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야간 시인성 증진을 위한 도로안전시설 개발 연구보고서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연구책임자 조혜진
참여연구자 전우훈 , 이종학 , 조원범 , 정소영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6-07
과제시작연도 2005
주관부처 건설교통부
사업 관리 기관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Korea Insitute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등록번호 TRKO200700002899
과제고유번호 1500000077
사업명 건설기술기반구축사업
DB 구축일자 2013-04-18

초록

각 연구 내용별 세부 연구 내용 및 사항은 다음과 같다.
가. 야간 시인싱 관련 안전시설의 특성 연구
(1) 야간 시인성 관련 대상시설의 선정
(2) 대상시설의 성능기준 검토
나. 대상시설의 야간 시인성 성능 검토 및 문제점 검토
(1) 야간 시인성 관련 안전시설의 현장 성능 측정
- 기존 지침에 제시된 시설의 성능과 현장 조사를 통한 성능 측정
(2) 대상시설의 야간 시인성 관련 문제점 검토
- 대상 시설의 야간 시인성 관련 성능, 설치방법, 운영 방법 등 다양한 문제점 검토
(3)

Abstract

The final goals of this research project are to prevent the nighttime road accidents by improving the nighttime visibility and to improve the overall nighttime road safety. To achieve these, we are to evaluate the nighttime related road safety facilities as well as their performance and to provide a

목차 Contents

  • 제 1 장 서론...30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30
  • 1.1.1 연구의 배경...30
  • 1.1.2 연구의 목적...33
  • 1.2 연구내용 및 진행방법...33
  • 1.2.1 연구내용...33
  • 1.2.2 연구 진행방법...37
  • 1.3 연구 방법론 정립...38
  • 제 2 장 도로안전시설의 특성 연구...40
  • 2.1 야간 시인성 관련 대상시설의 선정...40
  • 2.1.1 개요...40
  • 2.1.2 국내 야간 시인성 관련 도로안전시설 관련 연구...41
  • 2.1.3 국외 야간 시인성 도로안전시설 관련 연구...43
  • 2.1.4 대상시설의 선정...47
  • 2.2 대상시설의 국내.외 성능기준 검토...49
  • 2.2.1 개요...49
  • 2.2.2 국내 야간 시인성 관련 도로안전시설...49
  • 2.2.3 국외 야간 시인성 관련 도로안전시설...58
  • 2.3 소결...64
  • 제 3 장 도로안전시설의 성능 검토...66
  • 3.1 국외 도로안전시설 성능개선 연구...66
  • 3.1.1 연구동향...66
  • 3.1.2 표지의 적정 휘도 연구...67
  • 3.1.3 노면표시의 반사성능 연구...69
  • 3.1.4 시선유도시설의 인지에 관한 연구...70
  • 3.1.5 시인성과 위험 등급에 관한 연구...71
  • 3.2 시선유도시설의 성능 조사방법론...73
  • 3.2.1 AASHTO 성능조사 항목...73
  • 3.2.2 성능 측정 항목...74
  • 3.2.3 시설 평가 방법론...75
  • 3.2.4 연구방법론 정립...76
  • 3.3 재귀반사 성능 검토...77
  • 3.3.1 반사성능 측정장비 및 측정방법...77
  • 3.3.2 현장실험 대상구간 및 결과...78
  • 3.3.3 측정결과 분석...84
  • 3.4 차량주행실험을 통한 성능평가...85
  • 3.4.1 실험개요...85
  • 3.4.2 실험계획 및 실험...85
  • 3.4.3 실험결과 분석...89
  • 3.4.4 결론...95
  • 3.5 현장조사 및 이용자/관리자 설문조사...96
  • 3.5.1 현장조사...96
  • 3.5.2 설문조사...99
  • 3.6 소결...101
  • 제 4 장 안전시설의 성능기준 개선연구...104
  • 4.1 성능기준 개선을 위한 문제제기...104
  • 4.2 성능기준개선 실험...107
  • 4.2.1 연구목적 및 방법...107
  • 4.2.2 실험설계...108
  • 4.2.3 실험 개요...113
  • 4.3 시선유도표지 실험 결과...114
  • 4.3.1 응답분석...114
  • 4.3.2 성능기준별 상세 분석...116
  • 4.3.3 모형 구축...121
  • 4.4 갈매기표지 실험결과...122
  • 4.4.1 응답분석...122
  • 4.4.2 성능기준별 상세분석...124
  • 4.4.3 모형구축...129
  • 4.5 결론...130
  • 제 5 장 국내외 ITS관련 시인성증진시설 검토...132
  • 5.1 개요...132
  • 5.2 ITS와 연계한 운전자 경고시스템...132
  • 5.2.1 Caltrans의 CAWS...133
  • 5.2.2 내리막길 트럭 속도 경고 시스템...135
  • 5.2.3 콜로라도의 DSWS...136
  • 5.2.4 Adverse Visibility Information System Evaluation(ADVISE)...137
  • 5.2.5 M2S 자동 안개 경고 시스템의 평가...139
  • 5.2.6 자동 운전자 경고 시스템...140
  • 5.2.7 다이나믹 곡선부 경고시스템...140
  • 5.2.8 알칸사스의 workzone 자동경고 시스템...142
  • 5.2.9 Oregon의 'Green Light' 사전승인시스템...143
  • 5.2.10 운전자 졸음방지 경고시스템...144
  • 5.2.11 신호교차로의 자동 보행자감지 시스템...144
  • 5.3 ITS와 연계한 도로안전 관련 요소기무신호 교차로의 보행자 감지 센서...147
  • 5.3.3 Workzone의 야간 시인성 증진시설...150
  • 5.4 도로 기상 정보 시스템...153
  • 5.4.1 환경 센서 스테이션...153
  • 5.4.2 설치 위치 선정...154
  • 5.4.3 설치 기준...155
  • 5.5 소결...157
  • 제 6 장 야간 안전주행지원시스템의 연구 및 개발...158
  • 6.1 개요...158
  • 6.2 본 안전주행 지원시스템의 특성...160
  • 6.3 안전주행지원시스템의 구성요소...161
  • 6.4 안전주행지원시스템의 설계...162
  • 6.4.1 야간 안전주행지원시스템의 의사결정 알고리즘 설계...163
  • 6.5 야간 안전주행 지원시스템의 상세 설계...166
  • 6.5.1 안전주행지원 시스템의 대안 및 시나리오...166
  • 6.5.2 정보표출 매체 및 내용...167
  • 6.6 시스템 개발 및 제작...167
  • 6.6.1. 시스템 제작 시 고려사항...167
  • 6.6.2 시스템의 구성 및 작동원리...168
  • 6.6.3 시스템의 세부 기술사양...170
  • 6.6.4 프로그램...175
  • 6.6.5 시스템 현황 및 현장 운영...177
  • 제 7 장 안전관리시스템의 요소기술 개발...182
  • 7.1 개요...182
  • 7.2 시정 및 노면센서를 이용한 도로시정 경고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183
  • 7.2.1 시스템 개발의 배경...183
  • 7.2.2 시스템 개발의 목적...184
  • 7.2.3 시스템의 구성...184
  • 7.2.4 시스템 작동 단계...187
  • 7.2.5 안전관리 시스템 현장설치 예시도...189
  • 7.2.6 시스템 설치 효과...189
  • 7.3 차로이탈감지시스템 개발 및 제작...190
  • 7.3.1 시스템 개발의 배경...190
  • 7.3.2 시스템 개발의 목적 및 특징...191
  • 7.3.3 시스템의 구성...192
  • 7.3.4 시스템의 기대 효과...193
  • 제 8 장 국내 야간 교통사고 특성분석...194
  • 8.1 개요...194
  • 8.2 전체 교통사고 분석...195
  • 8.2.1 교통사고 발생 현황...195
  • 8.2.2 주.야별 교통사고 분석...196
  • 8.2.3 시간대별 교통사고 분석...197
  • 8.2.4 야간사고 유형별 교통사고 분석...199
  • 8.2.5 도로선형별 교통사고 분석...200
  • 8.2.6 도로폭별 교통사고 분석...202
  • 8.2.7 기상상태별 교통사고 분석...203
  • 8.2.8 법규위반별 교통사고 분석...205
  • 8.3 일반국도 야간 사망사고 분석...206
  • 8.3.1 자료 수집...206
  • 8.3.2 주야별.도로유형별...208
  • 8.3.3 법규위반별...209
  • 8.3.4 법규위반별 도로유형별...210
  • 8.3.5 사고유형별...212
  • 8.3.6 차대사람 사고유형의 상세분석...215
  • 8.3.7 기상상태별...217
  • 8.3.8 표면상태별...220
  • 8.3.9 사고유형별.도로유형별 사망사고...221
  • 8.3.10 시간대별 사망사고...223
  • 8.3.11 도로유형별.사고유형별 중앙선침범 사망사고...224
  • 8.3.12 기하구조에 따른 사망사고 상세분석...225
  • 8.4 소결...230
  • 제 9 장 도로 위험등급 이론 정립...234
  • 9.1 개요...234
  • 9.2 안전도평가 방법론 고찰...234
  • 9.2.1 전통적인 안전도평가 방법...235
  • 9.2.2 베이지언 이론을 적용 방법...237
  • 9.2.3 국내 위험지점 평가방법...240
  • 9.3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고찰...242
  • 9.3.1 개별적 설계 변수...242
  • 9.3.2 선형의 연속성...247
  • 9.3.3 검토 결과 및 연구의 착안점...252
  • 9.4 야간 시인성 증진을 위한 연구...252
  • 9.4.1 표지병과 노면표시의 비교...252
  • 9.4.2 시인성 증진을 위한 시선유도표지의 정의...255
  • 9.4.3 노면표시의 성능 평가...258
  • 9.4.4 노면조건에 따른 노면표시의 야간 시인성과 반사성능...264
  • 9.5 위험 등급 정립관련 연구결과 고찰...270
  • 9.5.1 유럽의 SAFESTAR(Signing and Marking of Substandard Curves on Rural Roads)...270
  • 9.5.2 도로선형 안전성의 위험등급 (Lamm, R. 등, 1999)...272
  • 9.6 평가지표의 선정...273
  • 9.6.1 곡선반경...273
  • 9.6.2 종단경사...274
  • 9.6.3 큰곡선 작은곡선 비 (R/r)...274
  • 9.6.4 야간교통사고 특성...276
  • 9.7 소결...276
  • 제 10 장 도로 위험등급 정립...278
  • 10.1 도로 위험등급 정립 기준...278
  • 10.1.1 야간 위험요소 정립...278
  • 10.2 야간 안전성 조사방법론...288
  • 10.2.1 도로 안전성 평가방법 고찰...288
  • 10.2.2 위험척도 선정...289
  • 10.2.3 위험등급 결정을 위한 현장조사...293
  • 10.3 도로 위험등급 정립...294
  • 제 11 장 시험구간의 선정...296
  • 11.1 개요...296
  • 11.2 시험구간 선정...297
  • 11.3 각 지점의 기하구조 특성 분석...299
  • 11.4 소결...309
  • 제 12 장 현장실험 및 위험등급 정립...312
  • 12.1 현장실험 및 자료수집...312
  • 12.1.1 현장실험...312
  • 12.1.2 자료수집...313
  • 12.2 시험 구간의 교통류 특성 분석...314
  • 12.2.1 남양주 - 유형1...314
  • 12.2.2 가평1 - 유형 2...317
  • 12.2.3 가평2 - 유형 3...320
  • 12.2.4 여주2 - 유형 4...323
  • 12.2.5 여주1 - 유형 5...325
  • 12.2.6 홍천 - 유형 6...327
  • 12.3 차로별 평균속도와 평균 측방위치의 비교...330
  • 12.4 위험등급별 교통류 특성 비교 분석...333
  • 12.4.1 유형별 직선-곡선부 평균속도의 비교...333
  • 12.4.2 유형별 직선-곡선부의 평균 속도 동일성 검정...333
  • 12.4.3 유형별 직선부-곡선부의 평균 측방위치의 비교...336
  • 12.4.4 유형별 직선부-곡선부의 평균 측방위치의 동일성 검정...337
  • 12.4.5 유형 별 속도와 측방위치의 관계...340
  • 12.5 결론...343
  • 제 13 장 시험운영 및 효과 검증...346
  • 13.1 개요...346
  • 13.1.1 시험운영 구간의 선정사유 및 특성...346
  • 13.1.2 시스템 설치와 시험운영...347
  • 13.2 시험운영 결과 분석...348
  • 13.2.1 시험운영 구간의 교통류 특성 분석...348
  • 13.2.2 시스템 운영효과 분석...351
  • 제 14 장 결론...360
  • 14.1 결론...360
  • 참고문헌...364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