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홍국균 발효가 콩의 GABA와 유리아미노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onascus-fermentation on the Content of GABA and Free Amino Acids in Soybea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9, 2008년, pp.1208 - 1213  

표영희 (성신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콩 기질에 대한 홍국균의 접종 발효는 원료 콩에 함유된 GABA와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을 강화시키는 유효한 발효 기법으로 나타났다. 선별된 5가지 균주(M. pilosus IFO 480, M. anka IFO 873, M. kaoliang ATCC 592, M. purpurea IFO 482, M. kaling ATCC 598)로 발효시킨 홍국 발효콩은 비발효콩에 비해 GABA의 함량이 2배 이상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활성이 강한 균은 Monascus pilosus IFO 480으로 나타났다. Monascus pilosus IFO 480으로 $30^{\circ}C$에서 30일간 발효시킨 홍국 발효콩의 발효기간 중 GABA(발효 20일)와 유리아미노산(발효 10일) 함량의 최대 변화는 비발효콩에 비해 각각 2.5배와 5.6배 증가되었다. 특히 발효 20일 경에 GABA의 생성량은 건조 발효콩 100 g당 78.5 mg으로 나타나 비발효콩의 31.5 mg에 비해 149% 증가된 것으로 비교되었다. 또한 홍국 발효콩에 함유된 필수아미노산의 함유율은 비발효콩에 비해 3.6배 증가되었으며 특히 threonine, leucine, lysine 등의 증가율은 비발효콩에 비해 $12{\sim}24$배까지 두드러져 홍국 발효콩은 이들 아미노산의 강화에 매우 유효한 발효기법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GABA와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이 강화된 홍국 발효콩은 다양한 약리학적 소재뿐 아니라 영양학적 소재류에서도 매우 활용가능성이 높은 복합기능성의 신소재로 평가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hanges in the contents of GABA ($\gamma$-aminobutyric acid) and free amino acids (FAA) were analysed by HPLC in soybean fermented with Monascus pilosus IFO 480, which showed the highest GABA-producing ability among the five different strains. The significant increase (p<0.05) of GAB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실험 결과, 홍국 발효 역시 콩에 다량 함유된 글루탐산을 GABA로 전환할 수 있는 유효한 발효기법의 하나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후의 실험은 mevinolin의 생산량이 가장 높으면서 동시에 GABA 의 함량을 증가시킬 목적으로 M. pilosus IFO 480을 홍국균 발효콩 제조에 사용한 후 그 결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GABA란 무엇인가? 이 때 외부의 스트레스(기계적인 자극, 온도, 산소결핍, 수분, 스트레스)는 GAD의 활성을 유도하는 한편, GABA가 succinic acid로 대사되는 것을 차단하여 GABA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2-5). GABA는 식물과 미생물에서 생합성되는 비단백태 아미노산으로(1), 사람의 신경계와 혈액에 주로 함유되어 있으며 뇌의 골수에 대부분 존재하여 아세틸콜린이라 불리는 신경전달 물질을 증가시켜 뇌기능을 촉진하는 주요한 물질이다(6,7). 특히 연골의 혈관 중추에 작용하여 우수한 혈압강하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8-10).
홍국의 활용 범위는 무엇인가? Monascus속의 홍국균은 홍국균속(Monascaceae)에 속하며 균종에 따라 각기 다른 생물활성을 나타낸다. 중국 및 동아시아의 여러 지역에서 오랫동안 사용해온 홍국(red yeast rice, red koji)은 천연의 식품 착색제나 가공품 및 소화촉진과 혈류개선의 소재로 활용되어 왔다(11,12). 특히 홍국균이 생산하는 콜레스테롤 생합성효소(HMG-CoA reductase) 억제물질인 천연 스타틴(natural statin; monacolin K, mevinolin, lovastatin)의 생산 및 유효성 검증에 관한 최근의 많은 연구결과(11,13,14)는 홍국의 경제적 효용가치를 시사하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glutamate decarboxylase의 활성을 유도하는 외부의 스트레스 요인은 무엇인가? 콩 단백질에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glutamic acid는 glutamate decarboxylase(GAD, 글루탐산 탈탄산효소)에 의해 GABA(γ-aminobutyric acid, C4H9NO2)를 생성하고 succinic acid로 대사된다(1,2). 이 때 외부의 스트레스(기계적인 자극, 온도, 산소결핍, 수분, 스트레스)는 GAD의 활성을 유도하는 한편, GABA가 succinic acid로 대사되는 것을 차단하여 GABA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2-5). GABA는 식물과 미생물에서 생합성되는 비단백태 아미노산으로(1), 사람의 신경계와 혈액에 주로 함유되어 있으며 뇌의 골수에 대부분 존재하여 아세틸콜린이라 불리는 신경전달 물질을 증가시켜 뇌기능을 촉진하는 주요한 물질이다(6,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Shelp BJ, Bown AW, McLean MD. 1999. Metabolism and functions of gamma-aminobutyric acid. Trends in Plant Science 4: 446-452 

  2. Wallace W, Secor J, Schrader LE. 1984. Rapid accumulation of $\gamma$ -aminobutyric acid and alanine in soybean leaves in response to an abrupt transfer to lower temperature, darkness, or mechanical manipulation. Plant Physiol 75: 170-175 

  3. Erlander MJ, Tobin AJ. 1991.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hetero geneity of glutamic acid decarboxylase: a review. Neurochem Res 16: 215-226 

  4. Ueno H. 2000. Enzymatic and structural aspects on glutamate decarboxylase. J Mol Catal 10: 67-79 

  5. Crawford LA, Bown AW, Breitkreuz KE, Guinel FC. 1994. The synthesis of $\gamma$ -aminobutyric acid in response to treatments reducing cytosolic pH. Plant Physiol 104: 865-871 

  6. Guin TWC, Bottiglieri T, Carter SO. 2003. GABA, $\gamma$ -aminobutyric acid, and neurological disease. Ann Neurol 6: 3-12 

  7. Cho YU, Chang JY, Chang HC. 2007. Production of GABA by Lactobacillus buchneri isolated from Kimchi and its neuroprotective effect on neuronal cells. J Microbiol Biotechnol 17: 104-109 

  8. Stanton HC. 1963. Mode of action of $\gamma$ -aminobutyric acids on the cardiovascular system. Arch Int Pharmacodyn 143: 195-204 

  9. Inoue K, Shirai T, Ochiai H, Kasao M, Hayakawa K, Kimura M. 2003. Blood-pressure-lowering effect of a novel fermented milk containing $\gamma$ -aminobutyric acid in mild hypertensives. Eur J Clin Nutr 57: 490-495 

  10. Yamakoshi J, Fukuda S, Satoh T, Tsuji R, Saito M, Obata A, Matsuyama A, Kikuchi M, Kawasaki T. 2007. Antihypertensive and natriuretic effects of less-sodium soy sause containing $\gamma$ -aminobutyric acid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Biosci Biotechnol Biochem 71: 165-173 

  11. Endo A. 1979. Monacolin-K, a new hypocholesterolemic agent produced by Monascus species. J Antibiot 32: 852-854 

  12. Ma J, Li Y, Ye Q, Li J, Hua Y, Ju D, Zhang D, Cooper R, Chang M. 2000. Constituents of red yeast rice, a traditional chinese food and medicine. J Agric Food Chem 48: 5220-5225 

  13. Manzoni M, Rollini M. 2002. Biosynthesis and biotechnological production of statins by filamentous fungi and application of these cholesterol-lowering drugs. App Microbiol Biotechnol 58: 555-564 

  14. Wang IK, Lin-Shiau SY, Chen PC, Lin JK. 2000. Hypotriglyceridemic effect of Ankak (fermented rice product of Monascus sp.) in rat. J Agric Food Chem 48: 3183-3189 

  15. Pyo YH. 2007. Production of a high value-added soybean containing bioactive mevinolin and isoflavones. J Food Sci Nutr 12: 29-34 

  16. Pyo YH, Lee YC. 2007. Production method of Monascusfermented soybean. Korea Patent 10-0734612 

  17. Pyo YH. 2007. Comparison of antioxidant potentials in methanolic extracts from soybean and rice fermented with Monascus sp. Food Sci Biotechnol 16: 451-456 

  18. Pyo YH, Lee TC. 2007. The potential antioxidant capacity and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Monascus-fermented soybean extracts: Evaluation of Monascus-fermented soybean extracts as multifuntional food additives. J Food Sci 72: S218-S223 

  19. Rhyu MR, Kim EY. 2002. The relations between antihypertensive effect and $\gamma$ -aminobutyric acid, mycelial weight and pigment of Monascu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737-740 

  20. Park JS, Lee MR, Kim JS, Lee TS. 1994. Compositions of nitrogen compound and amino acid in soybean paste (Doenjang) prepared with different microbial sourc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609-615 

  21. Kim MH, Kang WW, Lee NH, Kwon DJ, Kwon OJ, Chung YS, Hwang YH, Choi UK. 2007.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made with germinated soybean.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676-680 

  22. Kim TJ, Sung CH, Kim YJ, Jung BM, Kim ER, Choi WS, Jung HK, Chun HN, Kim WJ, Yoo SH. 2007. Effects of soaking-fermentation drying process on the isoflavone and $\gamma$ -aminobutyric acid contents of soybean. Food Sci Biotechnol 16: 83-89 

  23. Pyo YH. 2006. Optimum conditions for production of mevinolin from the soybean fermented with Monascus sp.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256-261 

  24. Mengerink Y, Kutlan D, Toth F, csampai A, Molnar-Perl I. 2002. Advances in the evaluation of the stability and characteristics of the amino acid and amine derivatives obtained with the o-phthaldialdehyde/3-mercaptopropionic acid and o-phthaldialdehyde/N-acetyl-L-cysteine reagents. HPLC-mass spectrometry study. J Chromatogr A 949: 99-124 

  25. Rozan P, Kuo YH, Lambein F. 2000. Free amino acids present in commercially available seedlings sold for human consumption. A potential hazard for consumers. J Agric Food Chem 48: 716-723 

  26. Park KB, Oh SH. 2007. Production of yogurt with enhanced levels of gamma-aminobutyric acid and valuable nutrients using lactic acid bacteria and germinated soybean extract. Bioresource Technol 98: 1675-1679 

  27. Choi SI, Lee JW, Park SM, Lee MY, Ji GE, Park MS, Heo TR. 2006. Improvement of GABA production using cell entrapment of Lactobacillus brevis GABA 057. J Microbiol Biotechnol 16: 562-568 

  28. Kono I, Himeno K. 2000. Changes in $\gamma$ -aminobutyric acid content during beni-koji making. Biosci Biotechnol Biochem 64: 617-619 

  29. Aoki H, Uda I, Tagami K, Furuya Y, Endo Y, Fujimoto K. 2003. The production of a new Tempeh-like fermented soybean containing a high level of $\gamma$ -aminobutyric acid by anaerobic incubation with Rhizopus. Biosci Biotechnol Biochem 67: 1018-1023 

  30. Baumann U, Bisping B, Rehm HJ. 1991. Content and release of amino acids during the fermentation of tempe by several strains of Rhizopus sp. Dechema Biotechnology Conference. Behrens D, Wiley Europe, Weinheim. Vol 4, p 205-208 

  31. Kono I, Himeno K. 2002. Accumulation of $\gamma$ -aminobutyric acid in beni-koji after anaerobic incubation. J Brew Soc Japan 97: 785-790 

  32. Streeter JG, Thompson JF. 1972. Anaerobic accumulation of $\gamma$ -aminobutyric acid and alanine in radish leaves (Raphanus sativus L.). Plant Physiol 49: 572-578 

  33. Kamiya T. 2002. Biological functions and health benefits of amino acids. Food Ingredients J Jpn 206: 33-44 

  34. Aoyama N, Fukui K, Yamamoto T. 1996. Effect of various forms of force-fed nitrogen sources on gastric transit times in rat. Nippon Eiyo Shokuryo Gakkaishi 49: 46-51 

  35. Hoppe MB, Jha HC, Egge H. 1997. Structure of antioxidant from fermented soybeans (tempeh). J Am Oil Chem Soc 74: 477-47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