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조방법에 따른 건조 양파 추출물의 항암 및 항산화 효과
Anticancer and Antioxidant Effects of Solvent Extracts from Dried Onion with Different Drying Method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18 no.9 = no.101, 2008년, pp.1271 - 1277  

장주리 (한국해양대학교 해양환경생명과학부) ,  김경근 (한국해양대학교 기관시스템공학부) ,  임선영 (한국해양대학교 해양환경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동결건조 방법과 저온 진공 건조기를 도입하여 양파를 건조한 후 유기 용매로 추출하여 인체 결장암 및 섬유육종세포에 대한 증식 억제 효과와 세포 내 활성산소종 억제 효과에 대해 비교 검토하였다. 저온 진공 건조방법으로 건조된 양파 분말의 A+M 추출물은 가장 낮은 농도인 0.5 mg/ml에서부터 농도 의존적으로 인체 섬유육종 및 결장암세포의 성장을 억제시켜 동결 건조된 양파 A+M 추출물보다 높은 증식 억제효과를 보였고(p<0.05), A+M 추출물과 비교했을 때 낮은 증식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나 두 가지 건조방법에 따른 각각의 양파 MeOH 추출물도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보였다(p<0.05). 동결건조 및 저온 진공 건조방법에 따른 양파 분획물들도 높은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그 중에서 동결 건조된 양파의 water 분획물과 hexane 분획물은 저온 진공 건조된 양파의 경우 보다 다소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p<0.05). 따라서 A+M 추출물과 MeOH 추출물의 경우에는 저온 진공건조에 의해 건조된 양파 추출물에 의한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가 컸으며 분획물들의 경우에는 동결 건조된 양파 추출물의 억제 효과가 다소 높았다. 지질과산화물 생성 억제효과 실험에서는 두 가지 건조 방법에 의해 건조된 양파 분말의 A+M 및 MeOH 추출물들과 그 분획물들은 첨가농도 2.5 mg/ml에서 blank군과 control군과 비교하였을 때 측정 시간 120분 동안 계속적으로 높은 세포 내 지질 과산화물 생성 억제 능력을 나타내었다(p<0.05). 세포내 활성산소종 억제효과는 동결건조에 의해 건조된 양파보다 저온 진공 건조방법에 의해 건조된 양파 분말의 추출물과 분획물들에 의한 저해효과가 더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inhibitory effects of solvent extracts from dried onion on growth of cancer cell lines (HT-1080 human fibrosarcoma and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and $H_{2}O_{2}$-induced oxidative stress. Two different drying methods, low temperature vacuum dryer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인체 섬유육종세포(HT-1080) 는 활성산소종 형성과 관련된 실험에서 널리 사용되어지고있으몌2이 이에 본 연구에서 양파 추출물에 의한 증식 억제 및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양파 섭취가 결장암 위험을 감소시켰다는 보고[24]와 관련하여 인체 결장 암세포(HT-29) 증식에 미치는 양파 추출물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Fig.
  • MTT assay를 행하였다. 인체 섬유육종세포(HT-1080) 는 활성산소종 형성과 관련된 실험에서 널리 사용되어지고있으몌2이 이에 본 연구에서 양파 추출물에 의한 증식 억제 및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양파 섭취가 결장암 위험을 감소시켰다는 보고[24]와 관련하여 인체 결장 암세포(HT-29) 증식에 미치는 양파 추출물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lock, E. 1986. Antithrombotic organosulfur compounds from garlic. J. Am. Soc. 108, 1045-1050. 

  2. Bravo, L. 1998. Polyphenols: chemistry, dietary sources, metabolism and nutritional significance. Nutr. Reviews 51, 317-333. 

  3. Cha, J. Y. and J. Y. Han. 2002. The Antioxidant ability of grape seed extracts. Kor. J. Food Sci. Technol. 34, 524-528. 

  4. Chung, H. D. 1982. Control of onion bulb rot during storage at low temperature by postharvest treatment of fungicides. J. Korean Soc. Hort. Sci. 23, 17-22. 

  5. Da-Mota, V. M. and E. Palau. 1999. Acoustic drying of onion. Drying Technol. 17, 855-867. 

  6. Denizot, F. and R. Lang. 1986.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 growth and survival modifications to the tetrazolium dye procedure giving improved sensitivity and reliablity. J. Immunol. Methods 89, 271-277. 

  7. Freucenbeim, J. L., J. R Marshall, J. E. Vena, R. Laughlin, J. R. Brasure, M. K. Swanson, T. Nemoto and S. Graham. 1996. Premenopausal breast cancer risk and intake of vegetables, fruits and realted nutrients. J. Natl. Cancer. Inst. 88, 340-348. 

  8. Kang, N. S., J. H. Kim and J. K. Kim. 2007. Modificati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onion powder by hot-air, vacuum and freeze drying methods. Kor. J. Food Preserv. 18, 1-5. 

  9. Kim, H. K., H. C. Lee, M. H. Park and D. H. Shin. 1986. Microflora of decayed onion bulbs and their suppression by fumigation treatment. Kor. J. Food Sci. Technol. 18, 1-5. 

  10. Kim, H. R., E. J. Seog, J. H. Lee and J. W. Rhim. 2007.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onion powder as influenced by drying methods. J. Kor. Soc. Food Sci. Nutr. 36, 342-347. 

  11. Kim, K. K. 1999. Thermal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by low temperature vacuum dryer. Proceedings of the KSME 1999 Spring Annual Meeting 1-6. 

  12. Kim, K. K., B. Y. Sung, H. S. Jung, S. Y. Choi and S. B. Moon. 2000. A study on the thermal characteristics of the large low temperature vacuum dryer for biological drying. J. Kor. Soc. Marine Engineers 24, 427-434. 

  13. Kim, K. M., H. J. Suh, S. H. Chung, W. D. Cho and S. J. Ma. 1999. Chemical structure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 isolated from onion flesh. Food Sci. Biotechnol. 8, 329-332. 

  14. Kim, S. O. and M. Y. Lee. 2001. Effect of ethyl acetate fraction of onion on lipid metabolism in high cholesterol fed rats. J. Kor. Soc. Food Sci. Nutr. 30, 673-678. 

  15. Kim, Y. H, M. Y. Shon and N. J. Sung. 2004. Antioxidant and antimutagenic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 from white and yellow onions after simulated gastric digestion. J. Life Sci. 14, 925-930. 

  16. Kwark, H. J., Y. J. Kwon, P. H. Jeong, J. H. Kwon and H. K. Kim. 2000. Physiological activity and antioxidantive effect of methanol extract from onion (Allium cepa L.). Kor. J. Food Sci. Nutr. 29, 349-355. 

  17. LeBel, C. P., H. Ischiropoulos and S. C. Bondy. 1992. Evaluation of the probe 2', 7' -dichlorofluorescin as an indicator of reactive oxygen species formation and oxidative stress. Chem. Res. Toxicol. 5, 227-231. 

  18. Lee, C. J., H. D. Kim, E. H. Choung, J. K. Suh, C. W. Park and J. K. Ha. 2000. Reduction effect of carcinogen induced mouse epidermal and forestomach carcinogenesis by the extract of onion wastes. J. Kor. Soc. Food Sci. Nutr. 29, 525-530. 

  19. Lee, H. C., H. K. Kim, M. H. Park and D. H. Shin. 1984. Confirmation of saprophytes of onions in Korea and effects of temperature, humidity and fumigation on Boyrtis-rot. Kor. J. Appl. Miceobiol. Bioeng. 12, 299-304. 

  20. Lee, K. J., S. J. Hwang, J. H. Choi and H. G. Jeong. 2008. Saponins derived from the roo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inhibit HT-1080 cell invasion and MMPs activities: Regulation of NF- ${\kappa}$ B activiation via ROS signal pathway. Cancer Letters 268, 233-243. 

  21. Lee, S. H, S. J. Woo, Y. J. Koo and H. K. Shin. 1995. Effects of mugwort, onion and polygalate radix on the intestinal environment of rats. Kor. J. Food Sci. Technol. 27, 598-604. 

  22. Ma, S. J. 2000. Inhibitory effect of onion seasoning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J. Kor. Soc. Food Sci. Nutr. 29, 395-400. 

  23. Miean, K. H. and S. Mohamed. 2001. Flavonoid (myricetin, quercetin, kaempferol, luteolin, and apigenin) content of edible tropical plant. J. Agric. Food Chem. 49, 3106-3112. 

  24. Millen, A. E., A. F. Subar, B. I. Graubard, U. Peters, R. B. Hayes, J. L. Weissfeld, L. A. Yokochi and R. G. Ziegler; PLCO Cancer Screening Trial Project Team. 2007. Fruit and vegetable intake and prevalence of colorectal ad-enoma in a cancer screening trial. Am. J. Clin. Nutr. 86, 1754-1764. 

  25. Park, J. and M. K. Kim. 1991. Effects of onion flesh or peel feeding on antioxidantive capacity in 16-month-old rats high iron diet. Kor. J. Food Culture 20, 721-730. 

  26. Park, P. S., B. R. Lee and M. Y. Lee. 1991. Effects of onion diet on carbon tetrachloride toxicity of rats. J. Kor. Food Nutr. 20, 121-125. 

  27. Park, P. S., B. R. Lee and M. Y. Lee. 1994. Effects of onion juice on ethanol-induced hepatic lipid peroxidation in rats. J. Kor. Food Nutr. 23, 750-756. 

  28. Ra, K. S., H. J. Suh, S. H. Chung and J. Y. Son. 1997. Antioxidant activity of solvent extract from onion skin. Kor. J. Food Sci. Technol. 29, 595-600. 

  29. Rao, R. R., S. S. Rao and P. R. Venkataraman. 1946. Investigations on plant antibiotics, studies on allicin, the antibacterial principles of Allium sativum L (Garlic). J. Sci. Ind. Res. 18, 31-35. 

  30. Rho, S. N. and J. H. Han. 2000. Cyotoxicity of garlic and onion methanol extract on human lung cancer cell lines. J. Kor. Soc. Food Sci. Nutr. 29, 879-874. 

  31. Sankaranrayanan, R., C. Varghese, S. W. Duff, G. Padmakumary and N. E. Day. 1995. A case-control study of diet and lung cancer in Keraka, South India. Int. J. Cancer 75, 1766-1777. 

  32. Sheo, H. J., H. J. Lim and D. L. Jung. 1993. Effect of onion juice on toxicity of lead in rat. J. Kor. Soc. Food Sci. Nutr. 22, 138-143. 

  33. Tsuchiya, M., M. Suematsu and H. Suzuki. 1994. In Vivo visualization of oxygen radical-dependent photoemission, Methods Enzymol. 233, 128-140. 

  34. Woo, H. S., B. J. An, J. H. Bae, S. Kim, H. J. Choi, H. S. Han and C. Choi. 2003. Effect of biologically active fractions from onion on physiological activity and lipid metabolism. J. Kor Soc. Food Sci. Nutr. 32, 119-1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