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학교 폭력의 주요 현상인 집단따돌림에 대해 세계 여러 나라에서 이미 1970년대부터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와 비교해 한국의 왕따 연구는 그 역사가 비교적 짧은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의 불링(bullying)과는 달리 고유한 특성을 지니는 한국의 왕따에 대해 알아보았다. 한국의 왕따가 가지는 현상적 특성으로 집단성, 한 번 피해자가 되면 지속적인 괴롭힘에 노출되는 지속성, 가해자의 범위가 일반학생으로 확대되는 일반성이라 할 수 있다. 외부 환경적 특성으로 한국의 교육환경, 부정적인 가정환경, 집단주의 문화가 있다. 또한 왕따 현상에는 그 참여 역할이 중요한데 크게 세 가지의 구조 틀을 가진다. 즉 가해자, 피해자, 가해-피해자 중심의 구조, 가해자와 피해자를 제외한 중간집단(가해지지자, 방관자, 방어자)에 초점을 맞춘 구조, 마지막으로 가해자, 가해조력자, 가해강화자, 방어자, 피해자, 방관자의 참여역할 구조를 통해 각각의 역할에 따른 심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결과를 설명하였다. 이러한 왕따의 특성을 반영하여, 전 학급을 대상으로 한 방관자 중심의 예방 프로그램과 그 효과에 관해 간략히 설명하고 앞으로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세계적인 학교 폭력의 주요 현상인 집단따돌림에 대해 세계 여러 나라에서 이미 1970년대부터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와 비교해 한국의 왕따 연구는 그 역사가 비교적 짧은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의 불링(bullying)과는 달리 고유한 특성을 지니는 한국의 왕따에 대해 알아보았다. 한국의 왕따가 가지는 현상적 특성으로 집단성, 한 번 피해자가 되면 지속적인 괴롭힘에 노출되는 지속성, 가해자의 범위가 일반학생으로 확대되는 일반성이라 할 수 있다. 외부 환경적 특성으로 한국의 교육환경, 부정적인 가정환경, 집단주의 문화가 있다. 또한 왕따 현상에는 그 참여 역할이 중요한데 크게 세 가지의 구조 틀을 가진다. 즉 가해자, 피해자, 가해-피해자 중심의 구조, 가해자와 피해자를 제외한 중간집단(가해지지자, 방관자, 방어자)에 초점을 맞춘 구조, 마지막으로 가해자, 가해조력자, 가해강화자, 방어자, 피해자, 방관자의 참여역할 구조를 통해 각각의 역할에 따른 심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결과를 설명하였다. 이러한 왕따의 특성을 반영하여, 전 학급을 대상으로 한 방관자 중심의 예방 프로그램과 그 효과에 관해 간략히 설명하고 앞으로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When observing the subjects and seriousness of Korea's Wang-ta, it is urgent that we know the characteristics of Wang-ta and its condition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definition of Wang-ta, which partly differs from bullying. Also, the phenomenal characteristics of collectivism, the victimi...
When observing the subjects and seriousness of Korea's Wang-ta, it is urgent that we know the characteristics of Wang-ta and its condition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definition of Wang-ta, which partly differs from bullying. Also, the phenomenal characteristics of collectivism, the victimization of an individual once stigmatized in the Wang-ta process, the generalization of the Wang-ta process where bullies extend their territory into general students were examined. Moreover,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Korea's school environment, negative house environment, and collective culture were examined. The three general structures in researching Korea's Wang-ta were presented. The first structure consists of a bully, victim, and a bully-victim. The second structure focuses on the certain groups, which consists of followers, outsider, and the defender. The last structure deals with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 roles, which are the bully, reinforcer, assistant, defender, victim, and outsider. Wang-ta prevention programs, which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Wang-ta, are presented. Implications on future Wang-ta prevention programs are discussed.
When observing the subjects and seriousness of Korea's Wang-ta, it is urgent that we know the characteristics of Wang-ta and its condition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definition of Wang-ta, which partly differs from bullying. Also, the phenomenal characteristics of collectivism, the victimization of an individual once stigmatized in the Wang-ta process, the generalization of the Wang-ta process where bullies extend their territory into general students were examined. Moreover,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Korea's school environment, negative house environment, and collective culture were examined. The three general structures in researching Korea's Wang-ta were presented. The first structure consists of a bully, victim, and a bully-victim. The second structure focuses on the certain groups, which consists of followers, outsider, and the defender. The last structure deals with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 roles, which are the bully, reinforcer, assistant, defender, victim, and outsider. Wang-ta prevention programs, which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Wang-ta, are presented. Implications on future Wang-ta prevention programs are discusse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