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조방법에 따른 아로니아(Aronia melancocarpa)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함량 및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Hot-Water Extracts of Aronia (Aronia melancocarpa) with Different Drying Method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6 no.3, 2014년, pp.303 - 308  

황은선 (한경대학교 영양조리과학과) ,  뉴안 도티 (한경대학교 영양조리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아로니아 열수추출물 분말을 제조하여 가공식품에 적용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다양한 건조방법이 아로니아의 항산화 성분 함량 및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신선한 아로니아를 일광건조, 스팀 후 일광건조, 동결건조 및 오븐건조의 방법으로 완전히 건조시킨 후 분말로 제조하여 $100^{\circ}C$에서 6시간 동안 3회 반복 열수 추출하여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안토시아닌 함량을 분석하였다. 아로니아의 총 폴리페놀 함량(mg gallic acid/g 기준)은 동결건조한 시료에서 가장 높았으며, 스팀 후 일광건조 > 일광건조 > 및 오븐건조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아로니아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quercetin을 기준으로 동결건조한 시료에서 가장 높았으며, 스팀 후 일광건조 > 일광건조 > 오븐건조의 순으로 나타났다. 아로니아에 함유된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cyanidin-3-glucoside를 기준으로 동결건조 > 일광건조 > 스팀 후 일광건조 > 오븐건조의 순으로 나타났다. 아로니아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hydroxyl 라디칼 소거능, superoxide anion 라디칼 소거능 및 환원력의 5가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4가지 건조방법 중에서 동결건조 시료에서 항산화 활성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오븐건조한 시료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건조방법이 아로니아의 항산화 성분 함량과 항산화 활성에 영향을 주며 고온의 건조방법보다는 저온의 동결건조 방법이 아로니아의 유효성분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최적의 방법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termined the antioxidant levels and activities of hot water aronia extracts by different drying methods such as sun drying, sun drying after steam treatment, freeze-drying, and oven drying.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calculated as gallic acid equivalent, was the highest in the freez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아로니아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4가지 방법(일광건조, 스팀 후 일광건조, 동결건조 및 오븐건조)으로 아로니아를 건조시켜 분말화 하였다. 분말 아로니아에 함유된 폴리페놀, 안토시아닌, 플라보노이드 등과 같이 수용성 항산화 성분을 열수 추출하여 각각의 건조방법에 따른 항산화 성분 함량 변화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여 가장 우수한 건조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아로니아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4가지 방법(일광건조, 스팀 후 일광건조, 동결건조 및 오븐건조)으로 아로니아를 건조시켜 분말화 하였다. 분말 아로니아에 함유된 폴리페놀, 안토시아닌, 플라보노이드 등과 같이 수용성 항산화 성분을 열수 추출하여 각각의 건조방법에 따른 항산화 성분 함량 변화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여 가장 우수한 건조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아로니아 열수추출물 분말을 제조하여 가공식품에 적용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다양한 건조방법이 아로니아의 항산화 성분 함량 및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신선한 아로니아를 일광건조, 스팀 후 일광건조, 동결건조 및 오븐건조의 방법으로 완전히 건조시킨 후 분말로 제조하여 100℃에서6시간 동안 3회 반복 열수 추출하여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및 안토시아닌 함량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활성산소가 체내에 과량 존재하면 어떻게 되는가? 산소는 인간의 생존에 꼭 필요한 물질인 반면, 또한 독성을 지닌 물질로 작용할 수 있다. 산소의 대사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만들어지는 활성산소(active oxygen)가 체내에 과량 존재하면 단백질, 지방, 효소, DNA 대사 등을 교란시키고 체내의 항상성을 파괴하며, 질병과 노화를 촉진시킨다(1,2). 역학조사에 따르면 과일과 채소를 많이 섭취하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각종 질병 발생의 위험이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4).
동결건조 방법의 장점은 무엇인가? 과거에는 자연건조의 방법을 주로 사용하여 왔으나, 최근에는 열풍건조, 진공건조, 동결건조 방법 등의 신속하고 위생적인 방법들이 활용되고 있다. 동결건조는 지금까지 개발된 건조 방법 중 첨단 건조방법의 하나로 열에 민감한 물질의 손상을 최소화시키는 장점이 있다(14).
과일과 채소에 풍부한 성분은 무엇이 있는가? 역학조사에 따르면 과일과 채소를 많이 섭취하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각종 질병 발생의 위험이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4). 이는 과일과 채소에 풍부한 폴리페놀화합물, 플라보노이드, 비타민C, 베타카로틴, 안토시아닌 등의 항산화 물질이 활성산소의 형성 및 축적을 억제하는데 기인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5,6). 따라서 질병과 노화예방을 위해 과일과 채소에 함유된 다양한 천연 항산화물질을 발굴하고 적절한 가공방법을 통해 항산화 활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연구가 끊임없이 지속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Bohr VA. Repair of oxidatve DNA damage in nuclear and mitochondrial DNA, and some changes with aging in mammalian cells. Free Radic. Biol. Med. 32: 804-812 (2002) 

  2. Seitz HK, Stickel F. Risk factors and mechanisms of hepatocarcinogenesis with special emphasis on alcohol and oxidative stress. Biol. Chem. 387: 349-360 (2006) 

  3. Go VL, Wong DA, Wang Y, Butrum RR, Norman HA, Wilkerson L. Diet and cancer prevention: evidence-based medicine to genomic medicine. J. Nutr. 134: 3513S-3516S (2004) 

  4. Hung HC, Joshipura KJ, Jiang R, Hu FB, Hunter D, Smith-Warner SA, Colditz GA, Rosner B, Spiegelman D, Willett WC. Fruit and vegetable intake and risk of major chronic disease. J. Natl. Cancer Inst. 96: 1577-1584 (2004) 

  5. Das DK, Sato M, Ray PS, Maulik G, Engleman RM, Bertelli AAE, Bertelli A. Cardioprotection of red wine: Role of polyphenolic antioxidants. Drug Exp. Clin. Res. 25: 115-120 (1999) 

  6. Ahn J, Gammon MD, Santella RM, Gaudet MM, Britton JA, Teitelbaum SL, Terry MB, Nowell S, Davis W, Garza C, Neugut AI, Ambrosone CB. Associations between breast cancer risk and the catalase genotype,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nd supplement use. Am. J. Epidemiol. 162: 943-952 (2005) 

  7. Wu X, Gu L, Prior RL, McKay S. Characterization of anthocyanins and proanthocyanidins some cultivars of Ribes, Aronia, and Sambucus and their antioxidant capacity. J. Agr. Food Chem. 52: 7846-7856 (2004) 

  8. Sueiro L, Yousef GG, Seigler D, De Mejia EG, Grace MH, Lila MA. Chemopreventive potential of flavonoid extracts from plantation-bred and wild Aronia melancocarpa (black chokeberry) fruit. J. Food Sci. 71: C480-C488 (2006) 

  9. Oszmianski J, Wojdylo A. Aronia melancocarpa phenolic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Eur. Food Res. Technol. 221: 809-813 (2005) 

  10. Kim B, Ku CS, Pham TX, Park Y, Martin DA, Xie L, Taheri R, Lee J, Bolling BW, Aronia melancocarpa (chokeberry) polyphenol-rich extract improves antioxidant function and reduces total plasma cholesterol in apolipoprotein E knockout mice. Nutr. Res. 33: 406-413 (2013) 

  11. Sharif T, Stambouli M, Burrus B, Emhemmed F, Dandache I, Auger C, Etienne-Selloum N, Schini-Kerth VB, Fuhrmann G. The polyphenolic-rich Aronia melancocarpa juice kills teratocarcinomal cancer stem-like cells, but not their differentiated counterparts. J. Funct. Food 5: 1244-1252 (2013) 

  12. Bridle P, Timberlake CF. Anthocyanins as natural food colorsselected aspects. Food Chem. 58: 103-109 (1997) 

  13. Kurozawa LE, Terng I, Hubinger MD, Park KJ. Ascorbic acid degradation of papaya during drying: Effect of process conditions and glass transition phenomenon. J. Food Eng. 123: 157-164 (2014) 

  14. Ezhilarasi PN, Indrani D, Jena BS, Anandharamakrishnan C. Freeze drying technique for microencapsulation of Garcinia fruit extract and its effect on bread quality. J. Food Eng. 117: 513-520 (2013) 

  15. Singleton VL, Orthofer R, Lamuela-Raventos RM. Analysis of total phenols and other oxidation substrates and antioxidants by means of Folin-Ciocalteu reagent. Method Enzymol. 299: 152-178 (1999) 

  16. Giusti MM, Wrolstad RE. Characterization and measurement of anthocyanins by UV-visible spectroscopy. pp. 19-31. In: Handbook of Food Analytical Chemistry. John Wiley & Sons, Hoboken, NJ, USA (2001) 

  17. Cheung LM, Cheung Peter CK, Ooi Vincent EC.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ehnolics of edible mushroom extracts. Food Chem. 81: 249-255 (2003) 

  18.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1999) 

  19. Chung SK, Osawa T, Kawakishi S. Hydroxyl radical-scavenging effects of spices and scavengers from brown mustard (Brassica nigra). Biosci. Biotech. Biochem. 61: 118-123 (1997) 

  20. Wang J, Yuan X, Jin Z, Tian Y, Song H. Free radical and reactive oxygen species scavenigng activities of peanut skins extract. Food Chem. 104: 242-250 (2007) 

  21. Oyaizu M. Studies on product of browning reaction.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eamine. Japanese. J. Nutr. Diet. 44: 307-315 (1986) 

  22. Jeong JM. Antioxidative and antiallergic effects of aronia (Aronia melancocarpa)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109-1113 (2008) 

  23. Park YK, Cho SH, Kim SH, Jang YS, Han JY, Chun HG. Function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from the fruits Rubus coreanus according to cultivars. Mokchae Konghak 36: 102-109 (2008) 

  24. Kim JM, Shin M. Characteristics of Rubus coreanus Miq. fruits at different ripening stag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341-347 (2011) 

  25. Hakkinen S, Heinonen M, Karenlampi S, Mykkanen H, Ruuskanen J, Torronen R. Screening of selected flavonoids and phenolic acids in 19 berries. Food Res. Int. 32: 345-353 (1999) 

  26. Kim MJ, Kim IJ, Nam SY, Lee CH, Un T, Song BH. Effects of drying methods on content of active components, antioxidant activity, and color values of Saururus chinensis Bail. Korean J. Med. Crop Sci. 14: 8-13 (2006) 

  27. Kim MJ, Chu WM, Park EJ. Antioxidant and antigenotoxic effects of shiitake mushrooms affected by different dry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041-1048 (2012) 

  28. Peleg H, Naim M, Rouseff RL, Zehavi U. Distribution of bound and free phenolic acids in oranges (Citrus sinensis) and grapefruit (Citrus paradisi). J. Sci. Food Agr. 57: 417-426 (1991) 

  29. Yook HS, Kim KH, Jang SA.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ape pomace with different dry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353-1358 (2010) 

  30. Thongchai W, Liawruangrath B, Liawruangrath S. Flow injection analysis of total curcuminoids in turmeric and antioxidant capacity using 2,2'-diphenyl-1-picrylhydrazyl assay. Food Chem. 112: 494-499 (2009) 

  31. Hochstein P, Atallah AS. The nature of oxidants and antioxidant systems in the inhibition of mutation and cancer. Mutat. Res. 202: 363-375 (1988) 

  32. Klompong V, Benjakul S, Kantachote D, Shahidi F. Antioxidative activity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protein hydrolysate of yellow stripe trevally (Selaroides leptolepis) as influenced by the degree of hydrolysis and enzyme type. Food Chem. 102: 1317-1327 (2007) 

  33. Jeong CH, Nam EK, Shim KH.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nitrate scavenging activity in different parts of Erigeron annuus. J. Agric. Life Sci. 40: 13-29 (2006) 

  34. Oh HK. Nutritional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different parts of Taraxacum coreanum according to drying methods. J. Korean Diet. Assoc. 19: 389-399 (2013) 

  35. Choi YM, Yu KW, Han NS, Koh JH, Lee JS.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oxidant compounds of commercial red win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286-1290 (2006) 

  36. Park YK, Choi SH, Kim SH, Han JG, Chung HG. Changes in antioxidant activity, total phenolics and vitamin C content during fruit ripening in Rubus occidentalis. Korean J. Plant Res. 20: 461-465 (2007) 

  37. Jeong CH, Choi SG, Heo HJ.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sition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Korean commercial blueberry and raspberr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375-1381 (2008) 

  38. Kim EY, Baik IH, Kim JH, Kim SR, Rhyu MR.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33-338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