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배경: COPD는 전세계적으로 유병률, 이환율 및 사망률이 급격히 증가하는 질환으로 환자의 삶의 질을 호전 시키고 사회, 경제적인 질병부담을 줄이기 위해 경증 COPD 환자를 조기에 진단하여 적절히 치료하는데 일차진료의사의 역할이 중요하다. 근거중심을 바탕으로 개발된 GOLD와 같은 COPD 진료지침은 이 목적을 위해 유용하나 우리나라의 진료실태가 반영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근거중심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진료실정이 반영된 진료지침을 개발하기 위해 우리나라 일차진료의사들의 진료 실태를 조사하여 보고한다. 방법: 진료실태는 웹을 기반으로 COPD의 진단, 치료, 위험인자, 교육, 진료지침에 대한 25개의 설문을 포함 제작하였고 총 217명의 일차진료의사가 설문조사에 동의하고 참여하였다. 참여자의 의사경력은 평균 17.7년이며 76.5%가 내과를 전공하였고 지역적으로는 63.6%가 서울, 경기지역에서 진료를 하고 있었다. 결과: 비교적 높은 비율(61.8%)로 폐기능검사기를 보유하고 있지만 실제 진료 시 활용도는 낮은(35.8%) 편임을 알 수 있었다. 안정 시, 급성악화 시 COPD의 치료에서 경구제제의 처방빈도가 흡입제제에 비해서 모두 높았다. COPD의 주요 위험인자인 흡연에 대해서는 흡연여부 확인율, 금연권유율 등이 90% 이상으로 높았으나 금연을 위한 처방에서 금연 성공률이 높은 니코친대체제와 부프로피온의 병용 처방률이 4.3%로 낮았다. COPD 진료지침에 대한 인지도는 56.7%였고 그대로 따르는 경우는 7.3%로 국내 진료실태를 반영한 진료지침의 개발이 요구되며 진료지침의 보급과 확산을 위해서는 진료지침책자를 포함한 인쇄자료의 보급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우리나라 일차진료의사들의 COPD 진료실태는 진단에서 폐기능검사의 보유율에 비해 사용률이 낮고 치료에서 흡입제에 비해 경구제제의 처방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GOLD 진료지침에 대한 인지도는 높으나 그대로 따르는 일차진료의사는 적으므로 이번 진료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근거중심이지만 국내실정을 반영한 COPD 진료지침의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e incidence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is increasing and the disease is becoming an important cause of morbidity and mortality worldwide. It is important to implement evidence-based guidelines by primary care physicians (PCPs) to establish qualified management of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COPD나 관상동맥질환 등 주요질환의 진료지침 개발 시 그 나라의 의료에 있어서 우선순위, 보건 재정적 문제와 더불어 일차진료의사들의 진료실태를 반영하여 진료지침을 개발하지 않으면 실제로 적용하는 일차진료의사들이 따르기 어려운 현실과 동떨어진 진료지침이 될 수 있고 이는 진료지침의 보급, 활용에 큰 장애가 될 수 있다6,14-17. 본 조사연구 결과는 우리나라 COPD 진료지침을 개발, 보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우리나라 일차진료의사의 COPD 진료실태를 처음으로 조사한 결과로 의의가 있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만성폐쇄성폐질환은 무엇인가? 만성폐쇄성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이란 유해한 입자나 가스의 흡입에 의해 발생하는 폐의 비 정상적인 염증반응과 이와 동반하여 완전히 가역적이지 않으며 점차 진행하는 기류제한을 보이는 호흡기 질환이다1,2. 전세계적으로 COPD의 심각성이 강조되고 있는데 이는 COPD가 1990년 전체 사망질환 중 6위였으나 2020년에는 3위가 되리라 예측되고 또 질환으로 인한 장애의 원인으로는 4위가 되리라 예측되므로 COPD로 인한 사회, 경제적 질병부담이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3 .
19990년 COPD는 전체 사망질환 중 몇 위 였나? 만성폐쇄성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이란 유해한 입자나 가스의 흡입에 의해 발생하는 폐의 비 정상적인 염증반응과 이와 동반하여 완전히 가역적이지 않으며 점차 진행하는 기류제한을 보이는 호흡기 질환이다1,2. 전세계적으로 COPD의 심각성이 강조되고 있는데 이는 COPD가 1990년 전체 사망질환 중 6위였으나 2020년에는 3위가 되리라 예측되고 또 질환으로 인한 장애의 원인으로는 4위가 되리라 예측되므로 COPD로 인한 사회, 경제적 질병부담이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3 . 따라서 COPD는 세계보건기구를 비롯하여 각 나라의 보건의료정책에 주요한 관심사가 되고 있다4 .
우리나라의 실정을 반영한 진료지침을 개발해야되는 필요성을 보여주는 예로는 무엇이 있는가? 그러나 우리나라 COPD 진료지침은 GOLD 진료지침을 근간으로 개발한 것이므로 우리나라의 실정을 반영한 진료지침의 개발을 위해서는 국내 일차진료의사의 진료형태를 조사하여 이에 대해 근거중심을 바탕으로 검토하고 또 그 근거수준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천식의 경우 우리나라 일차진료의사들의 흡입제 처방률은 29.7%로 낮고 경구제제의 처방률이 70% 이상으로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13 우리나라 천식 진료지침을 개발할 때 국제적인 천식 진료지침인 GINA 진료지침에 비해 경구제제 사용의 근거확립을 위한 핵심질문(key question)의 설정, 문헌검토, 근거수준의 확립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COPD나 관상동맥질환 등 주요질환의 진료지침 개발 시 그 나라의 의료에 있어서 우선순위, 보건 재정적 문제와 더불어 일차진료의사들의 진료실태를 반영하여 진료지침을 개발하지 않으면 실제로 적용하는 일차진료의사들이 따르기 어려운 현실과 동떨어진 진료지침이 될 수 있고 이는 진료지침의 보급, 활용에 큰 장애가될 수 있다6,14-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Pauwels RA, Buist AS, Calverley PM, Jenkins CR, Hurd SS. Global strategy for the diagnosis,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NHLBI/WHO Global Initiative for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GOLD) Workshop summary.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1;163:1256-76 

  2.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National clinical guideline on management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in adults in primary and secondary care. Thorax 2004;59 Suppl 1:1-232 

  3. Murray CJ, Lopez AD. Alternative projections of mortality and disability by cause 1990-2020: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Lancet 1997;349:1498-504 

  4. Mannino DM, Buist AS. Global burden of COPD: risk factors, prevalence, and future trends. Lancet 2007;370:765-73 

  5. Kim DS, Kim YS, Jung KS, Chang JH, Lim CM, Lee JH, et al. Prevalence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in Korea: a population-based spirometry survey.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5;172:842-7 

  6. Glaab T, Banik N, Rutschmann OT, Wencker M. National survey of guideline-compliant COPD management among pneumologists and primary care physicians. COPD 2006;3:141-8 

  7. Calverley PM, Walker P.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Lancet 2003;362:1053-61 

  8. Calverley PM, Wedzicha JA.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past, present and future. Thorax 2007;62:1026-7 

  9. Sullivan SD, Ramsey SD, Lee TA. The economic burden of COPD. Chest 2000;117:5S-9S 

  10. Menezes AM, Perez-Padilla R, Jardim JR, Muino A, Lopez MV, Valdivia G, et al.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in five Latin American cities (the PLATINO study): a prevalence study. Lancet 2005;366:1875-81 

  11. Buist AS, McBurnie MA, Vollmer WM, Gillespie S, Burney P, Mannino DM, et al. International variation in the prevalence of COPD (the BOLD Study): a population-based prevalence study. Lancet 2007;370:741-50 

  12. Rabe KF, Hurd S, Anzueto A, Barnes PJ, Buist SA, Calverley P, et al. Global strategy for the diagnosis,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GOLD executive summary.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7;176:532-55 

  13. Lee EK. Implementation status of asthma management guideline in Korea. Health and Welfare(Bo-Kun-Bok-JI) Forum 2004;10:45-55 

  14. Rutschmann OT, Janssens JP, Vermeulen B, Sarasin FP. Knowledge of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COPD: a survey of primary care physicians. Respir Med 2004;98:932-7 

  15. Hobbs FD, Erhardt L. Acceptance of guideline recommendations and perceived implementation of coronary heart disease prevention among primary care physicians in five European countries: the Reassessing European Attitudes about Cardiovascular Treatment (REACT) survey. Fam Pract 2002;19:596-604 

  16. Daly C, Clemens F, Lopez-Sendon JL, Tavazzi L, Boersma E, Danchin N, et al. The impact of guideline compliant medical therapy on clinical outcome in patients with stable angina: findings from the Euro Heart Survey of stable angina. Eur Heart J 2006;27:1298-304 

  17. Fretheim A, Schunemann HJ, Oxman AD. Improving the use of research evidence in guideline development: 15. Disseminating and implementing guidelines. Health Res Policy Syst 2006;4:27 

  18. Johannessen A, Omenaas E, Bakke P, Gulsvik A. Incidence of GOLD-define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in a general adult population. Int J Tuberc Lung Dis 2005;9:926-32 

  19. Lindberg A, Jonsson AC, Ronmark E, Lundgren R, Larsson LG, Lundback B. Prevalence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ccording to BTS, ERS, GOLD and ATS criteria in relation to doctor's diagnosis, symptoms, age, gender, and smoking habits. Respiration 2005;72:471-9 

  20. Dales RE, Vandemheen KL, Clinch J, Aaron SD. Spirometry in the primary care setting: influence on clinical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irflow obstruction. Chest 2005;128:2443-7 

  21. Buffels J, Degryse J, Heyrman J, Decramer M. Office spirometry significantly improves early detection of COPD in general practice: the DIDASCO Study. Chest 2004;125:1394-9 

  22. Poels PJ, Schermer TR, van Weel C, Calverley PM. Spirometry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BMJ 2006;333:870-1 

  23. Decramer M, Bartsch P, Pauwels R, Yernault JC. Management of COPD according to guidelines. A national survey among Belgian physicians. Monaldi Arch Chest Dis 2003;59:62-80 

  24. Maleki-Yazdi MR, Lewczuk CK, Haddon JM, Choudry N, Ryan N. Early detection and impaired quality of life in COPD GOLD stage 0: a pilot study. COPD 2007;4:313-20 

  25. Tashkin D, Kanner R, Bailey W, Buist S, Anderson P, Nides M, et al. Smoking cessa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randomised trial. Lancet 2001;357:157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