agriculture & Life Sciences 4: 1-13 

  27. Ramarathnam N, Osawa T, Ochi H, Kawakishi S. 1995. The contribution of plant food antioxidants to human health trends. Food Sci Technol 6: 75-82 

  28. Lee HJ, Ryu JH. 2000. Screening of leukotriene B4 receptor antaginist activity from the herbal drugs. Kor J Pharmacogn 31: 273-279 

  29. Lee SY, Lee SH, Jung KH, Kim BG, Jung HC, Kim KK, Kwon YH, Kim JH, Lee JH. 2000. The effects of cyclooxygenase-2 (COX-2) inhibitor on COX-2 and prostaglandin E2 expression in ovalbumin induced early phase bronchoconstriction of rats. Tuberculosis and Respitatory Diseases 48: 191-2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