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야간 교통사고의 특성 및 사고모형 비교분석 -청주시 4지 신호교차로를 중심으로 -
Comparative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and Models of Traffic Accidents by Day and Nighttime in the Case of Cheongju 4-legged ignalized Intersections 원문보기

大韓土木學會論文集,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D. 교통공학, 도로공학, 시공관리, 정보기술, 지역 및 도시계획, 철도공학,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공학, v.28 no.2D, 2008년, pp.181 - 189  

유두선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  오상진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  김태영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  박병호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주간과 야간의 교통사고 특성과 사고모형을 비교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청주시 4지 신호교차로를 중심으로 주 야간 교통사고의 차이를 검증하고, 주야간별 다중선형, 다중비선형 과 포아송 및 음이항회귀모형을 개발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분석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고특성 분석을 통해 주간과 야간 사고의 차이점이 파악되었다. 둘째, 통계적으로 설명력이 높은 주 야간 총 12개의 사고모형이 개발되었다. 마지막으로 공통변수와 특정변수를 활용하여 주야간 사고모형의 차이가 비교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models of traffic accidents by day and nighttime. In pursuing the above, this study gives particular attentions to testing the differences and developing the models (multiple linear and non-linear and Poisson and negativ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청주시 4지 신호 교차로를 대상으로 하여 사고자료를 주 · 야간으로 구분하고 사고모형을 개발함으로써 사고의 특성에 따른 관련요인의 차이점 분석과 동시에 사고원인을 살펴본다는데 기존연구와의 차별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야간사고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야간사고와 주간사고간에는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가?
  • 본 연구는 주간과 야간의 교통사고 특성과 사고모형을 비교 · 분석하고 사고발생요인의 차이점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중선형회귀모형은 어떻게 구축하였는가? 상관분석 결과에 따라 유의한 것으로 나타난 변수들을 단계적 변수 증감법(stepwise selection method)을 이용하여,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 및 통계적 유의성이 검증되지 않은 독립변수들을 제거하여 모형을 구축하였다.
포아송회귀분석은 어떤 회귀분석인가? 포아송회귀분석은 교통사고가 인구곡선과 같은 정규적인 시계열을 갖지 못하는 특성을 감안하기 위해 비선형적인 측면에서 최우추정법에 의해 평균에 따른 확률로서 해를 찾는 분석방법이다. 하지만 포아송 회귀분석은 사고자료의 과분산으로 인해 과추정되는 오류를 범할 수 있기 때문에 과분산 정도에 따라 음이항회귀분석과 선별하여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 주간과 야간의 교통사고 특성과 사고모형을 비교, 분석하고 사고 발생 요인의 차이점을 밝히는 실험을 진행하여 얻은 주요 결과는? 1. 사고현황 및 특성분석을 통해 주간사고와 야간사고의 차이점을 발견하였다. 야간의 사고율(백만 진입차량 당)이 주간보다 2.56배 많아 야간사고가 더 심각하며, 주간사고는 야간에 비해 많은 차량 및 보행교통량, 그리고 야간사고는 신호위반이 큰 영향을 미쳤다. 2. 통계적으로 설명력이 높은 12개의 모형이 개발되었다. 주간 사고건수 및 EPDO 모형의 경우, 다중선형의 R2 값이 0.553~0.600, 다중비선형은 0.461~0.543, 그리고 포아송 및 음이항모형의 ρ2값은 0.152~0.297로 분석되었다. 야간 사고건수 및 EPDO 모형의 경우, 다중선형의 R2 값이 0.595~0.627, 다중비선형은 0.520~0.623, 그리고 포아송 및 음이항모형의 ρ2값은 0.120~0.301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주간 사고모형 보다는 야간사고모형의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한 모형검증 결과, 다중비선형 모형을 제외한 8개 모형의 실제치와 예측치가 95% 유의수준에서 두 값이 동일하다는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없었다. 3. 공통변수와 특정변수를 활용하여 주·야간 사고모형의 차이가 비교·분석되었다. 모형개발에 의해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교통량, 차로폭, 우회전전용차로, 유턴, 횡단거리, 종단경사, 이중정지선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통수요관리(TDM: Traffic Demand Management)를 통해 교통량을 감소시키는 정책의 변화가 필요하고, 차량주행에 충분한 차로폭이 확보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우회전전용차로 및 유턴구역에서의 서행유도와 위반행위 방지를 위해 과속방지턱 설치, 단속의 강화가 이뤄져야 하며, 아울러 불필요한 이중정지선의 설치를 제한하여 횡단보도 상의 보행자 사고를 줄여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강민욱.도철웅.손봉수(2002) 고속도로 평면 선형상 사고빈도 분포 추정을 통한 음이항 회귀모형개발, 대한교통학회논문집, 대한교통학회, 제20권 제7호, pp. 197-204 

  2. 강승림(2003) 고속도로 선형조건과 GIS기반 교통사고위험도지수 분석,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3. 김효종(1997) 교통사고 유형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4. 남궁헌(2001) 신호교차로 교통사고 예측모형의 개발 및 적용,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5.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2005) 2004년도 청주시 전자교통신호체계 운영자료 및 교통량조사자료 

  6. 류승옥(2005) 고속도로 교차점의 기하구조와 교통사고의 관계설정 및 모형분석, 박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7. 박병호(1995) 충청권의 교통사고 예측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논문집, 대한교통학회, 제13권, 제1호, pp. 63-82 

  8. 박병호.류승옥(2006) 위험한 고속도로 교차점 및 연결로의 규명, 한국지역개발학회논문집, 한국지역개발학회, 제18권 제2호, pp. 23-42 

  9. 박정순.김태영.유두선(2007) 도로환경요인과 교통사고의 상관 분석 및 사고추정모형개발(청주시 4지 신호교차로를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논문집, 대한교통학회, 제25권 제2호, pp. 63-72 

  10. 성낙문(2001) 교통사고예측모델을 이용한 도로의 안전도 평가방법 연구, 교통개발연구원 

  11. 오주택.성낙문.하오근(2005) 국도변 신호교차로 안전성 향상을 위한 사고예측모형개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5권 제1D호 pp. 9-15 

  12. 이기영.이용택(2004) 확률회귀모형을 이용한 고속도로의 사고요인 분석, 도로교통, 제94호, pp. 51-64 

  13. 이두희(2005) 횡단보도 보행자의 동태적 행위관련 안전예측모형개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5권 제3D호 pp.439-445 

  14. 이수범.김정현.홍다희.유창남(2003) 도로등급 및 특성에 따른 교통사고예측모형개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3권 제D4호, pp. 133-144 

  15. 최재성.원제무(2001) 교통공학(개정판), pp. 578-580 

  16. 하태준.강정규.박제진(2001) 신호교차로 교통사고 예측모형의 개발 및 적용, 대한교통학회논문집, 대한교통학회, 제19권 제6호. pp. 207-218 

  17. 홍정열(2002) 신호교차로에서의 사고 예측모델개발 및 위험수준 결정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18. Bonneson, J. A. and Mccoy, P. T., Estimation of safety at two-way stop-controlled intersections on rural highways, TRB 1401 

  19. Chin, H. C. and Quddus, M. A. (2003) Applying the random effect negative binomial model to examine traffic accident occurrence at signalized intersections,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35, pp. 253-259 

  20. FHWA (1999) Crash Models for Rural Intersections : Four-Lane by Two-Lane Stop-Controlled and Two-Lane by Two-Lane Signalized 

  21. Mohamed Abdel-Aty etc. (2006) Crash Estimation at signalized intersections along corridors : analyzing spatial effect and identifying significant factors, TRB 06-1420 

  22. Yan, X., Radwan, E., and Abdel-Aty, M. (2005) Characteristics of rear-end accidents at signalized intersections using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model,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37, pp. 35-46 

  23. Yi, P. and Xiao, Y. (2001) Rule-Based Model For Traffic Accident Visuallization and Analysis, Journal of Computing in Civil Engineerin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