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애기땅빈대의 항산화 활성 성분
Antioxidative Constituents from the Whole Plants of Euphorbia supina 원문보기

생약학회지, v.39 no.3 = no.154, 2008년, pp.260 - 264  

홍현경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  곽종환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  강세찬 (세명대학교 자연약재과학과) ,  이종욱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  박종혁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  안종웅 (한국해양대학교 해양환경생명과학부) ,  강혜숙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과학기술연구소) ,  정의수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  지옥표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ight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e EtOAc soluble fraction of Euphorbia supina MeOH extract as the radical scavengers for antioxidant activity. Their structures were identified as kaempferol (1), quercetin (2), juglanin (3), avicularin (4), astragalin (5), isoquercitrin (6), hyperin (7), and ni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 항산화 활성 검색에는 다양한 방법이 시용되고 있으나 ORAC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assay는 peroxy radical의 생성과 소멸에 의한 fluorescent의 감소율 변화를 측정히는 것으로 ORAC assay는 2004년 항산화 작용의 표준화를 위한 세계학술대회에서 선정된 방법 중 하나로서 측정 감도가 예민하여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다. 9)본 연구에서는 ORAC assay에 의한 항산화 활성의 측정에서 강한 활성을 보인 애기땅빈대의 EtOAc 분획으로부터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8종의 flavonoid 화합물을 분리하고 그 항산화 효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중약대사전 편찬위원회 (1999) 중약대사전, 4, 1500-1501. 도서출판 정담, 서울 

  2. Lee, T. 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I), 677. Hyang Moon Sa, Seoul 

  3. Lee, S.-H., Tanaka, T., Nonaka, G.-i. and Nishioka, I. (1991) Tannins and related compounds. CV. Monomeric and dimeric hydrolyzable tannins having a dehydrohexahydroxydiphenoyl group, supinanin, euphorscopin, euphorhelin and jolkianin, from Euphorbia species. Chem. Phram. Bull. 39: 630-638 

  4. Agata, I., Hatano, T., Nakaya, Y., Sugaya, T., Nishibe, S., Yoshida, T. and Okuda, T. (1991) Tannins and related polyphenols of Euphorbiaceous plants. VIII. Eumaculin A and eusupinin A, and accompanying polyphenols from Euphorbia maculata L. and E. supina Rafin. Chem. Pharm. Bull. 39: 881-883 

  5. Fang, Z., Zeng, X., Zhang, Y. and Zhou, G. (1993) Chemical constituents of spottedleaf euphorbia (Euphorbia supina). Zhongcayao 24: 230-233 

  6. An, R.-B., Kwon, J.-W., Kwon, T.-O., Chung, W.-T., Lee, H.-S. and Kim, Y.-C. (2007) Chemical constituents from the whole plants of Euphorbia supina Rafin. Kor. J. Pharmacogn. 38: 291-295 

  7. Tanaka, R. and Matsunaga, S. (1999) Terpenoids and steroids from several Euphorbiaceae and Pinaceae plants. Yakugaku Zasshi 119: 319-339 

  8. Chung, B.S. and Kim, H.G, (1985) Studies on the terpenoid constituents of Euphorbia supina Rafin. Kor. J. Pharmacogn. 16: 155-159 

  9. Prior, R. L., Wu, X. and Schaich, K. (2005) Standardized method for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capacity and phenolics in foods and biological and food samples. J. Agric. Food Chem. 53: 4290-4302 

  10. Talcott, S. T. and Lee, J. (2002) Ellagic acid and flavonoid antioxidant content of mascadine wine and juice. J. Agric. Food Chem. 50: 3186-3192 

  11. Ou, B., Hampsch-Woodill, M. and Prior, R. L. (2001)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mproved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assay using fluroescein as the flurescent probe. J. Agri. Food. Chem. 49: 4619-4626 

  12. Chang, B. S., Kwon, Y. S. and Kim, C. M. (2004) The chemical structure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of the components isolated from the heartwood of Hemiptelea davidii. Kor. J. Pharmacogn. 35: 80-87 

  13. Lee, K. T., Ku, C. H., Eun, J. S., Shin, T. Y., Lim, J. P., Eom, D. O., Zee, O. P. and Kim, D. K. (2001) Antioxidative components from the aerial parts of Persicaria thunbergii, Yakhak Hoeji 45: 611-616 

  14. Jung, H. A, Kim, A. R., Chung, H. Y. and Chio, J. S. (2002)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selected Prunus species in Korea. Arch Pharm. Res. 25: 865-872 

  15. Zhang, X. F., Thuong, P. T., Jin, W. Y., Su, N. D., Sok, D. E., Bae, K. H. and Kang, S. S. (2005) Antioxidant activity of anthraquinones and flavonoids from flower of Reynoutria sachalinensis. Arch. Pharm. Res. 28: 22-27 

  16. Jung, H. A., Kim, J. E., Chung, H. Y. and Choi, J. S. (2003) Antioxidant principles of Nelumbo nucifera stamens. Arch. Pharm. Res. 26: 279-285 

  17. Chaurasia, N. and Wichtl, M. (1987) Flavonol glycosides from Urtica dioica. Planta Medica 53: 432-434 

  18. Kim, K. S., Lee, S., Kang, K.-H. and Kim, B.-K. (2005) Flavonol galactoside from Artemisia apiacea. Natural Product Sciences 11: 10-12 

  19. Markham, K. R., Ternai, B., Stanley, R., Geiger, H. and Mabry, T. J. (1978) Carbon-13 NMR studies of flavonoids. III. Naturally occurring flavonoid glycosides and their acylated derivative. Tetrahedron 34: 1389-1397 

  20. Shen, G., Oh, S.-R., Min, B.-S., Lee, J., Ahn, K. S., Kim, Y. H. and Lee, H.-K. (2008) Phytochemical investigation of Tiarella polyphylla. Arch. Pharm. Res. 31: 10-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