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배경: ARDS는 다양한 원인으로 초래되는 급성 염증성 폐 질환으로서 인공호흡기 치료 등의 여러 의학적 발전에도 불구하고 사망률이 40~60%로 예후가 좋지 않다. 이러한 환자들의 예후를 예측하는 방법으로 APACHE, SPAPS, MAM 등 방법이 있지만 간편하지가 않아서, ARDS가 염증성 폐질환이란 점에 착안하여서 염증 지표로 흔히 사용하는 ESR, CRP의 ARDS 환자에서 예후 인자로서의 역할을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방 법: 87명의 ARDS 환자들의 중환자실 입원 당시의 ESR, CRP 결과와 APACHE II score 그리고 추적 검사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대상 환자를 생존한 군과 사망한 군으로 나누어서 생존한 환자군에서 총 입원기간, 중환자실 입원기간, 인공 호흡기 치료 기간과 ESR, CRP, APACHE II score들과의 상관관계 및 ESR, CRP의 변화추이와 사망률과의 상관 관계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결 과: 중환자실 입원 당시의 ESR, CRP로는 ARDS 환자의 사망률을 예측하기가 어렸다. 하지만 CRP는 ARDS로 중환자실 치료 후 생존했던 환자군에서 사망했던 환자군에 비해서 치료 초기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중환자실 입원 당시 ESR이 높을수록 ARDS 환자들의 총 입원 기간 및 중환자실 입원기간이 길었다. 결 론: CRP의 초기 변화 및 중환자실 입원 당시의 ESR은 ARDS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is ultimately an inflammatory state. The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ESR) and C-reactive protein (CRP) level are inflammatory marke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value of the ESR, CRP and APACHE II score as prognostic factors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저자들은 ARDS가 여러 가지 원인으로 발생하지만 궁극적으로는 염증 반응에 의해서 발생하는 질환이므로 ARDS 환자의 전신 상태 및 예후가 임상에서 흔하게 검사하는 inflammatory marker인 ESR, CPR와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을 하였다. 그래서 이미 ARDS 환자의 예후 예측 인자로 입증이 된 APACHE II score와 함께 중환자실 입원시의 ESR, CRP 그리고 ESR, CRP의 초기 변화를 확인하여서 환자의 예후(사망률, 총 입원기간, 중환자실 입원 기간, 인공호흡기 사용기간)와 어떠한 상관 관계를 가지는지 연구해보았다.
  • 중환자실에 입원한 후 24시간 이내에 시행한 ESR, CRP 결과와 APACHE II score, 그 후 추적 검사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또 대상 환자를 치료 한 후 생존한 군과 사망한 군으로 나누어 생존한 군에서 총 입원기간, 중환자실 입원기간, 인공호흡기 치료 기간과 ESR, CRP, APACHE II score들과의 상관관계를 검토하였고 ESR, CRP 의 변화 추이와 사망률과의 상관관계에 대해서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생존자를 중환자실 치료 후 ARDS가 호전되어서 퇴원하였거나 일반 병실로 전실된 환자로 정의하였고, 사망자를 중환자실 치료중에 사망하였거나 소생 가능성이 희박하여서 무망 퇴원(hopeless discharge)한 환자로 정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염증 반응을 근간으로 하는 ARDS에서 inflammatory marker인 ESR, CRP가 환자의 예후 예측인자로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에 대해서 조사하였고, 이미 ARDS의 예후 예측인자로 알려진 APACHE II score의 유용성 및 ESR, CRP와의 연관성도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중환자실 입원 당시의 ESR, CRP수치와 APACHE II score 그리고 ESR과 CRP의 초기 변화 정도가 ARDS로 진단받고 중환자실에 치료를 받는 환자들의 예후(사망률, 총 입원기간, 중환자실 입원기간, 인공호흡기 사용기간)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여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연구배경: ARDS는 다양한 원인으로 초래되는 급성 염증성 폐 질환으로서 인공호흡기 치료 등의 여러 의학적 발전에도 불구하고 사망률이 40~60%로 예후가 좋지 않다. 이러한 환자들의 예후를 예측하는 방법으로 APACHE, SPAPS, MAM 등 방법이 있지만 간편하지가 않아서, ARDS가 염증성 폐질환이란 점에 착안하여서 염증 지표로 흔히 사용하는 ESR, CRP의 ARDS 환자에서 예후 인자로서의 역할을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 방 법: 87명의 ARDS 환자들의 중환자실 입원 당시의 ESR, CRP 결과와 APACHE II score 그리고 추적 검사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대상 환자를 생존한 군과 사망한 군으로 나누어서 생존한 환자군에서 총 입원기간, 중환자실 입원기간, 인공 호흡기 치료 기간과 ESR, CRP, APACHE II score들과의 상관관계 및 ESR, CRP의 변화 추이와 사망률과의 상관 관계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이란 무엇인가?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은 다양한 원인으로 초래되는 급성 염증성 폐 질환으로 폐혈관 내피세포 및 폐포세포가 손상을 받은 후 폐포의 주요기능인 가스 교환 및 수분 또는 체액의 폐포내 삼출방지 기능에 이상이 초래되는 병리손상을 포괄적으로 일컫는 증후군이다1,2.
ARDS 환자의 사망률은 어떻게 되는가? ARDS 환자들은 대개 중환자실에서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게 되지만 사망률은 40~60%로 매우 높은 편이다8 . 이러한 이유에서 환자의 중등도를 평가하여 생존율이나 재원기간 등 병의 경과나 예후를 예측하는 것은 치료의 방향 및 적극성의 정도 등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9-11.
일반적으로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에서 나타나는 폐의 형태학적 변화 및 기능적 변화는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ARDS에서 나타나는 폐의 형태학적 변화 및 기능적 변화는 심한 저산소증 및 모세혈관의 투과성 증가로 인한 폐부종과 폐용압률(lung compliance)의 감소 등이다3,4. 1967년 Ashbaugh 등5에 의해 처음으로 기술된 이래 쇼크를 동반한 외상의 합병증으로 주목을 받았고, 1994년 American-European Consensus Conference에서 염증 증후군으로 언급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Spragg R. Surfactant for Acute Lung Injury. Am J Respir Cell Mol Biol 2007;37:377-8. 

  2. Leaver SK, Evans TW.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BMJ 2007;335:389-94. 

  3. Piantadosi CA, Schwartz DA. The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nn Intern Med 2004;141:460-70. 

  4. Huh JW, Lim CM, Jegal YJ, Lee SD, Kim WS, Kim DS, et al. The effect of steroid therapy in patients with late ARDS. Tuberc Respir Dis 2002;52:376-84. 

  5. Ashbaugh DG, Bigelow DB, Petty TL, Levine BE. Acute respiratory distress in adults. Lancet 1967;2:319-23. 

  6. Bone RC, Maunder R, Slotman G, Silverman H, Hyers TM, Kerstein MD, et al. An early test of survival in patients with the adult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the PaO2/FiO2 ratio and its response to conventional therapy. Prostaglandin E1 Study Group. Chest 1989;96:849-51. 

  7. Headley AS, Tolley E, Meduri GU. Infections and the inflammatory response in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Chest 1997;111:1306-21. 

  8. Meduri GU, Headley AS, Golden E, Carson SJ, Umberger RA, Kelso T, et al. Effect of prolonged methylprednisolone therapy in unresolving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JAMA 1998;280:159-65. 

  9. Safavi M, Honarmand A. Comparison of infection probability score, APACHE II, and APACHE III scoring systems in predicting need for ventilator and ventilation duration in critically ill patients. Arch Iran Med 2007;10:354-60. 

  10. Ramirez M. The value of the APACHE II scoring in relation to outcome among post cardiorespiratory arrest patients. Philipp J Intern Med 2001;39:42-7. 

  11. Chen YC, Lin YC, Lin MC, Chang HW, Huang CC, Tsai YH. ICU discharge APACHE II scores help to predict post-ICU death. Chang Gung Med J 2007;30:142-50. 

  12. Knaus WA, Draper EA, Wagner DP, Zimmerman JE. APACHE II: a severity of disease classification system. Crit Care Med 1985;13:818-29. 

  13. Knaus WA, Wagner DP, Draper EA. The APACHE III prognostic system: risk prediction of hospital mortality for critically ill hospitalized adults. Chest 1991;100:1619-36. 

  14. Le Gall JR, Lemeshow S, Saulnier F. A new Simplified Acute Physiology Score (SAPS II) based on a European /North American multicenter study. JAMA 1993;270:2957-63. 

  15. Park JW, Chung SW, Ko SB, Choi YB, Lee KS. Predictive value of C-reactive protein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acute meningitis in adults. J Korean Neurol Assoc 2003;21:248-54. 

  16. Kim SH, Lee WY, Park JY, Park HS, Han HK, Ju HS, et al. Diagnostic value of C-reactive protein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in differentiation of pleural effusions. Tuberc Respir Dis 2003;55:467-77. 

  17. Ha JS, Lee JS, Kim HJ, Moon TG, Chang DK, Lee JH, et al. Comparative usefulness of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and C-creactive protein in assessing the severity of ulcerative colitis. Korean J Gastroenterol 2006;48:313-20. 

  18. Peltola HO. C-reactive protein for rapid monitoring of infection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Lancet 1982;1:980-2. 

  19. Chalmers JD, Singanayagam A, Hill AT. C-reactive protein i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severity in community- acquired pneumonia. Am J Med 2008;121:219-25. 

  20. Hilgenfeldt U, Kellermann W, Kienapfel G, Jochum M. Relationship between angiotensinogen, ${\alpha}$ 1-protease inhibitor elastase complex, antithrombin III and C-reactive protein in septic ARDS. Eur J Clin Pharmacol 1990;38:125-31. 

  21. Povoa P. C-reactive protein: a valuable marker of sepsis. Intensive Care Med 2002;28:235-43. 

  22. Bernard GR, Luce JM, Sprung CL, Rinaldo JE, Tate RM, Sibbald WJ, et al. High-dose corticosteroids in patients with the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N Engl J Med 1987;317:1565-70. 

  23. Meduri GU. The role of the host defence response in the progression and outcome of ARDS: pathophysiological correlations and response to glucocorticoid treatment. Eur Respir J 1996;9:2650-70. 

  24. Hameed MA, Wagas S. Physiological basis and clinical utility of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Pak J Med Sci 2006;22:214-8. 

  25. Cox ML, Rudd AG, Gallimore R, Hodkinson HM, Pepys MB. Real-time measurement of serum C-reactive protein in the management of infection in the elderly. Age Ageing 1986;15:257-66. 

  26. Povoa P, Coelho L, Almeida E, Fernandes A, Mealha R, Moreira P, et al. C-reactive protein as a marker of infection in critically ill patients. Clin Microbiol Infect 2005;11:101-8.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